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온양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온양군(溫陽郡)은 한국의 옛 행정구역으로, 지금의 아산시 온양동을 중심으로 아산시 동남부의 배방읍·송악면·탕정면 지역을 관할했던 군이다. 아산시 동남부 지역의 전신이 되는 지역이다.
《대동여지도》
유래
온양은 온천으로 유명한 곳으로, 지명도 온천으로 인해 생긴 지명이다.
역사
- 마한시대에 염로국이 있던 지역이다. 9년 온조왕 27년에 마한이 백제에 합병되면서 백제의 영역이 되었다. 18년 온조왕 36년에 탕정성이 축조되었다.
- 백제의 행정체제가 정비되면서 탕정군(湯井郡)이 설치되었다.
- 나당 전쟁중인 671년 문무왕 11년에 원 탕정군을 치소로 충남 북부에 탕정주(湯井州)를 설치했다.
- 681년 전국의 행정체제를 9주 5소경으로 제편하면서 탕정주는 웅천주에 합병되었다. 탕정군으로 환원되어 음봉현(陰峯縣)과 기량현(祁梁縣)의 두 영현을 관할로 하여 영역이 지금의 아산시와 거의 같았다.
- 고려시대 940년에 온수군(溫水郡)으로 개명했다.
- 1018년 고려 현종 9년에 천안부에 편입시켰다.
- 1172년 고려 명종 2년 감무를 두고 천안에서 온수현으로 독립시켰다.
- 조선 건국 후 1414년 신창현과 병합하여 온창현이라 하였다가 1416년 다시 나누었다.
- 1442년 세종24년 지금의 이름인 온양(溫陽)으로 개명하고 온양군으로 승격되었다.
- 1459년 세조 5년에 아산이 인근 군현에 분할편입되면서 아산의 일부지역을 편입. 다시 5년후에 아산이 복구되었다.
- 1895년 23부(府)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홍주부 관할 온양군이 되었다가 이듬해 13도제로 환원되면서 충청남도에 편입되었다.
-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일제에 의한 행정폐합으로 신창군과 함께 아산군에 강제합병되었다. 통합 아산군의 12개 면 중에 온양면, 송악면, 배방면, 탕정면, 염치면(일부)으로 재편되었다.
- 1914년의 행정구역[1]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