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우르비노의 비너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우르비노의 비너스(Venus of Urbino, 누워있는 비너스로도 알려져 있음)[1]는 이탈리아 화가 티치아노 베첼리오의 유화로, 호화로운 르네상스 양식의 궁전을 배경으로 소파 또는 침대에 누워 있는 벌거벗은 젊은 여인을 묘사하며, 전통적으로 이 여인을 여신 베누스로 식별한다. 이 그림에 대한 작업은 1532년 또는 1534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1534년에 완성되었을 수도 있지만 1538년이 되어서야 판매되었다. 현재 피렌체의 우피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인물의 자세는 1510~11년경 제작된 드레스덴 비너스에서 유래했다. 이 작품은 전통적으로 조르조네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풍경은 티치아노가 완성했다. 우르비노의 비너스는 드레스덴 비너스와 달리, 비너스가 실내에 있고, 관람자의 시선을 마주하고 있으며, 관능미를 노골적으로 드러낸다는 차이가 있다. 미술사학자들 사이에서 이 그림의 도상학적 해석은 두 가지 그룹으로 나뉜다. 두 그룹 모두 이 그림이 강력한 에로틱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그 외에는 이 그림이 코티즌의 초상화(어쩌면 자페타(Zaffetta))이거나 첫 소유주의 결혼을 기념하는 그림(일부에 따르면 첫 수유주가 직접 의뢰하지 않았을 수도 있음)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의견 불일치는 주로 티치아노가 제작했거나 제작에 기여한 누워있는 여성 누드의 베네치아 전통에서의 의미에 대한 다양한 논쟁 중 하나이다. 일부 학자들은 이 여성의 자세가 자위행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는데, 이는 르네상스 시대의 결혼 풍습과 관련이 있다. 당시에는 여성의 흥분(자위행위 포함)이 임신에 도움이 되고 성공적인 첫날 밤을 보장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2]
미술사학자 찰스 호프는 "이 장르의 가장 유명한 사례인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가, 고전적 또는 심지어 우의적인 내용 조차 배제한, 침대에 누운 아름다운 나체의 여인을 표현한 것 그 이상이라는 점은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고 말했다.[3] "르네상스 신플라톤주의" 관점에서 지칠 줄 모르고 우의를 찾아내는 "에드가 윈드"조차도, 이 그림의 경우 "노골적인 쾌락주의가 마침내 플라톤적 은유를 없앴다"고 인정해야 했다.[4]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묘사
그림의 주체인 여성은 벌거벗은 모습에 당황하지 않고 관람자를 똑바로 응시한다.[5] 오른손에는 장미 꽃다발을 들고 있고, 다른 손은 성기 위에 올려놓고 있다. 가까운 배경에는 충실의 상징인 개가 있다. 배경의 다른 공간에서는 두 명의 하녀가 카소네(낮은 혼수 옷장)을 뒤적거리고 있다.
해석
일부 비평가들은 카소네와 같은 세부 사항이 결혼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카소네는 일반적으로 남편의 가족이 신부에게 주는 혼수함을 저장하는 목적이었다. "로나 고펀"은 비너스의 손이 자신의 성기를 "애무"하는 것을 결혼의 상징으로 보는데, 당시에는 여성의 오르가즘이 임신을 위해 필요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상속인의 생산은 상류층 결혼에서 큰 관심사였다. 심지어 침대 위의 작은 개도 논쟁의 대상이다. 티치아노의 공작 어머니 엘레오노라 곤차가 델라 로베레의 초상화에도 동일한 개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그림 속의 집이 델라 로베레 가문의 집임을 나타내고, 개가 조용히 있다는 것은 관람자가 여성의 남편임을 나타낸다는 것이다.[6]

"유제프 그라프스키"의 최근 이론은 이 그림이 유명한 이탈리아 시인 "비토리아 콜론나"와 그녀의 작고한 남편 "페르난도 다발로스" 사이의 결혼과 사랑에 대한 우의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그라프스키는 다양한 시각적 단서와 상징을 분석하여 자신의 이론을 뒷받침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그림 우측의 창문의 고전적 기둥이 콜론나가 문장과 흡사하다고 지적한다.[7]
이후 역사


마크 트웨인은 1880년 여행기인 "해외 무전여행(A Tramp Abroad)"에서 우르비노의 비너스를 "세상에서 가장 더럽고, 가장 비열하고, 가장 음란한 그림"이라고 불렀다.[8] 그는 "이 그림은 매춘굴을 위해 그려졌고, 너무 강렬해서 거절당했을 것"이라고 언급했으며, "솔직히 말해서 공공 미술관 외에는 어떤 장소에도 너무 강렬하다"고 유머러스하게 덧붙였다. 트웨인은 이를 통해 "지난 80년 또는 90년 동안" 문학에 부과된 제약과 빅토리아 시대의 도덕 관념과, 회화에서 허용되는 예술적 자유(예를 들어 누드)를 비교하였다. 같은 구절에서 트웨인은 또한 "수세기 동안 순수한 나체로 서 있던" 로마의 나체 조각상에 19세기에 무화과 잎을 부착한 행위를 조롱하기도 한다.
우르비노의 비너스는 에두아르 마네의 1863년 올랭피아에 영감을 주었으며, 이 작품에서는 비너스 인물이 모델 빅토린 뫼랑으로 대체되었다.[9][10]
Remove ads
조각
로렌초 바르톨리니는 친구 장오귀스트도미니크 앵그르가 티치아노의 원본을 바탕으로 복제한 그림을 참고하여 같은 주제를 조각 비너스(약 1830년)로 표현했다. 원본 조각은 몽펠리에의 파브르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복사본은 리버풀 근처 포트 선라이트의 레이디 레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로렌초 바르톨리니, 누워있는 비너스, 1820–1830, 몽펠리에 파브르 미술관.
- 리버풀 레이디 레버 미술관에 있는 로렌초 바르톨리니 조각상 복사본.
내용주
각주
추가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