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우수 (불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우수(憂受, 산스크리트어: daurmanasya-vedanā, 팔리어: domanassa-vedanā, 영어: displeasure)는 불만족의 느낌, 불쾌한 느낌, 슬픈 느낌, 걱정하는 느낌을 뜻한다. 이것은 모든 느낌(受)을 고수 · 낙수 · 사수(불고불락수)의 3수로 나눌 때 고수(괴로운 느낌)에 속한다. 다시 3수를 신체적 느낌과 정신적 느낌으로 세분했을 때의 고수 · 낙수 · 우수 · 희수 · 사수의 5수(五受)에서 고수는 신체적으로 괴로운 느낌으로, 아픈 느낌, 통증을 뜻하고, 우수는 정신적으로 괴로운 느낌으로 불만족의 느낌, 슬픈 느낌을 뜻한다.[1][2][3][4]
팔리어 domanassa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어원에 따르면 du-(나쁜, 상한, bad)와 manas(마음, mind)가 결합한 것으로 상한 마음(bad in mind 마음이 좋지 않다, bad feeling 악감정) 즉 불쾌한 정신적 느낌(unpleasant mental feeling)을 뜻한다.[1] 팔리어 domanassa의 번역어인 한자어 우(憂)는 한자사전에 따르면, 다음의 뜻이 있다.[5]
- 근심, 걱정
- 병(病), 질병(疾病)
- 고통(苦痛), 괴로움, 환난(患難)
-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걱정하다, 애태우다
- 고생하다, 괴로워하다
- 두려워하다
5수의 고수와 우수는 크게 보아 괴로운 느낌이지만, 둘의 차이는 고수가 신체적 괴로운 느낌이고 우수가 정신적 괴로운 느낌이라는 것 외에도 다른 하나의 큰 차이가 있다. 고수는 선 · 불선 · 무기의 3성으로 나눌 때 무기에 속한다. 즉, 선한 것도 아니고 불선한 것도 아니다. 즉, 신체적 괴로움은 그 자체로는 현세와 미래에 나쁜 과보를 가져오는 업을 짓는 것이 아니다. 이에 비해 우수는 그 자체로 불선이다. 즉, 현세와 미래에 나쁜 과보를 가져오는 업을 짓는다.[1] 말하자면, 걱정 · 근심 · 불쾌감 · 불만족 · 슬픔 · 두려움 등이 찰나에 그치고 말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일정 이상 쌓이면 나쁜 일이 일어난다. 따라서 고급한 형태의 사수[捨], 즉, 균형과 평정의 느낌, 편견과 선호에 휩쓸리지 않음의 느낌, 좋음과 싫음에 휘둘리지 않음의 느낌을 가지도록 수행을 통해 스스로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6] 사(捨)를 개발하는 수행으로 특히 자 · 비 · 희 · 사의 4무량심의 수행이 있다.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