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강북구 우이동과 동대문구 신설동을 잇는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서울輕電鐵牛耳新設線)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의 북한산우이역과 동대문구의 신설동역을 잇는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노선이다. 노선색은 ●연두색과 서울 경전철 주조색인 ●진한 회색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Remove ads
개요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총연장 11.4 km이고, 차량기지 1개소와 정거장 13개소가 건설되었다. 총 사업비로는 9,299억 원이 소요되었다.[1].
모든 정거장에는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스크린도어 등의 시설을 갖추고[2], 열차는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역무실과 매표소 등을 없애고 전 구간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집중관리체계를 구축했다[3]. 민간사업자(주식회사 우이신설경전철)가 운영개시일로부터 30년간 운영하며 사업시설의 소유권은 준공과 동시에 서울시에 귀속된다[4]. 그리고 국내에서 운영하는 타 경전철 노선[5]과는 달리 차량기지 구간을 포함하여 전 구간 지하화로 운영된다.[6]
양측 시종착역에서는 되돌림회차 방식으로 열차가 들어오기 때문에, 진입한 승강장에서 회차 없이 곧바로 출발한다는 특징이 있다.
Remove ads
연혁
- 2003년 6월 30일 : 민간사업자 제안서 제출[10]
- 2005년 10월 20일 : 도시철도 기본계획 확정[11]
- 2006년 12월 20일 : 제3자 제안공고(안)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기획예산처)
- 2007년 4월 27일 : 사업계획서 접수
- 2007년 5월 28일 : 우선협상 대상자 지정
- 2008년 7월 30일 :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완료[12](기획재정부)
- 2008년 10월 31일 : 기공식
- 2009년 4월 9일 : 실시협약 체결 및 사업시행자 지정
- 2009년 9월 3일 : 실시계약 승인
- 2009년 9월 15일 : 착공
- 2011년 6월 1일 : 실시계획 변경 승인
- 2011년 11월 : 시공사인 고려개발이 자금난으로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공사 중단[13]
- 2013년 3월 : 전체 4개 공구에서 공사 재개[14]
- 2016년 8월 5일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외 10개 출자사의 사업 협약 해지 요구 등 서울시와의 갈등으로 공사 중단[15]
- 2016년 8월 26일 : 공사 재개[16]
- 2016년 12월 1일 : 역무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우이신설선경전철운영 주식회사 설립.
- 2017년 3월 2일 : 역명 결정[17]
- 2017년 9월 2일 : 우이신설선 개통
향후 계획
Remove ads
차량
운임
무인운행
무인자동운전으로 운행되며, 운행 중 비상정지 등 유사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관사 면허를 보유한 운행관리원이 항시에 탑승한다.
비상핸들 작동 시 주의사항
- 터널내에 선로 옆에는 항상 전기가 흐르고 있어 무단으로 임의하차 시 감전 위험이 있다.
역 목록


- 환승역을 제외한 역명은 서울특별시고시 제2017-68호에 의한 것이며, 역간 거리는 사업자 홈페이지를 참고하였다.[22]
- 역번호는 S1번대가 부여되었으나[23], 실제 시설물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Remove ads
솔밭공원~방학역 구간 연장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