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울산 동구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울산 동구의 행정 구역은 9행정동(8법정동) 210통 1,352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울산 동구의 면적은 36.03km2로 시의 3.4%를 차지한다. 울산 동구의 인구는 2013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67,059세대 184,297명이다.[1] 시전체 15.63%를 차지하는데 비해서 면적은 좁은 편이며, 그나마 전체 면적의 36.6%에 해당하는 13.19km2가 개발제한구역이다.

행정 구역

자세한 정보 행정동, 한자 ...

법정동

자세한 정보 행정동, 법정동 ...

구의 역사

요약
관점

신라시대 현재의 북구 강동동에 치소를 둔 율포현(栗浦縣)의 일부였다. 율포현은 757년에 동진현(東津縣)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에 흥례부(興禮府)에 편입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한 수로진의 의미로 방어진(防禦陣)이라 하였다가 조선시대에 방어가 많이 잡히는 나루터라는 의미로 방어진(魴魚津)이라 불렀다. 조선 초기에 사복시 관할의 목장을 두고 방어진목장(魴魚津牧場)이라 하였다. 울산에 면리제가 시행되면서 동면 유등포리, 현종 대에는 유포면(柳浦面, 북구 강동동)에 속해 있다가 숙종 대에 목장 관할 구역을 분리해 동면(東面)이 되었다.

  • 조선시대 울산도호부 동면
  • 1910년 10월 1일 울산군 동면으로 칭하고, 동면사무소를 서부동에 두었다.
  • 1914년 4월 1일 9개리로 개편하였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 1925년 12월 6일 면사무소를 방어리로 이전하였다.
  • 1931년 4월 1일 동면을 방어진면(方魚津面)으로 개칭하였다.[2]
  • 1937년 7월 1일 방어진면이 방어진읍(方魚津邑)으로 승격하였다.
  • 1962년 6월 1일 울산군 방어진읍이 신설 울산시에 편입되면서 울산시 방어진출장소가 되었다.[3]
  • 1972년 10월 1일 울산시 53개 법정동을 31개 행정동으로 개편하면서 방어진출장소 관할 구역에 5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 이때 염포동은 병영출장소 관할이 되었다.[4]
자세한 정보 행정동, 법정동 ...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