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웨델새들백타마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웨델새들백타마린(Leontocebus weddelli)은 비단원숭이과에 속하는 영장류의 일종이다. 서부 아마존 분지 지역에서 발견된다.[2] 이전에는 갈색망토타마린의 아종으로 간주했다.[3][1] 웨델새들백타마린은 브라질과 볼리비아, 페루에 서식하며, 모식산지는 볼리비아다.[3][1]
Remove ads
분류학
웨델새들백타마린은 1849년 프랑스 의사이자 박제사인 에밀 드빌가 "미다스 웨델리(Midas weddelli)"로 기술했지만 이후 갈색망토타마린의 아종으로 분류했다. 흰망토타마린도 처음에는 갈색망토타마린의 아종으로 분류했지만, 2001년에 별개의 종으로 인정했다. 유전학적 연구 결과, 검은망토타마린은 갈색망토타마린의 승명 아종보다 흰망토타마린과 더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으며, 따라서 검은망토타마린은 별개의 종으로, 흰망토타마린은 아종으로 확립되었다.[4] 흰망토타마린(L. weddelli melanoleucus)과 승명 아종(L. weddelli weddelli) 사이의 유전적 거리는 승명 아종의 서로 다른 표본 사이의 거리보다 크지 않다.
- 웨델새들백타마린 (L. w. weddelli)
- 흰망토타마린 또는 흰새들백타마린 (L. w. melanoleucus)
- 크랜달새들백타마린 (L. w. crandalli)
검은망토타마린속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
| 검은망토타마린속 |
| ||||||||||||||||||||||||||||||||||||||||||||||||||||||||||||||||||
Remove ads
특징
웨델새들백타마린은 머리부터 몸까지 몸길이가 18~27cm, 꼬리 길이는 25~38cm, 체중은 340~440g이다. 수컷은 머리와 몸길이가 약 190.0mm, 암컷은 머리와 몸길이가 약 196.6mm이다.[4] 수컷 몸무게는 약 359g, 암컷 몸무게는 약 357g이다.[4] 승명 아종 웨델새들백타마린(Leontocebus weddelli weddelli)은 주로 검은색에서 흑갈색을 띠며, 등은 종종 회색, 황토색 또는 주황색 대리석 무늬를 띤다. 배와 엉덩이, 허벅지는 붉은색에서 주황색을 띤다. 얼굴은 검은색이며, 입과 코 주변은 회색이다. 양쪽 눈에는 흰색 눈썹이 길게 늘어져 있다. 흰망토타마린(Leontocebus weddelli melanoleucus)은 거의 전체적으로 크림색을 띤다. 귀와 털이 없는 얼굴 피부 그리고 외부 생식기만 검은색이다. 크랜달새들백타마린(Leontocebus weddelli crandalli)은 흰망토타마린과 비슷하지만, 엉덩이와 다리, 팔뚝은 칙칙한 노란색을 띠고 꼬리는 검은색이다. 승명 아종 웨델새들백타마린을 제외한 다른 두 아종은 자세히 연구된 적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4]
Remove ads
분포
승명 아종 웨델새들백타마린(L. w. weddelli)의 분포 지역은 푸루스강과 마데이라강 사이의 중부 및 서부 지역을 포함한다. 브라질 혼도니아주에서는 이 아종이 마데이라강 우안에서도 발견되며, 혼동마모셋과 같은 서식지에서 서식한다. 두 번째 아종인 흰망토타마린(L. w. melanoleucus)은 브라질 서부와 페루 남동부의 후루아 강 상류 우안 지역에서 발견된다. 세 번째 아종인 크랜달새들백타마린(L. w. crandalli)은 단 하나의 표본만이 알려져 있다.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브라질 아크레 서부의 후루아강과 타라우아카강 상류 지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잡종일 가능성이 있다.
서식지
웨델새들백타마린은 적응력이 뛰어나 키가 크고 덤불이 드문드문 있는 일차림이나 빽빽한 덤불이 있는 일차림 그리고 폐쇄된 수관이나 열린 수관이 있는 이차림에서 발견된다. 볼리비아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웨델새들백타마린은 이차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차림에서 시간의 70%를 보낸다. 페루 마누 국립공원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웨델새들백타마린은 다양한 유형의 숲이 뒤섞인 곳을 선호하며, 매우 넓고 폐쇄된 일차림 지역은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웨델새들백타마린은 2~15마리, 가장 흔하게는 4~6마리씩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이 무리는 부모 한 쌍과 어린 새끼, 그리고 성적으로 성숙한 성체 새끼로 구성된 대가족이다. 황제타마린, 흰입술타마린, 괼디원숭이 또는 혼동마모셋과의 혼합 무리도 관찰되었다. 다른 두 타마린 종과의 혼합 무리는 비교적 안정적이지만(황제타마린과의 혼합 무리는 3년 동안 반복적으로 관찰됨), 혼동마모셋과의 혼합 무리는 수명이 짧고 응집력이 약하다. 연구 대상 지역의 개체 밀도는 km²당 4.5~50마리다. 웨델새들백타마린을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진 포식자 중에는 이색참매가 있다.
Remove ads
먹이
웨델새들백타마린은 주로 과일과 곤충을 먹는다.[1] 이구아나팽나무 열매와 같은 덩굴식물의 열매는 중요한데, 카푸친원숭이나 다람쥐원숭이 같은 큰 원숭이는 이 열매를 먹지 않는다. 또한, 또 다른 덩굴식물인 콤브레툼 아시밀레(Combretum assimile)의 꽃꿀과 콰라리베아 코르다타(Quararibea cordata)의 꽃꿀과 열매도 먹는다. 동물 먹이로는 메뚜기 같은 큰 곤충이나 도마뱀 같은 작은 척추동물을 선호하며, 황제타마린은 나비와 나방도 많이 먹는다.[1]
번식
웨델백새들타마린 무리에는 보통 암컷이 한 마리만 있다. 암컷은 한 수컷하고만(일부일처제) 또는 여러 수컷과(일부다처제) 교미한다.[1] 때때로 두 번째로 더 어린 암컷이 번식하기도 한다. 이 경우, 두 번째 암컷의 새끼는 나이 많은 암컷의 새끼보다 약 3개월 정도 일찍 또는 늦게 태어난다. 수컷과 다른 무리 구성원들도 새끼를 돌보기 때문에 새끼를 돌보기 위한 경쟁은 거의 없다. 번식기는 건기가 끝나고 8월부터 3월까지 우기에 해당한다.[1]
보전상태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