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일리거타마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일리거타마린 또는 일리거새들백타마린(Leontocebus illigeri)은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작은 원숭이의 일종인 새들백타마린이다. 이전에는 일리거새들백타마린을 갈색망토타마린의 아종으로 간주했다.[2][3] 안데스새들백타마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3] 페루 아마존의 고유종이며, 모식 서식지는 페루 로레토와 우카얄리강 하류 좌안이다.[2][3]
Remove ads
특징
일리거새들백타마린은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가 약 20cm이고, 꼬리 길이는 약 31cm이며, 평균 몸무게는 293g이다.[3] 검은 등털은 마모셋에 비해 비교적 짧으며, 붉은색 또는 황토색 얼룩덜룩한 회색이다. 머리는 검은색이며, 입과 코 주변은 회색이다. 팔의 바깥쪽은 밤색이고, 배, 다리, 팔의 안쪽은 붉은 주황색이다. 손과 발의 윗부분은 검은색이며, 종종 붉은빛을 띤다. 꼬리는 검은색이며, 꼬리 아랫부분은 붉은색이다. 외부 생식기는 검은색이다.[3]
서식지 및 생활사
일리거새들백타마린은 적응력이 뛰어나 1차 및 2차 저지대 열대우림과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바르제아 숲에서 서식하지만, 울창한 식생이 있는 2차림을 선호하며, 주로 수 미터 높이의 지면 가까이에 서식한다.[3] 검은머리다람쥐원숭이와 베네수엘라붉은고함원숭이에 이어 일리거새들백타마린은 서식지에서 세 번째로 흔한 원숭이 종이다. 이들은 우점종이며 발굽을 번식하는 암컷 한 마리, 수컷 한 마리 이상 그리고 마지막 두 마리의 새끼로 구성된 가족 집단을 이루어 생활한다. 무리의 평균적인 영역 크기는 6헥타르이며, 한 무리가 차지하는 평균 면적은 약 16헥타르이다. 평균적으로 일출부터 일몰까지 하루 12시간 동안 활동한다. 오후에 소나기가 내리면 일상 활동이 일찍 끝날 수 있다. 보통 오전 8시부터 10시까지 그리고 정오 무렵에 휴식을 취한다. 잠자는 곳은 숲의 중간층이나 아래쪽 층에 있는 나뭇가지나 덩굴이 빽빽하게 얽힌 곳이다. 일리거새들백타마린은 시간의 약 45%를 동물성 먹이를 찾는 데, 15%는 식물성 먹이를 찾아 먹는 데 그리고 약 30%는 휴식과 털 손질에 사용한다.[3]
일리거새들백타마린을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진 포식자로는 다양한 맹금류, 매, 그리고 족제비과에 속하는 타이라가 있다.[3]
Remove ads
먹이
일리거새들백타마린은 과일과 꽃, 식물 수액, 꿀, 곤충, 그리고 작은 척추동물을 먹는다. 과일은 거의 일 년 내내 일리거타마린의 주요 먹이다. 약 60종의 식물이 먹이로 확인되었다. 건기가 한창인 9월에야 나무 수액이 더욱 중요해진다. 중요 식용 나무에서는 흰목큰부리새와 갈색귀아라카리새, 점박이차찰라카와 같은 먹이 경쟁자들과의 공격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반면 북부아마존청서는 대부분 무시된다. 동물성 먹이는 메뚜기와 매미, 나비, 나방, 애벌레, 거미, 개구리, 도마뱀 등이다. 종종 나무 구멍이나 바위틈에서 잡아먹는다.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비에 젖은 잎에서 물을 핥거나, 물이 가득 찬 나무 구멍에 손을 담갔다가 물을 핥는다.[4]
번식
일리거타마린은 일년 내내 번식하지만, 새끼의 약 70%는 먹이가 가장 풍부한 12월에서 3월(우기 시작에서 중반) 사이에 낳는다. 새끼의 출산 간격은 6개월부터 15개월 사이지만, 대부분 8개월부터 9개월 사이다.
분류학
일리거타마린은 1845년 프랑스 동물학자 자크 푸셰랑이 처음으로 하팔레 일리게리(Hapale illigeri)로 기술했지만, 이후 갈색망토타마린의 아종으로 분류했다. 오늘날 갈색망토타마린의 다른 많은 이전 아종들과 마찬가지로, 일리거타마린도 별도의 종으로 간주된다. 모요밤바 주변 지역에서는 안데스새들백타마린과 교배를 한다.
계통 분류
검은망토타마린속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
검은망토타마린속 |
| ||||||||||||||||||||||||||||||||||||||||||||||||||||||||||||||||||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