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원 유계 변동 함수
닫힌구간
의 분할은 다음과 같은 수열이다.

닫힌구간
의 모든 분할들의 집합을
라고 적자. 이는 다음과 같은 꼴이다.
![{\displaystyle \operatorname {Part} ([a,b])=\bigsqcup _{N=1}^{\infty }\operatorname {Part} _{N}([a,b])\cong \bigsqcup _{N=1}^{\infty }\triangle ^{N-1}}](//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1fd16d243aba0e2efc671f87d181900cf99b862)
여기서
은 크기
의 분할들의 공간이며, 이는
차원 단체
와 동형이다.
임의의 함수
![{\displaystyle f\colon [a,b]\to \mathbb {R}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c5ab61178bf5349838758ffe3d96135406ed0245)
및 분할
에 대하여, 변동

을 정의할 수 있다.
의 전변동(全變動, 영어: total variation)
는 모든 변동들의 상한이다.[1]:530
![{\displaystyle \operatorname {V} (f)=\sup _{P\in \operatorname {Part} ([a,b])}\sum _{i=1}^{|P|}\|f(p_{i})-f(p_{i-1})\|\in [0,\infty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469c44442ffd34f7e3db2802a59f5dbb96124503)
임의의 함수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임을 보일 수 있다.

인 두 증가 함수
,
가 존재한다.
- 연속 함수의 공간
위에 유계 작용소
,
를 정의한다. (이 적분은 르베그-스틸티어스 적분이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유계 변동 함수라고 한다.[1]:530
유계 변동 함수들의 공간을
로 표기하자. 그렇다면,
는 노름 공간을 이룬다.
다차원 유계 변동 함수
유계 열린집합
이 주어졌다고 하자. 임의의 함수
의 전변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여기서

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로 구성된 공간이다.
-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다 (
).
- 어떤 콤팩트 집합
에 대하여,
이다.
- 노름이 1 이하이다. 즉,
이다. 여기서
은 유클리드 공간의 르베그 측도이다. (즉,
의
-노름이 1 이하이다.)
그렇다면, 전변동이 유한한 함수들의 공간을
라고 하자.

그렇다면, 그 위에

를 정의하면, 이는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