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UEFA 챔피언스리그
유럽의 축구 대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UEFA 챔피언스리그(UEFA Champions League)는 유럽 최상위 축구 리그의 가장 우수한 축구 클럽들을 대상으로 유럽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클럽 축구 대회이다. 1955년에 시작됐으며 유러피언컵(European Cup)으로 불리다가 1992년 UEFA 챔피언스리그로 개칭되었다.
예선을 통과한 7개 팀과 리그 단계에 자동 진출한 29개 팀을 합친 총 36개 팀이 리그 단계에 진출하여 단일 리그 테이블로 진행한다. 36개 팀은 UEFA 클럽 계수에 따라 4개의 시드 포트로 나뉘고, 추첨을 통해 뽑힌 각 포트의 팀들과 1경기씩 총 8경기를 가지며, 4경기는 홈 경기, 4경기는 원정 경기로 나뉘어 진행한다. 경기 결과에 따라 상위 8개 팀은 16강에 직행하며, 9위부터 24위까지 팀들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16강 진출을 다투게 된다. 25위 이하 팀들은 챔피언스리그에서 탈락하며 다른 UEFA 대회에도 참가할 수 없다.
가장 최근 우승 팀은 뮌헨의 알리안츠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년 결승전에서 인테르를 꺾고 우승한 파리 생제르맹이다.
이 대회는, 유럽 프로 축구 세계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대회이다. 대회 결승전은 보통 유럽 프로 축구의 모든 시즌 일정 가운데 가장 마지막 경기로 치러진다. 또한 유럽 대륙의 축구 선수들이 이적을 고려할 시에 챔피언스리그 경기 출전이 가능한 팀인가를 우선 순위로 고려할 정도이다.
줄여서 '챔스', 'UC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UEFA 챔피언스리그의 대표곡은 리그 데 샹피옹(Ligue des Champions)이다. 우승 팀은 트로피 빅이어를 다음 시즌 토너먼트 추첨까지 소유할 수 있다.
Remove ads
역사
유럽의 각국 리그의 우승 팀간의 경기로, 유럽 챔피언 클럽 대회에서 유러피언컵 대회로 간소화된 이 대회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유럽 축구 연맹에 의해 시작된 것이 아니라 프랑스 스포츠지 레키프의 편집자인 가브리엘 아노에 의해 시작된 대회이다.[1]
이 대회는 양 팀간 녹아웃 형식으로 1955-56 시즌부터 시작되었다. 각 팀들은 홈에서 한 경기를, 원정에서 한 경기를 치러 더 많은 승점(혹은 득점)을 얻은 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자격을 획득하는 방식이었다. 참가 자격이 있는 팀은 각 국내 리그의 우승 팀과, 유러피언컵을 보유한 팀뿐이었다. 이러한 예선 방식은 1992년까지 계속되었다.
1992/93 시즌부터 이 대회는 UEFA 챔피언스리그로 개명되었고 1997/98 시즌부터 각국 리그 챔피언과 전년도 우승 팀만 참여하던 것에서 UEFA 점수에 따라서 성적이 좋은 리그 2위 팀들도 대회 참여 자격을 부여받게 되었고 1999/2000 시즌부터는 현재처럼 상위 3개의 리그는 리그 4위 팀들까지 대회참여 자격을 부여받게 되었다.[2]
1991-92 시즌부터 토너먼트에 앞서 조별리그제를 도입하였다. 현재의 시스템은 2009년부터 적용되고 있다. 1960년부터 2004년까지의 본선 우승 팀은 현재는 없어진 인터콘티넨탈컵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그 이후로는 FIFA가 대회를 인계받아, 우승 팀은 FIFA 클럽 월드컵의 출전권을 획득한다.
Remove ads
참가 자격
요약
관점

역대 챔피언스리그에서 조별 리그에 진출한 팀이 있는 UEFA 회원국들
역대 챔피언스리그에서 조별 리그에 진출한 팀이 없는 UEFA 회원국들
UEFA 비회원국
분배 (2018-19 ~ 2023-24)
UEFA 유로파리그 저번 시즌 우승팀이 챔피언스리그 본선에 진출한다.
분배 (2024-25 ~ )
Remove ads
상금
2018-19 시즌 현재 UEFA챔피언스리그 참가 클럽에 지급되는 상금 금액은 다음과 같다.
- 예비예선 : €230,000 = 약 3.4억 원
- 1차 예선 : €280,000 = 약 3.7억 원
- 2차 예선 : €380,000 = 약 5.2억 원
- 3차 예선 : €480,000 = 약 6.3억 원
- 본선 32강 조 편성 기본 : €15,250,000 = 약 201억 원
- 32강 조 편성 경기 승리 : €2,700,000 = 약 35억 원
- 32강 조 편성 경기 무승부 : €900,000 = 약 12억 원
- 16강 : €9,500,000 = 약 125억 원
- 8강 : €10,500,000 = 약 138억 원
- 4강 준결승 : €12,000,000 = 약 158억 원
- 결승전 패배 준우승 2위 : €15,000,000 = 약 198억 원
- 결승전 우승 1위 : €19,000,000 = 약 251억 원
우승
시즌별 우승 구단

구단별 우승 횟수
국가별 우승 횟수
Remove ads
시상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