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의성읍
경상북도 의성군의 군청소재지 겸 하위행정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의성읍(義城邑)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의성군의 군청 소재지이며, 교통, 산업의 중심이다.
개요
위천 상류 의성분지의 중심으로 쌀, 보리 등 농산물의 생산량이 많다. 중앙선 개통 후에는 경상북도 벽지의 문호로 변화되었다. 명승고적으로는 금성면 대리동에 있는 대한민국 최초의 면화 재배지를 기념하는 문익점 선생 면작기념비가 있다. 등운산에는 의상대사가 창건하고 그 후 고운 최치원이 입산하여 중건하였다는 고운사가 있다. 이 절에는 석가여래좌상, 삼층 석탑, 돌사자 등 국보급 문화재가 있다. 또 빙계동에는 유명한 빙혈, 풍혈이 있어 삼복 중에도 얼음이 얼어 경북 팔경의 하나로 꼽힌다.
연혁
- 조문국(召文國)에 속하였다.
- 신라 벌휴왕 2년(185년) 신라에 병합되었다.
- 신라 경덕왕 16년(757년) 문소군(聞韶郡)에 속했다.
- 고려 태조 23년(940년) 의성부(義城府)에 속했다.
- 조선 고종 32년(1895년) 의성군(義城郡)에 속했다.
- 1914년 3월 1일 군면(郡面) 폐합으로 북부면과 남부면을 합하여 후죽(帿竹), 중리(中里), 상리(上里), 도동(道東), 도서(道西), 치선(致仙), 오로(五老), 비봉(飛鳳), 팔성(八城), 용연(龍淵), 원당(元堂), 철파(鐵坡), 업(業) 등 13개 동(洞)으로 개편
- 1940년 11월 1일 의성면(義城面)에서 읍(邑)으로 승격
행정 구역
- 도동리
- 도서리
- 비봉리
- 상리리
- 업리
- 오로리
- 용연리
- 원당리
- 중리리
- 철파리
- 치선리
- 팔성리
- 후죽리
간선 도로
Remove ads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