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간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생각하자.
차원 실수 벡터 공간
및 그 위의 비퇴화 이차 형식 
- 두 리 군
. 또한, 다음 가환 그림이 성립한다고 하자.

차원 매끄러운 다양체
및 그 접다발의 구조군
. 즉, 어떤
-주다발 (틀다발)
및 벡터 다발의 동형 사상
이 주어져 있다.
- 접다발의,
로의 구조 축소. 즉,
-주다발
및 벡터 다발의 동형 사상
.
의 접다발 지표를
,
의 지표를
로 표기하면,
의 데이터는 각 점에서 국소적으로 다음과 같다.


이제,
는 다음과 같은 준 리만 다양체 구조
를 정의한다. (그 부호수는
의 부호수와 같다.)

이제,
에 다음과 같은
-게이지 대칭을 부여하자.

그렇다면,
는 각 점에서 물리적으로 동차 공간

의 원소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계량 텐서
는 (
이므로) 게이지 불변이다.
이제, 위 구성에서 다음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인 경우는
차원 일반 상대성 이론의 필바인에 해당한다. 반면,
인 경우, 이는
개의 성분을 가지며, 이는
대칭 행렬(중력장)과
반대칭 행렬(캘브-라몽 장)로 분해될 수 있다.
계량의 분해
구체적으로, 필바인
에 의하여 정의되는 계량 텐서

를 생각하자. 물리적으로, 이는 중력장과 캘브-라몽 장을 나타낸다.
편의상,
를 다음과 같이 만드는 게이지를 선택하자.

즉, 이는 분해



를 정의한다. (물론, 이러한 게이지는 일반적으로 유일하지 않다.)
는 매끄러운 다양체
의 국소 모형이므로, 이는 마찬가지로 각 점에서 접공간
의 마찬가지 분해

를 정의한다.
이러한 게이지에서,
의 원소


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중력장을 나타내며,
는 2차 미분 형식인 캘브-라몽 장이다.
이 시공간에서는 일반적으로 공변 미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더 엄밀히 말하자면,
및
와 호환되는 코쥘 접속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있지만,[1]:§4.2 크리스토펠 기호의 모든 성분이 물리학적 의미를 갖는 일반 상대성 이론과 달리 이 접속은 물리학적으로 결정되지 않는 성분들을 포함하며,[1]:§4.2, Table 1 이에 따라 임의의 선택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리만 곡률도 마찬가지다.
필바인
일반 상대성 이론과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이 필바인을 도입할 수 있다.[1]:(3.52), (3.53) 필바인은 다음과 같은 동차 공간의 원소이다.

여기서
은
의 블록 대각 행렬 부분군이다.
즉, 이는 대표원

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는 게이지 변환

을 겪는다. 여기서
는 필바인 지표를 뜻한다. 이 대표원에 대응되는 리만 계량 텐서는

이다.
필바인이 주어졌다면, 다음과 같은 일반화 바이첸뵈크 접속(영어: generalized Weitzenböck connection)을 정의할 수 있다.[1]:(3.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