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인동 장씨 (상장군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인동 장씨(仁同 張氏)는 경상북도 구미시칠곡군에 위치하는 인동(仁同)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인동의 별호가 옥산이어서 옥산 장씨(玉山 張氏)라고도 한다.

간략 정보 이칭, 나라 ...

역사

시조 장금용(張金用)은 고려 초 삼중대광(三重大匡) 신호위 상장군(神虎衛 上將軍)을 역임하였다. 이후 후손들이 옥산에 세거하면서 본관을 옥산(玉山)으로 하였다.[1] 옥산의 정식 행정구역 명칭이 인동으로 변경되어 인동(仁同) 본관으로 히였다.

인동 본향에서는 역사적인 이름인 연유로 옥산을 본관으로 고집하는 후손도 있다. 옥산 장씨(玉山 張氏) 또한 상장군계 인동 장씨에 속한다. 옥산화벌(玉山華閥)로 알려져 있다.[2]

본관

인동(仁同)은 경상북도 구미시칠곡군에 위치하는 옛 인동군(仁同郡) 일대를 가리키는 지명이다.[3]

분파

대동보에는 총 27개(분파)가 있었으나 '안주파(安州派)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거주하여 현황을 알 수' 없고 '성주파(城州派)는 세대가 끊어졌다고' 하여 현재 '25개 분파'만 있다.

분파 보기
  • 종파(宗派) : 시조 장금용(張金用)의 직계 후손으로 중리파(中里派)로도 불린다.
  • 남산파(南山派) : 파조는 15세 장우(張俁)이며 조선조(朝鮮朝) 중직대부(中直大夫) 사천진병마첨절제사행현감(泗川鎭兵馬僉節制使行縣監)을 역임하였다.
  • 진가파(眞佳派) : 파조는 16세 장맹창(張孟倡)이며 조선조 예빈시(禮賓寺) 참봉(參奉)을 역임하였다.
  • 진평파(眞坪派) : 파조는 17세 장신손(張信孫)이며 조선조 중종 2년 진사(進士)에 입격하였다.
  • 황상파(凰顙派) : 파조는 18세 장잠(張潛)이며 대유학자로 조선조 중종 재위시 진사(進士)에 입격하였다.
  • 함평파(咸平派) : 파조는 6세 장백림(張百林)이며 고려조(高麗朝) 우참찬(右參贊)을 역임하였다.
  • 흥해파(興海派) : 파조는 6세 장세규(張世圭)이며 고려조 직장영동정(直長令同正)을 역임하였다.
  • 화순파(和順派) : 파조는 6세 장세재(張世榟)이며 고려조 우교위(右校尉)를 역임하였다.
  • 청안파(淸安派) : 파조는 9세 장인계(張仁溪)이며 고려조 통훈대부(通訓大夫) 판통례문사(判通禮門事)를 역임하였다.
  • 영광파(靈光派) : 파조는 9세 장인연(張仁璉)이며 고려조 소윤(少尹)을 역임하였다.
  • 청주파(淸州派) : 파조는 10세 장득선(張得宣)이며 고려조 충렬왕(忠烈王) 재위시 사순위중랑장(司巡衛中郞將)을 역임하였으며 평장사(平章事)로 증직(贈職)되고 기성군(箕城君)에 봉해졌다.
  • 가평파(加平派) : 파조는 11세 장게(張垍)이며 고려조 감무(監務)를 역임하였으며 감무공파(監務公派)로도 불린다.
  • 경파(京派) : 파조는 13세 장백(張伯)이며 고려말 태상경(太常卿)을 역임하였으며 태상경공파(太常卿公派)로도 불린다.
  • 고흥파(高興派) : 파조는 13세 장중일(張仲日)이며 고려말 내사(內寺)를 역임하였고, 조선초 한림(翰林)을 제수(除授)하였으나 불취 하였다.
  • 금구파(金溝派) : 파조는 14세 장기건(張紀乾)이며 조선조 통훈대부(通訓大夫) 사복시정(司僕寺正)을 거쳐, 진안현감(鎭安縣監)을 역임 하였다.
  • 의흥파(義興派) : 파조는 16세 장맹우(張孟佑)이며 조선조 선무랑(宣務郞)을 역임 하였다.
  • 영덕파(盈德派) : 파조는 16세 장맹선(張孟善)이며 조선조 문장가 무전(文章家無傳)을 역임 하였다.
  • 양월파(良月派) : 파조는 16세 장맹순(張孟洵)이며 조선조 예빈사(禮賓寺) 참봉(參奉)을 역임 하였다.
  • 안성파(安城派) : 파조는 16세 장맹희(張孟僖)이며 조선조 금화서(禁火署) 별좌(別坐)를 역임 하였다.
  • 양양파(襄陽派) : 파조는 17세 장달손(張達孫)이며 조선조 훈도(訓導)를 역임 하였다.
  • 초계파(草溪派) : 파조는 17세 장지손(張智孫)이며 조선조 통훈대부(通訓大夫)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을 역임 하였다.
  • 양주파(楊州派) : 파조는 17세 장석손(張碩孫)이며 조선조 도사(都事)를 역임하였으며, 通政大夫(통정대부) 左通禮(좌통례)로 증직 되었다.
  • 호명파(虎鳴派) : 파조는 18세 장도(張濤)이며 조선조 문장가(文章家)이다.
  • 울진파(蔚珍派) : 파조는 18세 장연(張演)이며 조선조 통정대부(通政大夫)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증직 되었다.
  • 무안파(務安派) : 파조는 18세 장부개(張傅凱)이며 조선조 성종 재위시 헌납(獻納)과 보국숭록대부영돈영부사(輔國崇錄大夫領敦寧府事)를 역임 하였다.

인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