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잔치국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잔치국수, 국수장국, 온면(溫麵)은 밀가루로 만든 소면 종류의 국수를 멸치로 낸 국물에 말아서 만든 음식이다.[1]
재료
잔치국수는 쇠고기나 다시마로 국물을 낼 수도 있다. 참기름, 간장, 마늘, 파, 고춧가루 등을 버무린 양념장과 함께 낸다. 국수 위에는 얇게 부친 달걀 지단과 김, 호박 등을 고명으로 얹는다. 가정에서 간편히 만드는 음식이다.
이름
잔치국수라는 이름은 잔치 때 먹는 음식이라는데서 나왔다.[2] 조선시대는 밀가루를 귀한 음식 재료로 여겨, 밀가루로 만드는 국수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결혼식이나 생일잔치, 환갑잔치와 같은 행사에서 손님들에게 대접하던 음식이 되었다. 국수는 음식 가운데 긴 길이로 '장수'의 뜻을 담게 되었고, 결혼식 피로연에서도 신랑과 신부의 결혼 생활이 오래 이어지라고 기원하는 뜻도 담아 내놓았다. [3]
역사
이름은 한국어 단어인 잔치(잔치, 문자적으로 "잔치" 또는 "연회")에서 유래하는데, 이 국수 요리가 한국 전역에서 결혼식 잔치, 생일 파티 또는 환갑 잔치와 같은 특별한 행사에서 먹었기 때문이다. 국수는 한국어로 "국수"를 의미하며, 국수는 삶과 결혼 생활의 장수를 상징한다.[4]
국수에 대한 기록은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동국이상국전집』 6권에는 시 구절에 국수가 언급되어 있고, 중국 송나라의 사신이 쓴 『고려도경』에는 고려에서는 밀이 귀하고 비쌌기 때문에 국수를 특별한 날에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국수의 가장 흔한 재료는 메밀이나 녹말이었다.[5]
대중문화
국수는 전통적으로 결혼식에서 먹기 때문에, "언제 국수 먹여줄 거야?"라는 표현은 "언제 결혼할 거야?"라고 묻는 방식이며, 결혼식 날을 "국수 먹는 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5]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