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잠자는 비너스
조르조네와 티치아노의 그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잠자는 비너스(영어: Sleeping Venus, 이탈리아어: Venere dormiente), 또는 드레스덴 비너스(Dresden Venus, Venere di Dresda)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화가 조르조네의 작품으로, 1510년 조르조네의 사망 후 티치아노 베첼리오가 완성했다. 풍경과 하늘은 주로 티치아노의 작품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다.[1] 21세기에 많은 학자들의 의견은 비너스 또한 티치아노가 그린 것으로 보며 조르조네의 기여를 불확실하게 여기는 쪽으로 기울었다.[2] 이 그림은 드레스덴 알테 마이스터 회화관에 전시되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이 이 그림을 잠시 소유했었다.
이 그림은 조르조네의 마지막 작품 중 하나로, 배경의 구릉의 윤곽과 비슷한 자세를 취한 나체의 여인을 묘사한다. 이 작품은 서양화에서 최초의 누워있는 나체화로서, 티치아노와 조르조네 중 누가 그렸는지 논쟁중인 또 다른 작품인 전원 콘서트 (루브르 박물관)와 함께[3] "에로틱한 신화적 전원화"라는 장르를 확립했다.[4] 이 장르는 풍경 속에 여성 누드를 배치하고, 경우에 따라 옷을 입은 남성들이 동반하는 형태를 띠었다.[5] 이 시기에 어떤 자세든 한 명의 나체 여인이 큰 그림의 주제가 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었지만, "누워있는 여성 누드가 베네치아 회화의 독특한 특징"이 되면서 수세기 동안 인기를 얻게 된다.[6]
원래 비너스의 발 옆에는 앉아있는 큐피드 상이 있었으나, 19세기에 덧칠되었다.[7] 또한,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양쪽 풍경이 변경되었고, 천의 색깔도 변경되었으며, 비너스의 머리는 원래 옆모습으로 그려져 티치아노의 후기 작품인 파르도 비너스와 매우 유사했다.[8] 20세기 일련의 X선 촬영을 통해 연구자들은 이 그림에 기타 다른 요소들이 덧칠되었음을 결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9] 이러한 변경의 이유는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작품의 주문자가 제안했을 가능성도 있다.[9]
Remove ads
역사

일반적인 설명에 따르면, 이 그림은 조르조네가 사망할 당시 미완성 상태였다. 풍경과 하늘은 나중에 티치아노가 완성했는데, 그는 이후, 1534년에 유사한 우르비노의 비너스와, 1540년대의 비너스와 음악가와 다나에 등과 같이, 비슷한 구도의 누워있는 여성 누드화를 여러 점 그렸다.
이 그림은 1525년 미술에 관심이 많았던 베네치아 귀족 마르칸토니오 미키엘이 지롤라모 마르첼로의 소장품에서 큐피드가 포함된 작품으로 묘사한 것과 동일한 작품으로 간주된다. 미키엘은 1521년에서 1543년 사이에 자신이 본 그림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이 그림이 조르조네의 작품이지만 풍경은 티치아노가 완성했다고 서술했으며, 최근까지 이러한 서술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심지어 오래전부터 미술사가들은 "조르조네의 작품"이라고 하기엔 너무 과다하다는 점을 알고 있음에도 이러한 사실을 인정하였다.
마르첼로는 1507년에 결혼했으며, 이 그림은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주문된 걸로 보인다. 우르비노의 비너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지만, 그 당시 누워있는 누드화는 결혼 그림으로 적합한 주제였다.[10]
이 그림은 1695년 작센의 강건왕 아우구스투스가 구입하였으며, 1722년 카탈로그에는 "티치아노의 풍경 속 누워있는 유명한 비너스"로 묘사되었다. 19세기 초에는 티치아노를 모방한 작품으로 여겨졌으며, 미키엘이 본 그림과 같은 작품이라고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19세기 조반니 모렐리가 이 작품이 미키엘의 작품이며, 조르조네 작품에 티치아노가 풍경을 그렸다는 의견을 내었고, 이후 1세기 이상 대부분 받아들여졌다. 19세기 초에 그림이 새로운 캔버스에 옮겨졌다.[11]
Remove ads
비평적 평가
미국의 미술사학자이자 큐레이터인 시드니 프리드버그에 따르면, 비너스의 들어 올린 팔과 왼쪽 손이 사타구니에 놓인 자세는 에로틱한 의미를 내포한다. 시트는 리넨에 흔히 사용되는 따뜻한 톤 대신 차가운 은색으로 그려져 있는데, 티치아노나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유사한 그림에 묘사된 것들에 비해 경직되어 보인다. 풍경은 여인의 몸의 곡선을 모방하며, 이는 결국 인체를 자연적이고 유기적인 대상으로 다시 연결시키고자 한 의도로 보인다. 프리드버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존재의 형태는 불변의 느린 호흡의 조화 속에 이상화된 존재가 정지된 상태로 표현된다. 모든 관능미는 이 감각적인 존재로부터, 그리고 모든 자극으로부터 증류되어 사라졌다. 비너스는 사랑의 행위가 아니라 사랑의 기억을 의미한다. 조르조네의 꿈의 완벽한 구현체인 그녀는 스스로 그의 꿈을 꾼다.[12]
미술사학자 마이클 파라스코스는 이 그림이 키프로스 섬의 알레고리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키프로스 섬은 1489년 카테리나 코르나로 여왕이 베네치아에 양도하였다. 파라스코스는 이 그림이 키프로스 왕국의 망명 궁정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상실감과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그리움을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한다. 기타 비너스의 몸이 섬의 모양과 비슷하게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그림 배경에 나타난 지형적 특징이 키프로스 남동부 포타미아에 있는 루시냥 여름 궁전에서 서쪽의 트루도스 산맥으로 여행하면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하다고 하였다.[13]
Remove ads
영향과 영향력
인물의 자세는 1499년 베네치아에서 출판된 책 폴리필리의 꿈의 목판화 삽화 중 한 인물과 연결되어 있지만,[14] 이렇게 큰 누드화가 단독 주제로 등장하는 것은 서양화에서 전례가 없었으며, 향후 수세기 동안 이 유형의 그림을 상당 부분 결정지었다. 비록 고전 판화에는 더 많은 누드 여성 인물이 등장하지만, 가장 가까운 선례를 찾자면 산드로 보티첼리의 두 유명한 그림인 비너스의 탄생과 프리마베라 정도가 있다.
이 그림의 구성은 매우 영향력이 컸지만, 이러한 이미지는 수세기 동안 공개 전시가 제한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 그림 또는 이 그림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이 영향을 미친 작품들로는 티치아노 베첼리오의 파르도 비너스와 우르비노의 비너스,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로케비 비너스, 프란시스코 고야의 옷 벗은 마하, 그리고 에두아르 마네의 올랭피아, 그리고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와 페테르 파울 루벤스의 여러 작품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같이 보기
- 100 Great Paintings, 1980년 BBC 시리즈
- 티치아노 작품 목록
내용주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