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장성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장성군(長城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다. 군청 소재지는 장성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10면이다. 동쪽으로는 담양군과 접하고, 서쪽으로는 영광군, 남쪽으로는 광주광역시, 함평군, 북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창군, 순창군과 접해 있다.
Remove ads
역사
《대동여지도》
- 본래 백제의 고시이현(古尸伊縣)이다. 당시 치소는 지금의 북일면 오산리였다.
- 757년 갑성군(岬城郡)으로 개칭하였다. 구사진혜현(丘斯珍兮縣)과 소비혜현(所非兮縣)이 각각 진원현(珍原縣)과 삼계현(森溪縣)으로 개칭하여 갑성의 영현이 되었다.
- 940년 갑성군이 장성현(長城縣)으로 강등되어 삼계현과 함께 영광군의 속현이 되었다. 진원현은 나주목의 속현이 되었다.
- 1172년 장성현과 진원현에 각각 감무가 파견되었다.
- 1409년 진원현의 마량향(마량부곡이라는 기록도 있다)이 폐지되었다.
- 1600년 임진왜란의 후유증으로 피폐해진 장성현과 진원현을 장성현으로 통합하고, 치소를 장성 남쪽 20리, 진원 북쪽 20리 지점인 지금의 장성읍 성산리로 이전하였다.
- 1665년 장성현이 장성도호부로 승격하였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주부 장성군으로 개편하였다.[3]
- 읍서면, 읍동면, 내동면, 외동면, 남일면, 남이면, 남삼면, 서일면, 서이면,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삼면, 북상면, 북하면
-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장성군으로 개편하였다.[4]
- 1906년 창평군 갑향면과 영광군 현내면, 내동면, 외동면, 외서면, 삼남면, 삼북면이 장성군에 편입되었다. 영광에서 편입된 6개면은 모두 옛 삼계현 지역이다.
-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창평군 갑향면을 담양군에 이관하고, 영광군 삼북면(森北面)·내동면(內東面)·현내면(縣內面)을 합해 삼계면으로, 삼남면(森南面)·외서면(外西面)을 합해 삼서면으로, 외동면(外東面)과 함평군 대화면(大化面)을 합해 동화면으로 하여 장성군에 편입하여 13개면으로 하였다.(13개면 : 장성면, 진원면, 남면,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황룡면,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삼면, 북상면, 북하면)[5]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1921년 장성군청을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 1930년 북삼면을 장성면에 합면하였다. (12개면)
- 1943년 10월 1일 장성면을 장성읍으로 승격, 읍사무소를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6] (1읍, 11개면)
- 1975년 10월 1일 장성호 건설로 북상면을 폐지하였다.[7] (1읍 10개면)
대통령령 제7817호
Remove ads
지리
전라남도 북부와 전북특별자치도 남부 사이에 위치한 내륙지역으로 동쪽으로는 담양군, 서쪽으로는 영광군, 남쪽으로는 광주광역시와 함평군이 위치해 있으며 북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창군, 순창군과 인접해 있다. 특히 대도시인 광주광역시 북부와 전북특별자치도 남부에 붙어있어 광주광역시와 전북특별자치도 사이의 중간지점 역할을 하고 있다. 서쪽상 영광군에 둘러싸여 서해안 바다와는 멀리 떨어져있다.
행정 구역

장성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성군의 면적은 518.5km2이며, 인구는 2011년 3월 31일을 기준으로 20,840 세대, 47,239명이고 그 중 28.7%가 장성읍에 거주한다. 인구 정점은 129,934명 (단독 선거구 구획 가능)이었다.
인구
장성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8]
- 관광
축령산(높이 621미터) 자락 북일면 문암리, 서삼면 모암·대덕리 일대 596ha에 편백나무·삼나무·낙엽송으로 이루어진 조림 생태 숲이 있어 산림욕과 산책하기에 좋다.[9][10]
문화
- 백양사 : 대한불교 조계종 제18교구 본사로, 백제 무왕 때 백암사로 개칭, 고려 덕종 때 중연선사가 중창 불사 후 정토사로 불렀다. 그러나 조선 선조 때 지완스님이 영천굴에서 설법을 할 때 흰 양이 자신의 죄를 용서받고 천상으로 올라갔다는 전설에 의해 백양사로 개칭하였다. 경내에는 보물인 소요대사부도를 비롯한 극락보전, 대웅전, 사천왕문, 청류암, 관음전 등의 건조물 문화재와 비자나무숲, 고불매 등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백양사가 위치한 백암산 백학봉 일원은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는 총림사찰이다.
- 필암서원(사적 제242호) : 1590년에 건립된 서원이다.
- 입암산성(사적 384호)
- 장성 황룡 전적(사적 406호) : 동학농민운동의 전적지이다.
- 장성호
- 남창계곡
- 방장산자연휴양림
- 모암산림욕장
- 축령산편백숲
- 황룡강 생태공원
- 홍길동테마파크 국궁체험장
- 평림댐 장미공원
- 월성계곡
- 장성호 문화예술공원
- 임권택 시네마테크 : 임권택 감독의 삶과 작품세계를 조명하고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조성하였으며, 지상 3층 연면적 1,147m2의 규모로 건립되었다. 상영관과 전시관, 영화 관련 연구 및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축제
- 축령산 산소축제
- 장성황룡강 노란꽃잔치
Remove ads
인물
|
|
Remove ads
FM 라디오 주파수 방송 목록
- 88.3 - 전주KBS 제1라디오 (구례 노고단)
- 89.1 - 목포MBC 표준FM (해남 대둔산)
- 89.7 - BBS 광주불교방송 (광주 무등산)
- 90.5 - 광주KBS 제1라디오 (광주 무등산)
- 91.5 - 광주MBC FM4U (광주 무등산)
- 92.3 - 광주KBS 클래식FM (광주 무등산)
- 93.1 - febc 광주극동방송 (광주 무등산)
- 93.9 - 광주MBC 표준FM (광주 무등산)
- 94.7 - 남도국악방송 (해남 대둔산)
- 95.1 - 광주MBC FM4U (구례 노고단)
- 95.5 - 광주KBS 제2라디오 해피FM (광주 무등산)
- 96.5 - KFN 라디오 (광주 무등산)
- 97.3 - TBN 광주교통방송 (광주 무등산)
- 98.1 - 광주CBS 음악FM (광주 무등산)
- 98.7 - GGN 글로벌광주방송 (광주 무등산)
- 99.3 - 광주국악방송 (광주 무등산)
- 99.9 - cpbc 광주가톨릭평화방송 (광주 무등산)
- 101.1 - 광주kbc 마이FM (광주 무등산)
- 101.7 - 전주MBC 표준FM (구례 노고단)
- 102.3 - 목포MBC FM4U (목포 양을산)
- 103.1 - 광주CBS 표준FM (광주 무등산)
- 104.1 - EBS 라디오 (해남 대둔산)
- 104.5 - 전주KBS 클래식FM (구례 노고단)
- 105.3 - EBS 라디오 (광주 무등산)
- 105.9 - 목포KBS 제1라디오 (해남 대둔산)
- 106.7 - EBS 라디오 (목포 양을산)
- 107.5 - EBS 라디오 (구례 노고단)
- 107.9 - WBS 광주원음방송 (광주 무등산)
Remove ads
수상
역대 군수
자매 도시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