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전각 문자와 반각 문자 (유니코드 영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전각 문자와 반각 문자(Halfwidth and Fullwidth Forms)는 U+FF00–FFEF 유니코드 영역으로, 전각 및 반각 문자를 모두 포함하는 이전 인코딩이 유니코드와 상호 손실 없이 변환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는 기본 다국어 평면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영역이며, U+FFF0–FFFF의 짧은 특수블록 영역이 뒤따른다. 유니코드 1.0에서의 블록 이름은 Halfwidth and Fullwidth Variants였다.[4]
U+FF01–FF5E 범위는 ASCII 21부터 7E까지의 문자를 전각 형태로 재현한다. U+FF00은 전각 ASCII 20(공백 문자)에 해당하지 않는데, 그 역할은 이미 U+3000 "표의 공백"이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U+FF61–FF9F 범위는 JIS X 0201 인코딩의 A1부터 DF까지를 전치한 형태로 가타카나의 반각 형태와 관련 문장 부호를 인코딩한다. 자세한 내용은 반각 가나를 참조한다.
U+FFA0–FFDC 범위는 한글에 대한 호환 자모 문자의 반각 형태를 1974 표준 레이아웃을 전치한 형태로 인코딩한다. 이는 한국어용 일부 IBM 인코딩(예: IBM 코드 페이지 933)의 매핑에 사용되며, 이는 시프트 아웃과 시프트 인 문자를 사용하여 겹 바이트 문자 집합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한다.[5] 겹 바이트 문자 집합에는 호환 자모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왕복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반각 변형이 필요하다.[6][7]
U+FFE0–FFEE 범위는 전각 및 반각 기호를 포함한다.
Remove ads
블록
전각 문자와 반각 문자[1][2] Official Unicode Consortium code chart (PDF)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FF0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U+FF1x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 ; | < | = | > | ? |
U+FF2x | @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U+FF3x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 [ | \ | ] | ^ | _ |
U+FF4x | `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U+FF5x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 { | | | } | ~ | ⦅ |
U+FF6x | ⦆ | 。 | 「 | 」 | 、 | ・ | ヲ | ァ | ィ | ゥ | ェ | ォ | ャ | ュ | ョ | ッ |
U+FF7x | ー | ア | イ | ウ | エ | オ | カ | キ | ク | ケ | コ | サ | シ | ス | セ | ソ |
U+FF8x | タ | チ | ツ | テ | ト | ナ | ニ | ヌ | ネ | ノ | ハ | ヒ | フ | ヘ | ホ | マ |
U+FF9x | ミ | ム | メ | モ | ヤ | ユ | ヨ | ラ | リ | ル | レ | ロ | ワ | ン | ゙ | ゚ |
U+FFAx | HW HF |
ᄀ | ᄁ | ᆪ | ᄂ | ᆬ | ᆭ | ᄃ | ᄄ | ᄅ | ᆰ | ᆱ | ᆲ | ᆳ | ᆴ | ᆵ |
U+FFBx | ᄚ | ᄆ | ᄇ | ᄈ | ᄡ | ᄉ | ᄊ | ᄋ | ᄌ | ᄍ | ᄎ | ᄏ | ᄐ | ᄑ | ᄒ | |
U+FFCx | ᅡ | ᅢ | ᅣ | ᅤ | ᅥ | ᅦ | ᅧ | ᅨ | ᅩ | ᅪ | ᅫ | ᅬ | ||||
U+FFDx | ᅭ | ᅮ | ᅯ | ᅰ | ᅱ | ᅲ | ᅳ | ᅴ | ᅵ | |||||||
U+FFE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otes |
이 영역에는 동아시아 문장 부호의 위치 변형을 위한 변이 시퀀스가 정의되어 있다.[8][9] 이것들은 U+FE00 VARIATION SELECTOR-1 (VS01)과 U+FE01 VARIATION SELECTOR-2 (VS02)를 사용한다.
U+ | FF01 | FF0C | FF0E | FF1A | FF1B | FF1F | 설명 |
기본 코드 포인트 | ! | , | . | : | ; | ? | |
기본 + VS01 | !︀ | ,︀ | .︀ | :︀ | ;︀ | ?︀ | 모서리 정렬 형태 |
기본 + VS02 | !︁ | ,︁ | .︁ | :︁ | ;︁ | ?︁ | 중앙 정렬 형태 |
추가 변형은 짧은 대각선 획이 있는 전각 0에 대해 정의된다: U+FF10 FULLWIDTH DIGIT ZERO, U+FE00 VS1 (0︀).[10][9]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다음 유니코드 관련 문서는 전각 및 반각 문자 영역의 특정 문자를 정의하는 목적과 과정을 기록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 한중일 문장 부호 (유니코드 영역)
- 한글 자모 (유니코드 영역)
- 가타카나 (유니코드 영역)
- 유니코드 로마자
- 원 안에 글자 - 글머리 기호 시퀀스, 일부는 전각으로 나타남 (예: ⒈,⓵,⑴,⒜,ⓐ)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