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정칙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가환대수학에서 정칙렬(正則列, 영어: regular sequence 레귤러 시퀀스[*])은 어떤 가군의 크기를 하나씩 ‘최대한’ 줄이는, 가환환 원소들의 열이다.[1]:123–152, Chapter 6 여기서 가군의 ‘크기를 줄인다’는 것은 가환환의 원소로 생성되는 부분 가군에 대한 몫가군을 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칙렬에서 임의의 성분 는 그 이전 성분들()로 생성되는 부분 가군 에 대한 몫가군 의 영인자가 아니다.
대수기하학적으로, 정칙렬은 여차원을 양의 정수 만큼씩 줄이는 ‘잘라내기’들로서 정의되는 부분 대수다양체에 해당한다.
Remove ads
정의
요약
관점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유한 원소열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의 정칙렬이라고 한다.[2]:419
- 임의의 및 에 대하여، 만약 이라면, 이다. (즉, 는 의 영인자가 아니다.)
일부 문헌에서는 정칙렬의 정의에 이라는 조건을 추가한다. 이는 가군의 깊이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 더 편리하지만, 이 조건은 국소화에 대하여 보존되지 못한다.
기하학적으로, 정칙렬의 원소는 가군의 소멸자 속의 일련의 부분 스킴들
에 대응된다. 특히, 만약 인 경우 이는 ‘방정식’을 하나씩 추가하여 얻어지는 부분 스킴들의 열
에 해당한다.
Remove ads
성질
요약
관점
-가군 속의 정칙렬 이 주어졌을 때, 임의의 가역원 에 대하여 역시 정칙렬이다.
국소화
-가군 속의 정칙렬 이 주어졌으며, 의 곱셈 모노이드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국소화 로 가는 표준 환 준동형 에 대하여, 원소열 역시 의 정칙렬이다.
증명:
(※만약 정칙렬의 정의에 이라는 조건을 추가한다면, 이 조건은 국소화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보존되지 못한다.)
순열
정칙렬의 순열은 일반적으로 정칙렬이 아니다.
다만, 뇌터 가환환 의 유한 생성 가군 에 대하여,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정칙렬 의 순열은 역시 정칙렬이다.[1]:126, Theorem 16.3
깊이
뇌터 가환환 의 아이디얼 및 유한 생성 가군 이 주어졌을 때, 속에 포함된 -정칙렬의 최대 길이를 의 깊이라고 한다. 이 개념은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소 가환환에서, 극대 아이디얼에 포함된 정칙렬의 길이는 그 크룰 차원 이하이다. 이 상한을 포화시키는 (즉, 깊이와 차원이 일치하는) 국소 가환환을 코언-매콜리 국소환이라고 한다.
Remove ads
예
요약
관점
길이 1의 정칙렬은 단순히 가군의 영인자가 아닌 임의의 원소이다.
정칙렬이 아닌 정칙렬 순열
를 스스로 위의 가군으로 간주하자. 이 경우,
는 정칙렬이다. 그러나 그 순열인
는 정칙렬이 아니다.[1]:127, §16 구체적으로, 는 의 영인자가 아니지만, 는 의 영인자이다. 예를 들어
이다.
기하학적으로, 는 3차원 아핀 공간이며, 이 경우
는 으로 정의되는 평면이다. 그 속에서
는 축이며,
는 그 속의 원점이다.
반면,
는 평면과 평면의 합집합이다. 그 속에서
는
- 축과 평면의 합집합이므로, 이는 양의 여차원을 갖지 못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