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제주항공

대한민국의 저가항공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제주항공
Remove ads

제주항공(濟州航空)은 대한민국저비용 항공사로 2005년, 애경그룹제주특별자치도가 공동으로 설립하였다.[1]

간략 정보 IATA, ICAO ...
Remove ads
간략 정보 형태, 창립 ...
Remove ads

역사

제주특별자치도는 지역 항공사 설립을 위해 애경그룹과 설립 협약을 체결하였으며[1], 운항에 필요한 등기설립과 자본금 확보 등의 기초작업을 진행하였다.[2] 2005년, 봄바디어봄바디어 Q400 항공기 도입계약을 체결하였다.[3] 다음해 제주 ~ 서울(김포) 취항을 시작으로 이후 부산양양으로 국내선을 확대하였다.[4]

2008년 보잉 737-800 항공기 5대 도입을 진행, 제트여객기 운항과 함께 국제선 취항을 하였다.[5][6]

2014년 발표한 실적 LCC 최초로 매출 6,000억원을 돌파 (6,081억원)하였으며,[7] 2015년 11월 6일에 상장했다. 공모가 30,000원 보다 60%이상 높은 금액인 48,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로써 국내 LCC 최초로 상장한 회사가 되었고, 시가총액 1조 2,461억원에서 4,900억원으로 1.31% 하락해 시가총액 9,560억원이 된 아시아나항공보다 시가총액이 높아졌다.[8]
2009년 3월 대한민국 내 저비용 항공사로는 처음으로 국제선에 취항하였다.

2017년 10월 항공기 지상 서비스 동보공항서비스를 인수 후 2018년 2월 사명을 제이에이에스로 바꾸고 출범하였다.

2018년 11월 보잉 737 MAX 40대 구매계약을 체결했다.

Remove ads

연혁

2005년

  • 1월 25일: 제주에어로 설립[9]
  • 8월 25일: 정기항공운항사업면허 및 노선면허 취득
  • 9월 12일: 상호명을 제주에어에서 제주항공으로 변경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2년

2023년

Remove ads

운항 노선

요약
관점

코드쉐어 협정

제주항공은 코드쉐어 협정을 체결하였다. 2020년 2월 기준으로 제주항공과 코드쉐어를 실시 중인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23]

인터라인 협정

  • 제주항공은 복수의 항공사가 각각 운항하는 노선을 하나의 티켓에 연계 판매하는 제휴 형태의 협정인 인터라인 협정을 다른 항공사들과 맺고 있다. 2020년 2월 기준으로 제주항공과 인터라인 협정을 체결한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
  • 유나이티드 항공 (스타얼라이언스)
  • 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취항지

허브
취항 예정지
전세편 노선
단항 노선
자세한 정보 도시, 공항 IATA ...
Remove ads

보유 기종

  • 2023년 12월 기준 제주항공의 보유기종은 다음과 같으며 기체의 평균 기령은 11.2년이다.[85][86][87]
자세한 정보 기종, 대수 ...

퇴역 기종

자세한 정보 기종, 대수 ...
  • 봄바디어 Q400으로 운항을 시작한 제주항공은 사업 5년차인 2010년, Q400 항공기를 매각하고 기종 단일화 사업을 결정하였고, 2010년 6월 16일 고별비행을 마지막으로 Q400을 모두 매각하고 보잉 737-800 항공기로 기종 단일화 사업을 시작했다. 기종 단일화를 통해 운항원가 절감과 함께 Q400으로 어려웠던 국제선 취항을 통해 수익성을 끌어올릴 계획이다.[90]
Remove ads

사건 및 사고

  • 2007년 2월 1일 16시 50분경, 제주국제공항을 출발하여 김포국제공항으로 향하던 7C 122편이 김포국제공항에 착륙 후 터미널로 이동하던 중 유도로에서 오른쪽 랜딩기어 바퀴 두개 중 하나가 이탈하였다.[91]
  • 8월 12일 8시 50분경, 제주국제공항을 출발하여 부산 김해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7C502편김해국제공항에 착륙 후 활주로를 이탈하여 배수구에 빠져 멈춰섰다. 당시 이 항공기에는 74명이 탑승해있었으며, 1번 엔진 프로펠러 등 기체가 파손되었다.[92]
  • 2013년 2월 3일 22시 20분경, 제주국제공항을 출발하여 김포국제공항을 향하던 제주항공 7C120편이 김포국제공항에 안전하게 착륙 하였으나 주기장으로 이동 중 눈이 쌓여 미끄러워진 활주로 때문에 잔디밭으로 이탈하였다. 이 사고로 국내선 12편 국제선 2편이 김포국제공항에 착륙하지 못하고 인천국제공항으로 회항하였다.[93]
  • 2015년 1월 5일 3시경 사이판 국제공항을 출발해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할 예정이던 7C3401편이 안개로 인한 저시정 때문에 청주국제공항으로 회항했다.[94] 하지만 제주항공 측은 아무 설명도 없이 4시간 넘게 승객들을 비행기에 대기시켰다. 이 비행기는 장비 이상으로 출발부터 6시간 넘게 지연돼 승객들은 24시간 가까이 비행기에 갇혀 있었다. 승무원들도 이미 법정 근무시간을 초과한 상태에서 제주항공은 대체 승무원들을 투입하려 했지만 그마저도 여의치 않자, 대책없이 승객들을 붙잡아두었다. 결국 승객들은 오전 10시가 넘어서야 항공사 측이 마련한 버스를 타고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했다. 한편 이 과정에서 한국공항공사의 제주항공에 대한 압력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95]
  • 2015년 12월 23일 7시 10분 경 김포국제공항을 출발해 제주국제공항으로 가던 제주항공 7C101편이 18,000피트 상공에서 기내 여압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승객들이 귀막힘등 여러 증세가 보였고 해당 항공기는 여압장치가 필요없는 10,000피트 이하로 저공 비행하여 무사히 제주국제공항에 착륙했다. 원인은 조종사가 여압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96][97]
  • 2019년 6월 12일 3시 30분 경 필리핀 클라크 국제공항을 출발해 인천국제공항으로 승객 149명을 태우고 가던 제주항공 7C4604편 여객기가 이륙 중 경보음과 함께 좌석에 산소마스크가 떨어지면서 안전벨트와 산소마스크 착용을 알리는 방송이 나왔다. 사건 후 항공기는 출발지로 회항하였으나 당시 승무원의 대처가 적절치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었다.[98][99]
  • 2021년 3월 8일, 제주항공 7C 606편이 에어서울 RS906편 항공기와 충돌한 사고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광주공항에서 제주국제공항으로 복귀 후 사고사실을 인지하였는데 이에 대한민국 국토교통부는 사고원인을 조사, 제주항공에 대해 과징금 부과 및 조종사에 대한 자격정지명령을 처분을 내렸다.[100][101]
  • 2024년 12월 29일, 수완나품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무안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2216편이 착륙 과정서 동체착륙 후 활주로 이탈 사고가 발생하여 179명이 사망했다.
  • 2024년 12월 30일, 김포 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제주 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101편이 랜딩기어 이상으로 김포 국제공항으로 회항했다. 전날 같은 기종인 제주항공 2216편의 활주로 이탈 사고가 있었기 때문에 일부 승객들은 탑승을 거부하기도 했다.[102]
Remove ads

주요 주주

※ 2017년 1분기 감사보고서 기준

사진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