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무안국제공항
전라남도 무안군에 있는 국제공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무안국제공항(務安國際空港, 영어: Muan International Airport, IATA: MWX, ICAO: RKJB)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광주공항과 목포공항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Remove ads
연혁
1980년대
- 1986년 : 영동, 호남권 신 국제공항 건설 추진
- 1989년 : 수도권, 영동, 호남 3개 신공항 건설 계획을 발표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Remove ads
시설 규모
운항 노선
국제선
국내선
이용객 추이
전체
국내선
국제선
Remove ads
논란
명칭 변경 문제
광주공항 통합 문제
- 무안국제공항은 1993년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사고 이후 광주공항과 목포공항을 통합해 대체하기 위해 1999년에 착공하여 2007년에 완공해 같은 해 11월 8일에 개항하였다. 그러나 광주공항의 국내선이 유지되어 여객 유치에 한계가 있었고, 개항 초기에는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2009년 신종플루 사태로 이용객 수가 매우 적어 사실상 유령공항이 되었다.
- 이를 이유로 광주광역시 내에서는 무안국제공항에 대한 회의론이 퍼졌고, 광주공항의 국제선을 부활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었다.[12] 그러나, 이는 소음 문제를 이유로 광주공항의 군공항을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과 배치되어 이율배반적인 것이었다.
- 전라남도와 무안군은 광주공항의 국내선을 이전해야 무안국제공항이 활성화가 된다고 주장하면서도,[13] 무안군은 군공합 통합 이전을 반대하고 전라남도는 미온적 입장을 보여왔다.
- 2021년까지 광주공항을 폐쇄하고 공항 기능을 모두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하기로 2018년에 전라남도지사와 광주시장이 합의하였으나,[14] 국토교통부가 군공항 이전과 연계해 추진하기로 공항개발 종합계획을 확정함으로써 이전이 미뤄졌다.[15]
- 광주공항이 폐쇄·통합되면 무안공항의 연간 이용객 수는 4개 대형 공항(인천, 제주, 김포, 김해) 등에 이어 대한민국 6위권 공항으로 만성적인 적자 공항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된다.[16]
Remove ads
사건 및 사고
2016년 무안 훈련기 추락 사고
- 2016년 6월 17일 15시경 무안 훈련기 추락사고로 3명 전원 사망 했다.
2024년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2024년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경, 181명이 탑승한 태국 방콕발 제주항공 7C2216편(보잉 737-800)이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동체 착륙을 시도하던 중 외벽과 충돌했다. 동체 충돌 후 발생한 화재로 반파되었고, 사망자 179명(태국인2명 포함), 생존자 2명(승무원)으로 밝혔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