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조현 (외교관)
대한민국의 외교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조현(趙顯, 1957년 11월 30일~)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으로, 주유엔 대사와 외교부 제1·2차관을 역임하였다. 2025년 7월부터는 외교부 장관으로 재임 중에 있다.
Remove ads
학력
- 전주고등학교 졸업
-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국제관계학 사회과학 석사
- 파리정치대학 대학원 국제정치학 정치학 석사
- 툴루즈 제1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학 정치학 박사
생애
1968년 전라북도 김제시 출생의 조현은 외무고시 13회로 1979년 외무부(現 외교부)에 입부, 1990년대 중반 초임 간부 시절 본부 통상기구과장을 역임한 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국에서 근무하였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주유엔 대표부 차석대사, 본부 다자외교 조정관, 주오스트리아 대사 겸 주빈 국제기구대표부 대사, 유엔 개발 공업 기구(UNIDO) 공업개발이사회 의장, 탄도미사일확산방지행동규범(HCOC) 의장 등을 역임하였다.[1]
2002년, 다자통상국 심의관으로서 한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 관여하는가 하면 2004년에는 외교통상부 국제경제국장 시절 한-멕시코 FTA 협상 수석대표를 겸임키도 하였다. 이후 2017년 외교부 2차관에 임명, 이듬해 1차관으로 수평 이동하였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주유엔 대사를 맡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추진에 관여하였다.[1] 또한, 당시 대한민국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하여 러시아의 철군을 요구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총회 결의안에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였다. 3월 1일 개최된 유엔 긴급특별총회에서 조 대사는 "이번 전쟁은 러시아의 선택"이라면서 "회원국의 주권, 독립, 영토보전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어떠한 행동도 규탄한다"며 러시아를 비판하였다.[2]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후에는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북한 비핵화 원칙인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 표현을 공식적으로 다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3]
2025년 6월에 국민주권정부의 초대 외교부장관 후보자로 지명, 그해 7월 공식 취임하였다.
Remove ads
경력
- 제13회 외무고시 합격
- 외무부 입부
- 주벨기에·유럽 연합 대한민국 대사관 2등서기관
- 주중앙아프리카 대한민국 대사관 2등서기관
- 주세네갈 대한민국 대사관 2등서기관
- 외무부 통상기구과 과장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1등서기관
- 경제협력개발기구 사무국
- 외교통상부 다자통상국심의관
- 외교통상부 국제경제국 국장
-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차석대사
- 외교통상부 에너지자원대사
- 외교통상부 다자외교조정관
- 주오스트리아 대한민국 대사관 겸 주빈 국제 기구 대표부 대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초빙교수
- 주인도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 2017년 6월~2018년 9월 - 외교부 제2차관
- 2018년 9월~2019년 5월 - 외교부 제1차관[4]
- 한-남아시아 의회외교포럼 자문위원
-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특명전권대사
- 2024년 9월 의회외교활동 자문위원회 위원장
- 2025년 7월 - 외교부 장관
- 2025년 7월 - 대통령 직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당연직 위원
상훈
- 2012년 12월 - 대한민국 홍조근정훈장
- 2014년 [5] 4월 - 오스트리아 은장훈장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