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존 프랑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존 프랑케(John R. Franke, 1954년 - )포스트모던 시대의 도전에 응답하는 복음주의 신학자이다. 그는 특히 선교적 신학(missional theology)과 포스트모던 정통주의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그의 신학은 근대적 이성주의와 객관적 진리 개념을 넘어서면서도, 포스트모던 시대에 맞는 새로운 신학적 접근을 추구하면서, 기독교 신앙의 핵심을 굳건히 지키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의 옥스퍼드 박사 학위 지도 교수는 앨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McGrath)였다.

신학적 기여

1. 선교적 신학 (Missional Theology) 프랑케는 선교를 교회의 여러 활동 중 하나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본질 그 자체로 이해한다. 즉, 하나님은 본질적으로 선교적(missional)이며, 선교는 하나님이 세상과 관계를 맺고 구원 역사를 펼치시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교회는 이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참여하는 존재이며, 이것이 교회의 근본적인 정체성을 정의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은 선교를 단순히 해외 선교나 전도로만 한정하지 않고, 교회의 모든 존재와 활동이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것이다.

2. 포스트모던 정통주의 (Postmodern Orthodoxy) 스텐리 그렌츠와 공동 저술한 《기초주의를 넘어서》(Beyond Foundationalism)에서 프랑케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적 통찰을 신학에 적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했다. 그는 모더니즘 시대의 신학이 모든 것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초' 위에 세우려 했다고 비판한다. 반면, 포스트모더니즘은 그러한 절대적 기초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한다. 프랑케는 이 포스트모던적 통찰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 신학의 최종 권위는 성경 자체에 기반한 이성적 논리가 아니라 성경을 통해 말씀하시는 성령님이라고 주장한다. 이로써 그는 포스트모던 시대에도 기독교의 정통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3. 진리의 복수성 (Plurality of Truth) 프랑케는 자신의 저서 《다양한 증언: 진리의 복수성》(Manifold Witness: The Plurality of Truth)에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진리 개념을 다룬다. 그는 성경이 다양한 문학 장르와 관점을 포함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진리가 반드시 단일하고 획일적인 형태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대신, 진리는 다양한 맥락과 관계 속에서 복수적으로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상대주의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독교 진리가 문화적, 역사적 다양성 속에서도 풍성하게 증언될 수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한다.

4 성경해석 그는 성경해석의 특징은 해석학적·상황적 신학이다. 진리를 단순한 추상적·보편적 개념으로 보지 않고, 역사적·문화적 상황 속에서 드러나는 다층적 해석으로 이해한다. 그러므로 성경 해석도 공동체적 맥락 안에서 다양하게 가능하다 한다.

Remove ads

개혁신학과 관계

프랑케는 전통적인 개혁신학칼뱅신학을 16세기, 17세기로 고정시키는 보수적 왜곡을 비판하며, 개혁 신학은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변하는 세상 속에서 복음의 영원한 진리를 전하기 위해 계속해서 개혁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개혁 신학은 한 차례 완성되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개혁되어야 하는 과정이며, 이것이 포스트모던 시대 정통주의 신학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라고 한다.

또한 그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맞는 새 교리를 개척하는 것, 즉 탈중세(post-medieval) 시대에 맞는 신학을 모색하는 데 관심이 많다. 이 과정에서 삼위일체 사랑, 이타적 선택, 무제한적 화해, 마음을 움직이는 은혜, 그리고 열정적이고 끈기 있는 성도와 같은 신학적 주제를 강조한다.

5 가지 주장

  1. 지속적 개혁의 신학: 개혁 신학은 한 번 완성된 고정된 것이 아니라, 포스트모던 시대의 문화적 다양성과 변화에 대응하여 끊임없이 개혁되고 새로워져야 한다.
  2. 삼위일체 사랑의 중심성: 신학의 핵심은 하나님 삼위일체의 사랑이며, 이는 신학과 교회, 신자의 삶 전반에 근본적 영향을 미쳐야 한다.
  3. 무제한적 화해와 용서: 하나님의 은혜는 무제한적이며, 모든 인간에 대한 용서와 화해를 강조함으로써 포스트모던 시대의 분열과 갈등을 넘어 하나 됨을 추구한다.
  4. 사회적 공동체와 선교 강조: 포스트모던 신학은 개인주의를 넘어, 공동체적 삶과 선교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교회의 사회적 책임과 참여를 부각한다.
  5. 실제적 영성 및 신앙의 열정: 신앙은 지적 동의뿐 아니라 삶의 열정과 실천으로 나타나야 하며, 성도들의 끈기와 헌신을 통한 신앙의 구체적 실현이 중요하다

평가

복음주의적 포스트모던 정통주의 신학자로, “신학은 공동체적이고 해석학적 작업”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긍정적로는 복음주의 신학이 근대주의적 이성주의에 갇히지 않고, 포스트모던 상황 속에서 새롭게 정통 신앙을 해석하도록 도움을 준 것이다. 그러나 비판할 점은 상대주의와 다원주의를 지나치게 수용한다는 우려. 특히 복음주의 내에서 “성경의 절대적 권위”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일부 복음주의 학자들 예를들면 D.A. 카슨, 케빈 밴후저)은 프랑케의 입장을 “복음주의 정체성을 흐릴 위험”이 있다고 우려한다.

학력

  • 1997: D. Phil., University of Oxford.
  • 1987-1990: Doctoral Studies, Drew University.
  • 1987: M.A., Biblical Theological Seminary.
  • 1984: B.A., Nyack College.

저서

  • Manifold Witness: The Plurality of Truth. Nashville: Abingdon Press, 2009.
  • Barth for Armchair Theologians.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2006.
  • Joshua, Judges, Ruth, 1-2 Samuel in the Ancient Christian Commentary on Scripture. Downers Grove: InterVarsity Press, 2005.
  • The Character of Theology: An Introduction to its Nature, Task, and Purpose.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5.
  • With Stanley J. Grenz. Beyond Foundationalism: Shaping Theology in a Postmodern Context.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2001.
Remove ads

논문

  • “The Many and the One,” Immerse: A Journal of Faith, Life and Youth Ministry 1/4 (November/December, 2010): 18-22.
  • “Making Space for the Other: A Response to Professors Baylis and Harper.” Cultural Encounters: A Journal for the Theology of Culture 6/1 (2010): 43-46.
  • “Still the Way, the Truth, and the Life.” Christianity Today 53/12 (December 2009): 27-31.
  • “Theology Reformed and Reforming: The Enduring Significance of John Calvin.” Journal of Presbyterian History 87/2 (Fall/Winter 2009): 70-73.
  • “Faith Seeking Understanding in a Postmodern Context: Stanley Grenz and Nonfoundational Theology.” Princeton Theological Review 12/1 (2006): 17-22.
  • “Postmodern Reformed Dogmatics: Reformed Theology and the Postmodern Turn.” Reformation & Revival Journal 13/1 (2004): 117-132.
  • “Postmodern and Reformed? A Response to Professors Trueman and Gaffin.”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65/2 (2003): 331-343.
  • “Salvation Now, Salvation Forever: Reformation Amillennialism.” Christian History 18/1 (1999): 20-22.
  • “Augustine: The Development of a Leade.,” Tabletalk 20/6 (1996): 8-10.
  • “The Search for a Gracious God,” Biblical Bulletin 86 (1995): 4-5.
Remove ads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