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포스트모던 정통주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포스트모던 정통주의(postmodern ortholoxy)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비판'하고 포스트모던 시대를 초월하는 새로운 정통주의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는 신학적 운동이다. 넓은 개념으로 사용되며, 특정 학파를 지칭하기보다 "포스트모던 시대 속에서의 정통적 신학"을 말한다.

배경과 특징

포스트모던 철학과 후기 구조주의가 지배하는 시대에, 기독교 정통 신학(특히 삼위일체론, 교회론, 성례전 등)을 새롭게 재해석하려는 흐름이 나타났다. 스텐리 그렌츠토마스 C. 오든, 케빈 밴후저, 존 프랑케의 신학적 입장들이다.

  • 포스트모던의 상대주의와 허무주의를 거부하고, 정통 기독교 신앙의 깊이를 대안으로 제시.
  • 칼 바르트 이후 정통 신학을 현대 철학(예: 데리다, 리오타르, 푸코 등)과 대화시키려 함.
  •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의 파편성, 다의성 등은 인정하지만, 그것이 갖는 한계를 비판하며 1990년대 이후 학자들은 관계성을 공급하고자 한다.
  • 포스트모던성을 넘어선 대안을 주장한다. 포스트모던적 차이를 넘어서는 대안적인 신학을 제시하려는 경향이 있다.
  • 세속 사회에 대한 비판적 태도는 세속화에 대한 전제마저 비판적으로 볼 준비가 되어 있으며, 세속 사회와 타협하지 않으려 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