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종합병원 (드라마)
1990년대 중반 당시 메디컬 드라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종합병원》은 1994년 4월 17일부터 1996년 3월 3일까지 문화방송에서 방영된 의학 드라마이며 일본 내 한국어 채널 KNTV를 통해 방송할 예정인데 탄탄한 사전 취재를 통하여 병원의 세계를 사실적으로 묘사해 전문직 드라마의 가능성을 열어놓았으나 나중에는 의사와 간호사, 의사와 의사와 짝짓기로 내용의 대부분을 채워 사랑놀음으로 변질되었다는 지적을[1] 받았다.
Remove ads
방송 시간
등장 인물
주요 인물
일반외과
- 신은경 : 이정화 역 - 레지던트 1년 차 → 응급의학과 레지던트 2년차 (1~61회)
- 조경환 : 정도영 역 - 스텝 → 응급의학과 과장
- 심양홍 : 황지만 역 - 과장
- 주용만 : 강대종 역 - 레지던트 2년 차 → 치프 레지던트
- 오욱철 : 박재훈 역 - 치프 레지던트 (1회~49회)
- 박소현 : 김소영 역 - 레지던트 1년 차 → 2년차 인선병원에서 파견 됨 (25~48회)
- 손민우 : 김상욱 역 - 레지던트 1년 차 → 2년차
- 김환교 : 한만용 역 - 레지던트 2년 차 → 응급의학과 치프 레지던트 (17회~92회)
- 구본승 : 한동민 역 - 인턴 → 레지던트 1년 차(10회~42회)
- 조민기
내과
일반외과 병동
응급의학과
기타 과
그 외 인물
- 김민경 : 위암 환자 역
- 이도련 : 김진명 역 - 의사, 일반외과 황지만 과장의 후배, 신경정신과에서 트랜스퍼된 환자의 아버지
- 김현주 : 이유라 역 - 패션 디자이너. 직장암 환자
- 김응석 : 강호 역 - 무기수. 급성 담도염 환자
- 허윤정 : 윤민애 역 - 무기수 강호의 옛연인
- 김소희 : 이윤주 역 - 출산 휴직중인 윤정혜 대신 온 파견 간호사
- 박경순 : 오동천 역 - 협심증 환자
- 이정재 : 승주 역 - 영화감독. 어릴 때 친구이며 짝사랑한 이정화에게 고백하려고 미국에서 오지만 거절당함.
- 맹상훈 : 지현수 역 - 수술받은 환자로 병원 밖으로 나갔다가 교통사교를 당함. / 간호사 윤정혜 남편 역
- 이현경 : 의사 역
- 김일우 : 창기 역 - 의료분쟁으로 병원을 그만 두고 시골로 내려감.
- 선우용여 : 김소영의 친어머니 역
- 이희도 : 장두태 역 - 흉부외과 의사
- 박채림 : 정연우 역 - 응급의학과 과장 정도영의 딸, 자살기도로 입원
- 손건우 : 최진혁 역 - 레지던트
- 이상숙 : 강대종의 아내 역
- 김현숙 : 환자 역
- 박영지 :
- 이경아 : 정미영 역
- 미상 : 이태준 역 - 연극 배우, 갑상선암 환자
- 이대로 : 김소영의 아버지 역
- 이은철 : 사망자 유상천의 가족 역
- 이계인 : 포장마차 남자 역 - 아내의 사망에 대한 의구심으로 소송을 해서 했으나 짐. 김도훈에게 의사로서의 올바른 행동에 대한 자극을 줌
- 김서라 : 이시현 역 - 김도훈의 선배. 딸 유애린이 난소암인 것을 알게 됨
- 여운계 : 선화의 어머니 역 (69회)
- 정 후 : 안영원 역 - 백혈병 환아 (23회, 24회)
- 이인혜 : 오윤수 역 - 백혈병으로 입원한 13세 소녀 (78회)
- 우희진 : 섬처녀 역 - 보랏빛 섬의 향기 (44회, 45회)
- 정준호
- 조미령
- 정재곤
- 김지남
- 심은하
- 나경미 : 간호사 김미정 역
- 최지나 : 간호사 서은주 역
- 최미향 : 간호사 김지수 역
- 이아현
- 이종수
- 김윤정
- 박용우 : 레지던트 역
- 안재욱
- 김수현
- 윤용현
- 이민영
- 홍세은
- 장동건
- 전미선 : 난소암 환자 역
Remove ads
방송 회차별 부제
1994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5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96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Remove ads
OST
Remove ads
참고 사항
- 첫회부터 75회까지는 일요일 오후 10시 30분에 방영되어 왔으나 1995년 가을개편으로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전쟁과 사랑》을 편성하면서 76회부터는 금요일 오후 8시 5분으로 변경됐다. 하지만 이 《전쟁과 사랑》이 여러 가지 문제로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에 내자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를 폐지하면서 87회부터는 또다시 일요일 오후 10시 35분으로 옮겨졌다. 이 과정에서 시청률이 갈수록 떨어져 1996년 3월 3일(92회) 방송분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 김지수가 맡았던 주경희 역은 당초 이승연이 낙점됐으나 개인 사정으로 고사했다.[3]
- 조경환은 사업 실패 때문에 한동안 브라운관을 떠나있다가 해당 작품으로 복귀하였다.[4]
- 안미현 역을 맡은 홍리나는 기획의도와 달리 신은경과 오욱철 등이 부각되면서 극의 전체 분위기와 맞지 않는 등의 이유로 중도 하차하게 되었다.[5]
- 이정화 역을 맡았던 신은경은 과로 등 건강 악화로 연기활동을 쉬면서 1995년 7월 2일 방영분을 끝으로 하차했다.[6]
- 당초 최윤석 PD가 연출을 맡아왔으나 여러 사정 때문에 중도 하차했다.[7]
- 주경희 역으로 나온 김지수는 최윤석 PD가 케이블채널 HBS로 옮긴 뒤 처음 연출한 드라마 <작은 영웅들>에 캐스팅[8]되어 해당 드라마에서 중도하차했고 그 이후 한동안 지상파에서 공백기를 가지기도 했다.
- 1995년 9월 3일 방영분에서 '기형아는 죽는 게 더 낫다'는 등의 대화와 기형아를 출산한 산모가 동반자살을 기도하는 장면을 내보내어 방송위원회 측에서 경고 조치를 받았다.[9]
Remove ads
결방
- 1995년 1월 29일 : 특선영화 미키 루크의 《추적자》 편성으로 결방
- 1995년 6월 25일 : 6.25 특집 2부작 드라마 《칠갑산》 편성으로 결방
- 1995년 9월 10일 : 특선영화 《최후의 탈옥 상떼》 편성으로 결방
- 1995년 10월 20일 : 1995년 10월 16일부터 시행된 가을개편에 따라[10] 10월 20일부터 금요일 오후 8시에 편성될 예정이었으나 1995년 한국시리즈 5차전 중계방송으로 결방됐고 10월 27일부터 금요일 오후 8시에 방송됨
- 1995년 12월 1일 : MBC 초청 축구 평가전 〈한국 : 스웨덴〉 중계방송으로 결방
- 1996년 2월 18일 : 특선영화 《패신저 57》 편성으로 결방
같이 보기
- M (MBC, 1994년)
- 의가형제 (MBC, 1997년)
- 해바라기 (MBC, 1998년)
- 깁스가족 (MBC, 2000년)
- RNA (KBS, 2000년)
- 메디컬 센터 (SBS, 2001년)
- 하얀거탑 (MBC, 2007년) ※ 일본 소설을 원작으로 만든 드라마
- 외과의사 봉달희 (SBS,2007년)
- 뉴하트 (MBC, 2007년~2008년)
- 종합병원 2 (MBC,2008년)
- 제중원 (SBS, 2010년) ※ 조선 후기로 배경된 사극 드라마
- 브레인 (KBS, 2011년)
- 제3병원 (tvN, 2012년)
- 닥터 진 (MBC,2012년)
- 골든타임 (MBC,2012년)
- 굿 닥터 (KBS, 2013년)
- 메디컬 탑팀 (MBC, 2013년)
- 닥터 이방인 (SBS, 2014년)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