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준사회적 상호작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준사회적 상호작용(PSI)은 대중매체(mass media) 속 공연자들과의 매개된 만남에서 청중이 경험하는 일종의 심리적 관계(psychological relationship)를 의미합니다. 이는 특히 텔레비전과 온라인 플랫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1][2][3][4] 시청자나 청취자는 실제로 해당 인물들과 상호작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들과 관계를 맺고 있다고 느낍니다.
이 문서는 자연스럽지 않게 번역되었으며, 기계 번역을 통해 작성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2025년 10월) |

PSI는 환각적 경험(illusory experience)으로 이해되며, 미디어 청중들이 토크쇼 진행자, 유명인, 허구의 캐릭터,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 등과 마치 상호적 관계(reciprocal relationship)를 맺고 있는 것처럼 작용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이 용어는 1956년 Donald Horton과 Richard Wohl이 처음 제시했습니다.[5]
반복 노출을 통해 이러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특정 인물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6], 점차 의사인간관계(Parasocial relationship)로 발전합니다. 사용자는 친밀감, 우정, 동일시의 환상을 가지게 되며,[5] 긍정적 정보가 많을수록 호감이 커지고 관계는 더욱 발전합니다.[6] 이런 관계는 미디어 인물이 제공하는 자기노출과 신뢰를 통해 더욱 강화됩니다.[5]
미디어 이용자는 해당 인물의 외모, 제스처, 목소리, 대화, 행동 등을 관찰하여 실제 친구와 비슷한 정도로 충성심을 가지고, 직접적인 연결을 느낍니다.[6] 이러한 인물은 사용자의 인식이나 구매 습관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발달심리학자 Sandra L. Calvert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7]
소셜 미디어는 사용자와 인물 간의 반복적이고 친밀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준사회적 관계를 더욱 깊게 만듭니다.[5][8] 이러한 가상적 상호작용에는 댓글 달기, 팔로우하기, ‘좋아요’ 누르기, 혹은 직접 메시지를 주고받기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인물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면 사용자는 그를 더욱 친근하게 느끼게 됩니다.
Remove ads
용어의 발전
요약
관점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처음에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연구 관점에서 설명되었습니다. 호튼(Horton)과 울(Wohl)(1956)은 대중매체 사용자와 미디어 인물 간의 독특한 상호작용을 탐구하며, 이를 Parasocial relationship (PSR)이라 규정했습니다.[1] 이때 사용자는 마치 실제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ship)에 참여하는 것처럼 행동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호작용은 이미 대중매체 이전에도 존재했으며, 과거에는 사람들이 정치적 인물, 신, 영혼 등과 관계를 맺기도 했습니다.[9]
그 이후 이 용어는 대중매체 소비자와 그 속 인물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를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1] 호튼과 울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기존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경험한다고 보았으나, 일부 개인은 이를 실제 사회적 상호작용의 대체로 사용하거나 극단적인 준사회성을 보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퍼스와 루빈(1989)은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미디어 인물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부산물이라고 반박했습니다.[10]
이 개념은 심리학에서 시작되었지만, PSI에 대한 폭넓은 연구는 주로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이루어져 다양한 결과를 낳았습니다.[11][12][13] 심리학자들은 1980년대에 이 개념에 주목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이 이를 더욱 발전시켰습니다.[14] 이러한 연구는 사회심리학의 여러 핵심 질문을 제기하며, 기존 이론에도 도전을 안겨주었습니다. 준사회적 상호 작용의 개념과 관련 행동 현상에 대한 심층적 조사는 심리학 이론 발전에 상당한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 인용 필요 ]
준사회적 상호작용(PSI)과 준사회적 관계(PSR)의 개념적 전개는 다양한 문헌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해석되고 활용됩니다. 사용과 충족(U&G) 접근에서는 두 개념을 대체적으로 같은 의미로 사용하며, 주로 상호작용이나 동일시 같은 ‘대인 관여’의 한 형태로 이해합니다.[15] 그러나 미디어 심리학이나 기호학 분야에서는 PSI와 PSR을 엄밀히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16]
PSI는 “미디어 노출 중 발생하는 미디어 인물에 대한 일방향적 지각 과정”을 의미하는 반면, PSR은 시청자가 상황을 넘어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특정한 인지적·정서적 요소가 포함됩니다. Schmid & Klimmt(2011)는 PSI가 PSR로 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17] Dibble, Hartmann, 그리고 Rosaen(2016)은 PSR이 반드시 PSI를 거치지 않고도 형성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예컨대 등장인물이 시청자와 직접적인 연결을 만들지 않아도 PSR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18]
정리하자면, PSI와 PSR의 용어와 정의, 모델은 학문적 맥락과 전통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18] Dibble et al.(2016)은 PSI와 PSR이 "개념적, 방법론적으로 종종 혼동된다"고 지적하며,[18]:21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통적인 PSI 척도[15]와 새로운 EPSI 척도[19]를 사용하여 준사회적 지표를 테스트하고 두 척도 간의 결과를 비교했습니다.[18]
전통적인 PSI 척도는 현재까지 가장 널리 쓰이고 있지만,[18][20] Dibble et al.(2016)은 EPSI 척도가 PSI를 더 정확히 측정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연구자들 사이의 합의가 어려운 이유도 개념의 다양성에 있습니다.[18]
Remove ads
과학적 연구
요약
관점
사회적 상호작용, 나아가 준사회적 상호작용(PSI)에 대한 연구는 개인의 인지 활동을 설명하는 사회인지적 접근에 기반합니다. 따라서 준사회적 관계와 대면 상호작용 모두 유사한 심리적 과정을 거칩니다. 그러나 준사회적 관계는 일반적인 장기적 관계의 발달 과정을 따르지 않습니다. 미디어 사용자는 미디어 인물을 낯선 존재로 인식하는 반면, 실제 사회적 관계에서는 이러한 "낯설음"이 점차 사라집니다.[21]
많은 준사회적 관계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욕구를 충족시키지만 동시에 불안감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피적 애착 유형을 지닌 사람들은 타인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보다 일방적인 관계를 더 선호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일반적인 상호작용에서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은 유명인의 지속적인 노출을 통해 위안을 얻기도 합니다.[21] 또한 유명인이나 온라인 인물의 행동은 대중에게 강한 감정적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부정적인 감정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PSI 연구는 1970년대 초 대중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사용과 충족(U&G) 접근이 도입된 이후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11] 초기 연속극 연구에서는 PSI의 핵심 기능으로 '동반 관계'와 '개인적 정체성'을 확인했습니다. Rosengren과 Windahl은 시청자가 미디어 인물과의 상호 작용을 PSI를 인식할 수 있지만, 이것이 곧 동일시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22] 동일시는 PSI보다 더 오랜 역사를 지니며, 이후 연구들은 동일시가 없을 때 PSI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보여주었습니다.[23][24]

지난 수십 년 동안, 준사회적 상호작용(PSI)은 시청자와 텔레비전 뉴스 진행자, TV·라디오 토크쇼 진행자, 시트콤 캐릭터, 기타 TV 유명인사나 공연자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꾸준히 기록되어 왔습니다.[12][25][26][27][28] 최근에는 소셜 미디어에서 유명인과 팔로워 간의 긍정적인 PSI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특히 팔로워들이 게시물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29] 비록 연구마다 서로 다른 PSI 측정 척도를 사용했지만, 특정 인물과 관련된 PSI가 일관되게 확인되었습니다.[30]
심리학 연구 분야에서 미디어의 중요성을 인식한 학자 데이비드 자일스는 2002년 논문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PSI) 연구가 대중매체 분야에서 벗어나 심리학 분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 분야의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PSI와 관련된 핵심 심리학적 쟁점, 즉 준사회적 관계와 일반적인 사회적 관계 간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됩니다.[14][31][32][33][34] 예를 들어, 학자 존 터너는 동질성(homophily), 즉 특정 측면에서 유사한 사람들 사이에 우정이 형성되는 경향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텔레비전 출연자와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대인적·심리적 예측 요인을 조사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동질성의 한 차원인 태도(attitude)가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습니다.[34]
한편 하타웨이(Hathaway)는 준사회적 상호작용(PSI)이 주로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분석되는 경향이 있지만, 심리학 이론 및 발달 이론과의 긴밀한 연계는 부족하다고 지적하였습니다.[30] 그는 준사회적 이론의 발전을 위해 보다 많은 심리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하면서, 특히 “준사회적 관계가 어떻게 준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파생되는지, 이러한 관계가 미디어 이용과 현실의 사회적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PSI가 인지적으로 어떻게 형성되는지”와 같은 쟁점을 제시하였습니다.[30]:18 또한 그는 PSI 연구가 주로 대중매체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점을 한계로 지적하며, 심리학자들이 향후 연구 방향을 설정할 때 자일스(Giles, 2002)의 논문을 참고할 것을 권고하였습니다.[30]
심리학적 수준에서 PSI를 연구할 때 또 다른 중요한 고려 사항은, 대인적 사회적 상황에서도 PSI의 형태가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사람들은 대인적 의사소통과 매개된 의사소통 모두에서 근본적으로 동일한 인지 과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10] 자일스의 2002년 논문에서도 발표자나 유명인 게스트와 대화하는 등 매개된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직접적 상호작용 요소가, 만화 캐릭터나 가상의 주인공을 마음속에 떠올리는 방식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도 지속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습니다.[14] 이는 궁극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은, 개별 수준에서 사회인지적 접근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전통적으로 이 접근만으로는 관계 연구를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다고 여겨져 왔습니다.[35] 그러나 사회적 상호작용[36][37]에서 상상력의 역할을 다룬 최근 연구들은, 일부 상상적 활동(예: 상상의 친구)이 실제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38] 오늘날 PSI는 정상적인 사회적 인지의 확장으로 간주되며, 특히 상상력의 활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최근 PSI 연구에서는 개인 수준에서 작용하는 심리적 과정이 일반적인 사회적 활동과 관계 형성에 사용되는 과정과 유사하다는 점을 대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39]
Remove ads
어린 시절의 심리적 영향
요약
관점
준사회적 관계는 청소년들 사이에서 흔히 나타나며, 이는 미디어를 통해 접하는 유명인과 일방적이고 보답받지 않는 유대감을 형성하는 형태로 주로 드러납니다.[40]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생애 전반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지만,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기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소녀와 소년 사이에는 차이가 있으며, 각 집단이 준사회적 행동에 참여하는 방식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청소년기 소년은 남자 운동선수를 선호하는 반면, 청소년기 소녀는 음악가나 여배우와 같은 유명 인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40]
성 역할 고정관념은 5~6세 아동에게서 더 두드러지지만, 10~11세 무렵에는 그 영향이 감소합니다. 기존 문헌은 유아기에 형성된 준사회적 애착 여부와 상관없이, 애착 자체가 이후의 대인관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특히 많은 연구가 청소년기 여아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는 이들이 미디어 인물과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고 생활 방식 선택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41]
긍정적인 결과
정체성 형성
주된 효과는 학습입니다. 반두라(1986)의 사회인지 이론과 일관되게, 많은 연구는 아동이 긍정적·부정적 TV 롤모델로부터 행동을 학습하고, TV나 비디오 게임과 같은 매체를 통해 행동 규범과 기준을 습득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예로, 신시아 호프너(Cynthia Hoffner)가 7~12세 아동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는 아동이 가장 좋아하는 TV 캐릭터의 성별과 자신의 성별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 연구는 준사회적 관계에서의 ‘희망적 동일시(aspirational identification)’를 보여주며, 남자아이는 지능을, 여자아이는 매력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아동과 그들의 롤모델 사이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성별 기반의 상관관계는 현실과의 분리에 따라 더욱 강화되거나 완화될 수 있습니다.[42]
이상화된 인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점은, 거부나 무가치감 없이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미디어 인물이나 아이콘에 대해 모든 것을 알 수 없기에, 청소년들은 자신의 특정한 욕구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그들에게 환상적 속성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현실과 지나치게 동떨어진 존재일수록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줄어듭니다. [ 독창적인 연구? ]
로젠과 디블(Rosen & Dibble)의 연구는 아동이 좋아하는 TV 캐릭터의 사실성과 준사회적 관계의 강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캐릭터의 사회적 사실성이 높을수록 준사회적 관계의 강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아동의 연령에 따른 차이도 발견되었는데, 나이가 많은 아동일수록 더 사실적인 캐릭터를 선호한 반면, 어린 아동은 캐릭터의 성격과 무관하게 더 강한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연령은 사실성과 준사회적 관계의 강도 사이의 직접적 상관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모든 연령대에서 사실적인 캐릭터가 강력한 준사회적 관계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43]
미디어를 통한 학습
준사회적 관계는 개인의 유아기에도 형성될 수 있습니다. 특히 유아들은 TV 프로그램이나 영화에서 접하는 등장인물과 준사회적 관계를 맺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라 디 익스플로러와 같은 어린이 프로그램에서는 등장인물이 시청자에게 직접 말을 건네는데, 이 과정에서 어린이들은 화면 속 캐릭터와 “가짜 대화”에 참여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들은 가상의 캐릭터와 실제로 관계를 맺고 있다고 믿으며, 친구처럼 느끼는 일방적 유대감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미디어 노출은 종종 교육적 기회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아이들은 준사회적으로 연결된 캐릭터가 개념을 제시할 때 개념을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44]
준사회적 관계에서 학습 능력은 관계의 강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Sandra L. Calvert와 동료들의 연구에서 확인되었습니다. Lauricella, Gola, Calvert가 2011년에 실시한 연구에서 21개월 된 미국 유아 8명에게 두 캐릭터 중 하나로부터 순차 배열 과제(사물을 올바른 순서대로 배치하는 것,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컵 세트를 중첩하는 것)를 학습하도록 하였습니다.[45] 한 캐릭터인 Elmo는 미국 문화에서 상징적이고 사회적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었으며, 다른 캐릭터 DoDo는 대만에서 인기가 있었지만 미국에서는 낯선 존재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아이들은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캐릭터(Elmo)에게서 덜 친숙한 캐릭터(DoDo)보다 더 잘 배웠습니다.[46][47]
그러나 연구는 또한, 아동이 DoDo와 같은 사회적 친숙성이 낮은 캐릭터와 준사회적 관계를 발전시킬 경우 해당 캐릭터로부터 배우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사실도 보여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에게 DoDo 장난감을 주어 놀이하게 한 후에는 그 캐릭터로부터 배우는 능력이 증가했습니다. 이후 연구에서는 이 효과가 아이가 해당 캐릭터와 더 강한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때 가장 크게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연속 과제에서의 성공은 놀이 중 DoDo 장난감에 대해 더 많은 정서적 양육 행동을 보인 아이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46][47]
캐릭터의 개인화는 아이가 캐릭터를 ‘양육’하려는 경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해당 캐릭터가 등장하는 영상에서 학습 효과를 높이는 준사회적 관계 형성을 촉진합니다.[47] 2014년 연구에서는 DoDo와 Elmo 대신, LeapFrog Enterprises에서 제작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인형 My Pal Scout와 My Pal Violet을 활용했습니다. 이 대화형 봉제 강아지 인형은 아동의 이름을 말하고, 좋아하는 음식·색상·노래와 같은 특정한 선호를 반영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서 18개월 된 아이들에게는 두 가지 유형의 장난감이 제공되었습니다. 하나는 개인화된 장난감(아이와 같은 성별, 이름을 직접 부르며, 동일한 선호를 갖도록 프로그래밍된 경우)이었고, 다른 하나는 비개인화된 장난감(반대 성별, 아동을 단순히 “Pal”이라 부르고, 무작위로 설정된 선호를 가진 경우)이었습니다.
그 결과, 개인화된 인형을 받은 아이들은 비개인화된 인형을 받은 아이들보다 캐릭터로부터 더 잘 학습했습니다. 또한, 아이들은 개인화된 장난감을 더 많이 ‘양육’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된 유사성이 아동의 캐릭터에 대한 관심과 몰입을 높여 준사회적 관계 발달을 촉진하고, 이후 화면 기반 학습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인용 필요 ]
부정적인 결과
지난 20년 동안 미디어가 인간의 행동과 인지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가해 왔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자들은 사람들이 다양한 미디어와 맺는 관계가 행동, 자기 인식, 애착 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특히 준사회적 관계 형성의 맥락에서 면밀히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48]
신체 이미지
추가 연구들은 신체 이미지와 자기 인식에 미디어 관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집중적으로 탐구했습니다. 오늘날 사회에서 신체 이미지 문제가 점점 더 흔해짐에 따라, 이와 관련된 보다 세분화된 연구 영역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 인용 필요 ]
청소년의 미디어 노출과 신체 이미지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된 한 연구는 준사회적 관계와 캐릭터와의 자기 비교에 따른 동기를 살펴보았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7, 8학년 학생 3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미디어 노출이 청소년의 신체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특히, 단순한 직접적 영향뿐 아니라, 선호하는 캐릭터와의 준사회적 관계, 자기 비교 동기, 그리고 캐릭터와의 사회적 비교 참여가 신체 이미지에 대한 부정적 효과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나아가, 연구자들은 청소년이 선호하는 캐릭터와의 사회적 비교가 실제 혹은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와 자기 인식을 왜곡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부정적 자기 인식과 신체 이미지에 대한 영향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었습니다.[1]
한 연구에서는 남성과 슈퍼히어로 간의 준사회적 관계를 조사하였습니다. 연구는 근육질 슈퍼히어로와 비근육질 슈퍼히어로에 노출된 집단을 구분하고, 슈퍼히어로 캐릭터와 일방적 심리적 유대감을 형성했는지 여부에 따라 차이를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특히 근육질 슈퍼히어로 캐릭터에 노출된 경우 남성들의 신체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습니다. 2013년 Ariana F. Young, Shira Gabriel, Jordan L. Hollar의 연구에서는 근육질 슈퍼히어로와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지 않은 남성이 해당 캐릭터에 노출된 후 자기 인식이 부정적이고 자신의 몸에 대해 불만족을 느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반면, 슈퍼히어로와 준사회적 관계(PSR)를 형성한 남성은 신체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49]
소셜 미디어에서 뷰티 필터의 확산 또한 사용자들의 신체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에서 필터 기능이 처음 제공된 해에 40만 명 이상의 크리에이터가 120만 개가 넘는 필터를 제작·사용하였으며, 이 콘텐츠는 수십억 명의 시청자에게 노출되었습니다. 일부 크리에이터는 특정 필터를 사용한 콘텐츠로만 10억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필터는 크리에이터의 외모를 인위적으로 수정하여 시청자에게 왜곡된 현실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50]
비현실적인 삶에 대한 기대
연구들은 준사회적 관계가 개인의 자기 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지적하였습니다. 사람들은 종종 유명인사나 인플루언서의 매력적인 성격과 겉보기에 완벽해 보이는 생활 방식 때문에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개인이 자신의 현실을 유명인의 삶과 비교하면서 우울감이나 자기 존중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51] 예컨대, 개인 제트기를 이용한 여행, 고가의 휴가, 대저택에서의 생활과 같은 모습이 온라인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이를 실제보다 이상화하여 자신의 삶을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명인사와 인플루언서는 부정적인 측면을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개인은 왜곡된 온라인 이미지에 기반하여 비현실적인 기대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51]
침략
추가 연구에서는 준사회적 관계가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Keren Eyal과 Alan M. Rubin이 수행한 연구는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텔레비전 캐릭터와 이들이 시청자에게 미칠 수 있는 잠재적 부정적 영향을 조사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사회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시청자의 성향적 공격성(trait aggression), 공격적 캐릭터와의 동일시, 그리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습니다. 연구자들은 참가자의 성향적 공격성을 측정하고 이를 공격적 캐릭터와의 동일시 수준과 비교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성향적 공격성이 높은 시청자일수록 공격적 캐릭터와 동일시할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캐릭터와 준사회적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52]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심리적 애착 이론[53]과 관련이 있으며, 실제 관계가 종료될 때[54] 나타나는 극적인 영향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애착 유형 간의 관계를 고려할 때, Jonathan Cohen은 특정 텔레비전 및 미디어 프로그램에 더 큰 애착을 가진 개인일수록 준사회적 관계에 더욱 몰입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55] 이러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실제 대인관계에서 자주 활용되는 심리적 사고 과정을 유사하게 사용합니다.[56] 준사회적 상호작용에는 "정상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매우 일방적인 관계이며, 지식을 가진 쪽은 자신이 관찰하는 대상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통제할 수 없고, 접촉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 인용 필요 ]
준사회적 분열
많은 연구가 준사회적 관계의 형성과 유지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다른 연구들은 준사회적 관계가 해소될 때 발생하는 현상에 주목하기 시작했습니다. 텔레비전 시리즈 Friends의 종료에 대한 반응을 조사한 Eyal과 Cohen은 준사회적 이별(parasocial breakup)을 “시청자가 준사회적 관계(PSR)를 형성한 캐릭터가 방송에서 사라지는 상황”[38]으로 정의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준사회적 이별 후 미디어 소비자가 경험한 정서적 고통은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고통과 매우 유사하였습니다. 그러나 준사회적 이별로 인한 정서적 고통은 실제 대인관계의 단절로 인한 고통보다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38]
래더와 모이어-거스 또한 준사회적 단절이라는 개념을 고려하였지만, 이는 보다 일시적인 측면을 다루었습니다.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진행된 작가 파업으로 인한 준사회적 단절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연구진은 미디어 소비자들이 여전히 다양한 수준의 정서적 고통을 경험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이 연구는 이전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준사회적 관계가 실제 관계와 매우 유사하게 작동한다는 점을 보여주었습니다.[57]
Gerace는 오랫동안 방영된 호주 TV 시리즈 Neighbours[58] 의 종영에 대한 팬들의 반응을 조사했습니다. 팬들은 상당한 슬픔과 좋아하는 캐릭터와의 준사회적 이별에 대한 인식을 보고하였습니다. 좋아하는 캐릭터와 더 강한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시리즈의 팬으로서 강하게 자신을 규정하며, 오락이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노출과 같은 동기를 가지고 시리즈를 시청한 팬들은 시리즈가 종료될 때 더 큰 슬픔과 고통을 경험하였습니다. 이 연구에서 좋아하는 캐릭터와의 준사회적 유대감은 화면상의 경험에 공감하고, 그들이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상상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Remove ads
인터넷에서
요약
관점
1998년, 아이오와 주립대학교의 존 에이미와 앨라배마 대학교의 롤라 맥코드는 "정보 시대의 가치 증대: 월드 와이드 웹 사이트의 활용과 충족"이라는 제목의 연구를 발표했습니다.[59] 이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준사회적 관계의 존재가 웹사이트 방문율의 중요한 결정 요인임을 관찰하였습니다. 연구는 “강력한 개성을 드러내는 웹사이트는 웹사이트 방문자와 일종의 준사회적 관계 발전을 촉진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기술하였습니다.[59]
1999년, 앨라배마 대학교의 존 호너(John Hoerner)는 "웹 확장: 월드 와이드 웹 사이트를 위한 준사회적 상호작용 척도(Scaling the Web: A Parasocial Interaction Scale for World Wide Web Sites)"라는 제목의 연구를 발표하며, 인터넷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영향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이 연구는 웹사이트가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방문자를 호스트하는 "페르소나(personae)"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60]
인물(personae)은 경우에 따라 실제 인물, 주로 유명 공인들의 온라인 표현일 수 있으며, 때로는 웹사이트 운영자가 창조한 가상의 인물일 수도 있습니다. 인물은 “[실제 생활의] 동반자와 유사한 많은 특성, 예를 들어 정기적이고 빈번한 등장, 즉각성의 감각, 그리고 마주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습니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물이 생성되지 않았더라도 준사회적 관계가 여전히 형성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웹사이트 운영자는 대화체 글쓰기, 풍부한 캐릭터 개발, 웹사이트 인물과의 이메일 교환 기회 등을 통해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음을 밝혔습니다.[60]
Hoerner는 1985년 Rubin, Perse, Powell이 개발한 준사회적 상호작용(PSI) 척도를 사용하고[15], 인터넷에서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척도를 수정하였습니다. 연구자들은 이 척도를 활용하여 참가자들이 여러 웹사이트에서 보이는 반응을 측정하고, 더 일반적으로 준사회적 상호작용 이론이 인터넷 사용과 연관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첫째로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웹사이트에 전통적인 인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결론이 도출되었습니다. 데이터는 “강한 인물(strong personae)”이 설명된 웹사이트가 연구자가 선택한 다른 웹사이트보다 유의하게 더 많은 방문을 유도하지 못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연구에서는 “과거 뉴스 방송이나 연속극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 PSI 척도에서의 문자 그대로의 매개된 인물은 사라졌습니다. 웹사이트 디자인의 은유, 웹 경험의 흐름, 정보의 텍스트 및 그래픽 표현 스타일 모두가 웹사이트 인물의 요소가 되며, 방문자/사용자가 그 인물과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도록 유도합니다.”라고 설명하였습니다.[60]
소셜 미디어
대부분의 문헌은 텔레비전과 영화 현상을 중심으로 준사회적 상호작용(PSI)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기술은 이러한 상호작용을 보다 세밀하게 연구할 필요성을 제공하였습니다. 컴퓨터 매개 환경에서의 PSI 적용은 2000년대 초반과 2010년대 문헌에서도 지속적으로 기록되었습니다.[61][62][63] 많은 연구자들은 준사회적 관계가 텔레비전과 라디오에 존재하는 것처럼, 블로그와 다른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와 같은 온라인 환경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학자 Kjerstin Thorson과 Shelly Rodgers는 정치인 블로그의 팔로워를 조사하여, 정치인과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사람들의 정치적 인식과 투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64]
소셜 미디어는 준사회적 상호작용 및 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새로운 채널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블로그나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개인과 상호작용하는 것은 해당 개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64][65] 또한 인터넷 사용자가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더 활발하게 활동할수록 팔로워들은 더 큰 몰입감을 느끼게 되며, 이에 따라 준사회적 관계가 더욱 강화됩니다.
소셜 미디어는 “웹 2.0의 이념적·기술적 기반 위에 구축되어,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제작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기반 응용 프로그램”으로 정의됩니다.[66] 개인적 목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유명인들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면 입소문을 촉진하고 개인적인 목적이나 브랜드 홍보를 위한 더 큰 플랫폼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67]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는 최소한 하나의 중요한 특성을 인터넷으로부터 물려받았는데, 그것은 모든 사용자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Philip Drake와 Andy Miah는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크, 블로그가 다른 대중매체에서 존재하는 게이트키핑 과정을 축소한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이러한 환경은 온라인 정보가 여과되지 않은 상태로 확산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텔레비전이나 신문과 같은 엄격한 구조적 조건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설명합니다. 그러나 이 점은 여전히 연구 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존재함으로써, 스타와 유명인들은 자신의 이미지를 제작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동시에, 미디어와 궁극적으로 관객의 관심사 안에 지속적으로 남아 있어야 합니다. Gregor Daschmann과 Holger Schramm과 같은 독일 학자들은 모든 유명인이 대중의 제한된 관심을 놓고 경쟁해야 한다고 지적하였습니다.[8][68] 이러한 경쟁적인 환경에서는 유명인이 모든 접근 가능한 미디어 채널에 지속적으로 존재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됩니다.[69]
트위터

트위터는 가장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로, 개인 접속 정보를 공개하지 않고 팬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유명인들이 흔히 선택하는 플랫폼입니다. 2013년 Stever와 Lawson의 분석에서는 트위터를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이 연구는 그 시도의 첫 번째 단계가 되었습니다.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트위터 피드를 기반으로 12명의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유명인(남성 6명, 여성 6명)을 표본으로 포함하였습니다.[70]
연구 결과, 트위터를 통해 유명인과 소통하는 팬들은 해당 유명인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이지만, 팬이 가끔씩 답장을 받더라도 그 관계는 여전히 준사회적(parasocial)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트위터는 팔로워와 유명인 또는 인플루언서를 직접 연결하여 일상적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대부분의 팬들이 자신이 즐기는 삶의 일부가 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즐거운 소통 방식이 됩니다.[70]
트위터에서 팔로워 수가 많을수록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고 인식됩니다. 이는 트윗이 모든 팔로워에게 전송되고, 팔로워들이 이를 다시 자신의 팔로워에게 리트윗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수천 명의 다른 트위터 사용자에게 재전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71][72] 영화의 흥행 성적이나 싱글 곡의 빌보드 차트 상위권 진입과 유사하게, 트위터에서의 “트렌딩”(즉, 다른 단어보다 높은 빈도로 태그되는 단어) 현상은 사용자에게 플랫폼 내 영향력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73] 트위터는 다른 소셜 미디어 사이트와 함께 사용자들이 사회적 자본을 획득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74]
온라인 비디오 및 라이브 스트리밍
2022년 하와이 시스템 과학 국제 컨퍼런스 에서 학자들은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상호작용을 "사이버-사회적 관계"라고 불렀습니다. 그들은 이러한 상호작용이 사회적 관계(공간적 근접성이나 신체적 접촉이 없음)와 준사회적 관계(호혜성과 시간적 근접성이 있음)의 "중간 위치"에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75]
유튜브

사용자가 제작한 비디오 관련 콘텐츠를 공유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인 유튜브는 인기를 얻으며 현 세대에게 TV와 같은 미디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콘텐츠 제작자들이 브이로그를 통해 자신의 일상을 공유함으로써 시청자들은 제작자와 긴밀하고 일방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관계는 댓글 체인, 팬아트, 그리고 제작자에 대한 지속적인 반응으로 나타납니다. 제작자가 댓글이나 게시물을 통해 팬층과 소통하고자 하는 욕구 때문에, 제작자와 시청자 사이에는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관계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제작자들이 온라인에서 전달하는 세련된 정체성에는 진정성이 거의 없더라도 자신의 삶의 “개인적인” 세부 사항을 공유합니다.[76]
시청자와 유명인 간의 상호작용은 제품 배치나 브랜딩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시청자는 현실적으로 만날 기회가 없는 유명인이나 인플루언서와 교류할 수 있습니다.[77] The Verge 의 Megan Farokhmanesh는 준사회적 관계가 “유튜버의 성공에 필수적이며, 시청자를 충성도 높은 커뮤니티로 만드는 요소”라고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좋아하는 크리에이터와 우정이나 친밀감을 느끼는 시청자는 기대치가 낮아졌을 때 더 높은 기대치와 더 강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크리에이터는 멤버십, 후원, 기타 수익 창출 방식을 통해 팬들로부터 수익을 얻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팬들은 크리에이터의 삶이나 특정 콘텐츠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로 인해 크리에이터의 삶과 작품 사이의 간극은 미세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78]
Google에서 2017년에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 YouTube 구독자의 40%가 “좋아하는 크리에이터가 친구보다 자신을 더 잘 이해한다”고 주장했습니다.[79] 많은 시청자에게 준사회적 관계는 Mark Granovetter의 "약한 유대의 강점" 이론에서 정의한 네 가지 요소를 확인시켜 줍니다. 친밀감은 크리에이터가 시청자가 감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개인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형성됩니다. 또한 시청자는 크리에이터가 업로드하는 콘텐츠를 시청하는 데 시간을 할애합니다. 마지막으로, 크리에이터가 게시하는 내용(후원 여부와 관계없이)은 시청자에게 호의와 같이 무언가를 제공받는 것처럼 느끼게 합니다.[76]
트위치

2011년 6월에 출범한 이후, 비디오 게임 라이브 스트리밍, 창작 콘텐츠, ‘현실 생활(in real life)’ 스트리밍 등을 중심으로 하는 비디오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인 트위치(Twitch)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80][81][82][83] 트위치 플랫폼은 크리에이터가 팬들과 직접 소통하도록 장려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사용자가 채팅 기능을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 사이트의 큰 매력으로 작용합니다. 이에 스트리머는 사용자 이름으로 인사하거나 댓글에서 메시지를 언급하는 방식으로 관객과 상호작용합니다.[84][85]
한 연구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유형의 상호작용은 “공동체 의식(a sense of community)”을 형성합니다. 트위치 라이브 스트리밍은 디지털 ‘제3의 장소(third place)’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레이 올덴버그(Ray Oldenburg)가 만든 용어로, 공동체 형성의 기초가 되는 공적이고 비공식적인 개인들의 모임을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라이브 쇼를 자주 시청하거나 크리에이터를 구독하는 등 스트리밍에 정기적으로 참여하게 될 때, 이러한 공동체 의식은 더욱 강화됩니다.[84][85]
트위치 채널 구독은 시청자가 라이브 스트리밍에 참여하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이는 시청자가 크리에이터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돈을 지불하는 디지털 후원의 한 형태로 간주됩니다. 시청자가 좋아하는 스트리머와 개인적인 관계를 맺는다고 느끼는 정도는 구독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86]
Wired는 트위치가 “디지털 준사회적 현상을 개척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이를 대규모로 수익화했다”고 언급했습니다.[80] David Finch는 Implications and Impacts of eSports on Business and Society라는 책에서, 트위치 스트리머들이 트위치를 통한 기부, 채널 구독, 광고 수익 등 다양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수익화할 수 있는 옵션을 갖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트위치는 유튜브보다 라이브 스트리밍과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콘텐츠 제작자와 시청자 간의 상호작용이 “훨씬 더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87]:73–74 Finch는 “트위치의 인기 현상은 다른 신흥 디지털 미디어 형태와 유사한데, 사용자 생성 콘텐츠이고 온라인에서 형성된 준사회적 관계를 활용하며 새로운 방식으로 친밀감을 구축한다. 트위치 시청자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트위치 채널에서의 시간을 게임 친구들과의 친근하고, 유쾌하며, 유익한 만남으로 여길 수 있다”고 기록했습니다.[87]:74
학자 Time Wulf, Frank Schneider, Stefan Beckert는 준사회적 관계가 트위치 스트리머의 성공과 시청자의 트위치 이용 만족에 중요한 요소임을 발견했으며, 특히 트위치의 채팅 기능이 이러한 관계를 촉진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88] 그들은 “전문 스트리머들은 시청자들이 친구를 다시 만날 수 있도록 일정한 스트리밍 시간을 개인적으로 계획합니다. 이는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TV 프로그램의 캐릭터와 유사합니다. 따라서 시청자들은 스트리머와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시청자와 스트리머 간의 유대가 강해질수록 사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스트리머의 성공을 더 많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88] The Guardian 역시 트위치의 상호작용적 특성을 강조하며, “이 형식은 커뮤니티 내 관계를 형성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수백만 명의 10대와 대학생 사용자에게 가상 만남의 장소로 자리잡았습니다”라고 언급했습니다.[89]
트위치 스트리머들은 준사회적 관계와 관련된 부정적인 측면, 예를 들어 팬에 의한 괴롭힘과 스토킹에 대해서도 논의한 바 있습니다.[90][91][92][93] Kotaku의 Cecilia D'Anastasio는 “트위치 스트리머는 디지털 시대의 게이샤와 같습니다. 그들은 진행하고, 즐겁게 하며, 듣고, 반응합니다. 대부분 게임을 중심으로 자신의 기술을 친근감이라는 두꺼운 외피 뒤에서 공연합니다. 아마도 시청자를 자신의 집으로 들이거나, 라이브 스트리밍 형식이 솔직하게 느껴지거나, 접근성이 전례 없이 높기 때문일 수 있지만, 트위치에서 엔터테이너로 활동하는 것은 시청자와 친구의 경계를 흐리게 만듭니다. 팬과 건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은 어렵고, 팬 입장에서는 엔터테이너와 동반자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라고 작성했습니다.[91]
The Verge 와 HuffPost는 모두 여성 트위치 스트리머들이 겪는 괴롭힘을 구체적으로 강조했습니다.[90][92] 허프포스트의 제셀린 쿡은 “트위치에서 생계를 유지하는 거의 모든 여성들은 실시간으로 수많은 시간을 시청한 후, 낭만적이고 성적인 권리 의식에 사로잡힌 남성 시청자들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습니다. 그 결과 극심한 괴롭힘, 강간 및 살해 위협, 협박, 스토킹 등이 일상적인 직장 내 위험 요소가 됩니다. 허프포스트와 인터뷰한 여성 스트리머들은 트위치에 합류하기 전에 자신들도 거의 또는 전혀 구제책 없이 끝없이 이어지는 비인간적인 괴롭힘의 홍수에 동참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라고 보고했습니다.[90]
팟캐스터
사용자가 개인 기기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음성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에피소드 시리즈인 팟캐스트는 팟캐스터와 청취자 간의 준사회적 관계를 조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2년 초, 로버트 C. 맥두걸은 “팟캐스트, 특히 이동 중에 듣는 팟캐스트는 준사회적 현상의 진화 과정의 일부이며, 매개된 대인 관계 소통의 근본적으로 새로운 부분일 수 있습니다. 팟캐스트는 페센든의 원시 라디오 쇼가 주는 개인적인 느낌과 그에 따른 모든 정신 역동적 효과를 향상시킨다"라고 썼습니다.[94]
라이스 주라이캇은 그의 저서 『 라디오의 2세기』 (2020)에서 "팟캐스트의 준사회적 본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95] 작가 윌 윌리엄스는 “자신과 팟캐스터 사이에 우정, 즉 편안함을 느끼는 것과 그 우정이 진짜라고 가정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팟캐스터를 매력적으로 만드는 한 가지 요소는 그들이 ‘만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특성입니다. 누구나 팟캐스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많은 장르에서 팟캐스터가 다른 매체의 제작자보다 더 ‘정상적’이라고 느껴지게 합니다. 만약 팟캐스터를 만난다면 친구가 될 것 같은 느낌을 받기 쉽습니다. 청취자는 팟캐스터와 같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팟캐스터와 기본적인 인구 통계뿐만 아니라 관심사, 농담, 철학까지 공유할 수 있습니다”라고 기술했습니다.[96]
레이첼 아로에스티는 가디언지 에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봉쇄 기간 동안 "팟캐스터들이 우리의 진짜 친구들을 대체하여 점점 더 실제와 구별하기 어려운 동반 관계를 제공했다"고 썼습니다. 그녀는 "팟캐스트는 친밀하며, 방 안에 청중이 없어서 거리를 느낄 수 없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97]
의미학자 Mikhaela Nadora( 포틀랜드 주립 대학 )는 "[팟캐스트 진행자와의 준사회적 관계]는 실제 관계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 관계가 우리에게 중요하기 때문에 미디어 및 기술 환경에서 새로운 자율적이고 개인화된 발전으로 우리는 미디어 인물과 동일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라고 밝혔습니다.[98]
Remove ads
상업적 영향
요약
관점
준사회적 상호작용(PSI) 이론은 온라인 맥락에서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와 같은 소셜 미디어의 발전으로 기업과 소비자 모두 소셜 커머스 플랫폼을 더 자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제품의 신뢰성과 같은 SCP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사용자의 최종 결정에 더 큰 잠재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okolova와 Kefi는 프랑스의 뷰티 및 패션 분야에서 인기 있는 4명의 인플루언서의 청중으로부터 얻은 대규모 데이터 세트(응답자 1209명)를 사용하여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신뢰성이 소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그들의 연구는 젊은 세대가 신뢰성보다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인플루언서에 대한 개인적인 애착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99]
소셜 커머스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은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형성하며, 그 대상은 다른 사용자와 유명인 두 가지입니다.[100]
다른 사용자와 PSI
일정한 소셜 미디어 사용자인 인플루언서(influencers)는 개인 경험, 아이디어, 리뷰 등 타깃 대상에게 전달되는 온라인 콘텐츠를 활발히 제작합니다.[101] 인플루언서는 어느 정도 유명인과 유사하게 전문가가 될 수 있으며, 그들의 게시물은 제품과 브랜드에 영향을 미치고 잠재 고객, 즉 팔로워에게 영향을 줍니다. 소셜 커머스 플랫폼의 사용자는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하는 이미지, 비디오, 피드백을 통해 다른 사용자 및 인플루언서와 “만남(meet)”을 가지며, 여러 차례의 “만남”을 거치면서 상상의 친밀감이 향상됩니다.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온라인 우정을 유지하며, 이것이 준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입니다.[102][15]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인플루언서는 자신이 사용해 본 제품에 대해 댓글을 달고, 이미지와 비디오와 함께 자신의 느낌과 개인 경험을 제공하며 다른 사용자에게 온라인으로 홍보합니다.[99]
일부 브랜드는 팔로워의 구매 의도와 신뢰도 인식을 높이기 위해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마케팅 전략을 활용합니다.[103] 준사회적 관계 속에서 사용자는 인플루언서가 제품에 남긴 이미지나 댓글에 의존하게 되며, 이는 소비자의 최종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100]
예를 들어, vlog의 인기는 낯선 사람들이 감정을 공유하고 친밀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사회적 공간을 만듭니다.[104] 인플루언서의 팔로워는 자신과 자신이 시청하는 유명인이나 인플루언서의 취향을 비교하며, 이를 통해 PSI가 형성됩니다.[105] 많은 상인은 구독자에게 제품을 추천하고 설득하기 위해 vlogger에게 비용을 지불합니다. vlog는 시청자에게 생생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며, 시청자는 이 매체를 통해 대면과 같은 가상 관계를 구축하는 vlogger와의 친밀감을 느낍니다. 시청자는 이러한 vlog와 vlogger의 영향을 받아 구매 결정을 내립니다.[106]
유명인과 함께하는 PSI
PSI 관계는 소셜 미디어 사용자와 유명인 사이에 더 쉽게 형성됩니다.[53] 소셜 미디어에서 유명인은 소비자 및 팬과 더 친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강화합니다. 유명인의 자기 공개는 팬과 청중이 해당 유명인과 연결되고, 유명인과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환상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107] 동시에 웹 2.0 소셜 미디어 기술이 지원하는 SCP의 맥락은 사용자의 유명인 및 전문가와의 준사회적 상호 작용을 자극합니다. 불확실성 감소 이론은 이것이 발생할 수 있는 방식을 보여줍니다. 개인에게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과정은 사용자의 불확실성 수준을 점차 줄여, 사용자가 해당 유명인을 좋아할 가능성을 높입니다.[62]
일부 소셜 쇼핑 웹사이트에서는 사용자가 유명인을 팔로우하고 그들과 상호 작용하면서 유명인과 자신 사이에 가까운 유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108] 이러한 팬심과 인지적 친밀감은 사용자가 자신의 행동을 더 예측 가능하게 인식하도록 만들며, 그 결과 충성심을 강화합니다.[109] PSI는 이처럼 유명인에 대한 사회적 매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110]
유명인 팬 PSI에 푹 빠진 사용자들은 유명인이 추천하는 제품을 구매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충성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1] 인플루언서와 달리 유명인은 강력한 충동구매를 통해 팬을 끌어들입니다. 타겟 소비자(팬)는 유명인으로부터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는 대신, 유명인과 소통하기를 원합니다.[111] 팬들은 유명인이 추천하는 제품을 구매하고 지지함으로써 팬들은 상상 속에서 유명인과 더욱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112]
2014년 저널 기사에서 Seung-A Annie Jin과 Joe Phua는 유명인의 팔로워 수와 소비자에게 부여된 신뢰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여러 가설을 설정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한 방법을 논의했습니다.[112] 이 연구는 유명인이 제품을 추천하고 소비자가 프로모션을 본 후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을 기준으로 수행되었습니다.[113] 유명인 홍보 모델 프로필의 팔로워 수가 많을수록 소비자들이 해당 유명인과 온라인 우정을 쌓으려는 의도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팔로워 수가 많은 유명인을 더 신뢰할 만하다고 인식하는 소비자는 팔로워 수가 적은 유명인에 노출된 소비자보다 노출 후 제품 참여도와 구매 의도가 유의미하게 높았습니다.[112]
소셜 커머스 플랫폼의 판매자는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적용하여 소비자의 구매 의도를 조작할 수 있는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유명인은 팬들에게 제품 구매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팬들이 유사한 대화 스타일에 참여하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준사회적 관계에 있는 팬, 즉 시청자는 “캐릭터의 언어적 스타일"에 순응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114]:463 팬들이 준사회적 관계에서 계속 상호 작용함에 따라, 소셜 미디어의 다양한 플랫폼에서 소통하는 동안 유명인의 대화 스타일을 모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114]
PSI와 회사
유명인과 인플루언서 간의 소셜 미디어 관계가 확대됨에 따라, 기업들은 고객 참여를 위해 소셜 미디어 프로필을 만들었습니다. 패스트푸드점들은 고객과 개인적인 방식으로 소통하기 위해 코미디 트위터 계정을 시작했습니다. 기업들의 트위터 계정은 고객의 트윗에 답하고, 농담을 건네며, 소비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온라인 업계에 참여합니다. 이러한 전략은 효과적입니다.[61]
2013년 로렌 I. 라브레크(Lauren I. Labrecque)가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브랜드가 PSI를 촉진할 때 고객의 충성도가 높아지고 브랜드에 대한 정보 제공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또한, 이 연구는 소비자가 기업의 소셜 미디어 계정에서 이루어지는 반응이 자동화되었다고 느낄 때 이러한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더 나아가,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에 개인 정보와 숨겨진 아이디어를 포함하는 것 역시 PSI를 유발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61]
조직 커뮤니케이션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또 다른 활용 사례는 CEO의 소셜 미디어 이미지가 기업의 이미지와 평판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CEO들은 고객, 직원, 투자자와의 소통에 주의를 기울여 왔습니다.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통해 기업의 대외적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합니다.[115]
2023년 빠른 서비스 레스토랑(QSR) 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Banerjee, Sen, Zahay는 고객의 매장 내 참여가 소셜 미디어 사용 형태로 강력한 예측력을 가질 수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자들은 매장 내에서 활발히 참여하는 고객이 작성한 제품 브랜드 언급이 포함된 소셜 미디어 게시물이 좋아요, 리트윗, 댓글 형태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촉발할 수 있으며, 이는 경쟁업체에 대한 파급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밝혔습니다. 이러한 효과는 지역 내 경쟁자 밀도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여섯 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결합하여, 연구자들은 소셜 미디어가 지역 시장에서 경쟁적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연구자들이 매장 내에서 이루어진 겉보기에는 긍정적인 고객 후기조차 궁극적으로 경쟁사 브랜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매장 관리자는 고객의 소셜 미디어 게시물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주의할 것을 권고한 점입니다.[116]
라이브 스트리밍
Ko와 Chen(2020)에 따르면, "라이브 스트리밍은 원래 TV에서 스포츠 경기나 뉴스를 중계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 인터넷이 점점 더 대중화됨에 따라 이제 네티즌과 소규모 기업들은 라이브 스트리밍 앱을 사용하여 직접 방송할 수 있습니다."[117] Taobao.com과 Facebook과 같은 많은 플랫폼에서 라이브 스트리밍 기능을 개발하고 출시했습니다. Taobao.com이나 Tmall.com과 같은 온라인 소매업체의 경우, 사용자는 진행자 및 유명인을 팔로우하고 마치 친구가 된 것처럼 소통할 수 있습니다.[118]
“중국은 2019년 8월 기준으로 최대 4억 3,300만 명의 라이브 스트리밍 시청자를 보유했습니다 [CNNIC 2019]. 브랜드와 제품을 홍보하기 위한 라이브 스트리밍의 사용은 중국 전자상거래(E-commerce) 분야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Aliresearch 2020]. 예를 들어, 2019년 ‘6·18’ 행사 기간 동안, 타오바오의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은 130억 위안의 매출을 올렸으며,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하는 상인의 수는 전년 대비 거의 120% 증가했습니다. 방송 횟수 역시 전년 대비 150% 증가했습니다 [CNNIC 2019].”[118]
소매업체의 관점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은 마케팅, 브랜드 구축, 고객 서비스 향상 및 매출 증대의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고객의 입장에서는 라이브 스트리밍이 이전보다 더욱 동기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합니다. 스트리머/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상호작용은 고객이 제품에 대한 더 높은 품질의 정보를 얻는 데 도움을 주며, 이는 전통적인 쇼핑 방식과는 다릅니다.[118]
Xu, Wu, Li(2020)에 따르면, “스트리밍 커머스는 잠재적 소비자가 쇼핑 행동에 몰입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는 새로운 쇼핑 환경을 창출합니다. 이는 판매자(스트리머)와 소비자(시청자) 간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추가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몰입하도록 즐거움 요소를 포함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부상하고 있으며 큰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청자는 라이브 스트리밍을 시청함으로써 동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얻고, 스트리머와 가상의 사회적 관계를 발전시키며, 매력적인 스트리머를 보면서 편안하고 즐거운 시간을 즐길 수 있습니다.”[118]
라이브 스트리밍은 시청자와 스트리머가 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감과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신뢰성과 신뢰도가 강화됩니다. 미국에서는 아마존(Amazon)과 QVC와 같은 소매업체들도 이러한 큰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자체 라이브 스트리밍 쇼핑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119]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대인 관계는 사회적 관계와 준사회적 관계 사이의 위치를 차지하며, 이로 인해 라이브 스트리밍은 소셜 미디어 전체 환경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갖습니다.[75]
Remove ads
제한 사항
대부분의 연구는 준사회적 상호작용(PSI)이 오직 우정의 형태로만 발생한다고 보는데, 이는 이론적·실무적으로 지나치게 제한적입니다.[120] 사람들은 프로그램 속 악역과 같이 자신이 “친구”라고 여기지 않는 미디어 인물과도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비호감 인물과의 PSI는 영웅이나 긍정적 캐릭터와의 PSI보다는 덜 발생하지만, 여전히 비호감 캐릭터와의 ‘미워하지만 사랑하는(love to hate)’ 관계 상황이 나타납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PSI를 우정으로만 제한하는 것이 의미 있는 미디어 사용자 반응의 더 넓은 상황을 포착하는 데 방해가 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120]
2010년 Tian과 Hoffner는 ABC 드라마 Lost 의 좋아하는, 중립적인, 싫어하는 캐릭터에 대한 174명의 참가자의 반응을 측정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121] 모든 참가자는 캐릭터에 대해 인지한 동일시와 준사회적 상호 작용, 그리고 캐릭터와 더 비슷해지기 위해 관점을 바꾸려고 어떻게 했는지 보고했습니다. 전체 샘플에 따르면 인지된 유사성은 동일시와 준사회적 상호 작용 모두의 중요한 긍정적 예측 요인이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준사회적 상호 작용은 중립적이고 싫어하는 캐릭터보다 좋아하는 캐릭터에서 더 높았습니다. 준사회적 상호 작용은 여전히 좋아하는, 중립적이고 싫어하는 캐릭터에서 나타났습니다.[121] 이론적, 실험적 결과에 따르면 PSI를 우정으로 보는 일반적인 관점은 적절하지 않으며 많은 연구자들이 PSI 개념의 측정을 개선하기 시작했습니다.[122]
Remove ads
향후 연구
요약
관점
이론이 정밀하고 복잡해질수록 가설 검증을 위한 실험이 필요합니다. 준사회적 상호작용/관계 연구에서는 지각과 감정의 의미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원인과 결과를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고 해석이 왜곡될 위험도 존재합니다.[123] 예를 들어, 유사성이 PSI에 선행하는지, 매개된 상호작용이 유사성을 만들어내는지 여부를 알아보려면 실험적 검증이 필요합니다.[124]
Cohen은 또한 서로 다른 장르에서 다양한 유형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제안했으며, 이는 특히 리얼리티 TV 프로그램(e.g., Survivor)에서 매개된 관계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도전이 됩니다.[125][126] 이러한 전형적인 리얼리티 쇼는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많은 감정을 보여주며, 시청자의 공감과 동일시를 유도하는 것처럼 보이고, 캐릭터의 팬덤 형성을 위한 능력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시청률과 관객 반응은 이러한 리얼리티 쇼가 상당한 매개된 관계를 형성함을 강하게 뒷받침하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매개된 상호작용/관계가 진화하는지, 아니면 기존 패턴에 부합하는지를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123]
어린 시절 미디어의 영향은 아동이 높은 수준으로 미디어에 노출됨에도 불구하고 발달 심리학자들로부터 거의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많은 연구와 실험이 준사회적 관계의 본질을 탐구했지만, 향후 연구를 위한 많은 기회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잠재적인 미래 연구 분야로는 관계의 결과가 이미 알려져 있거나 잘 확립된 재방송 문제를 다룰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연구 분야는 제작 기법이나 텔레비전적 접근 방식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나 플랫 라이팅(flat lighting)과 같은 조명 기법, 클로즈업 또는 설정샷의 전략적 배치, 연역적 또는 귀납적 샷 시퀀스, 힙합 편집, 색상 탈포화(desaturation)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기법들은 준사회적 관계 형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고 오랫동안 이론화되어 왔지만, 그 실제 영향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인용 필요 ]
소셜 미디어의 보편적 사용과 매개된 관계에 대한 그 영향은 준사회적 상호작용(PSI)에 대한 추가 연구를 요구합니다.[127] 서로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유명인이 팔로워와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준사회적 상호작용/관계가 덜 단방향적이고 보다 만족스럽고 강렬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셜 미디어가 PSI를 일상생활의 일부로 만들었는지 여부는 추가 탐구가 필요합니다.[61] 기술 발전은 미디어 콘텐츠가 더 많은 장소와 시간에서 이용 가능해짐에 따라, PSI가 우리의 사회생활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128] 우리의 매개된 친구들은 결코 멀리 있지 않으며, 실제로 우리의 주머니 속에 있고 침대에서도 함께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이러한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게 하고, 실제 사회적 관계에 덜 의존하게 되는지를 여부는 추가 탐구가 필요합니다.[61]
준사회적 관계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긍정적으로 보는 미디어 인물과의 관계로 여겨지지만, 개인이 부정적으로 보는 미디어 인물과의 준사회적 관계에 대한 연구도 더 수행되어야 합니다. 소셜 미디어에서는 정치인, 운동선수 등에게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는 등 부정적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많은 사례가 있습니다. 이러한 부정적 상호작용과 관계가 우리 자신과 다른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은 흥미로운 연구 주제가 될 것입니다. 또한, 특정 집단에 대한 증오나 기타 부정적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미디어 인물과의 준사회적 관계가 개인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더 이루어져야 합니다.
팬데믹 동안 매개된 커뮤니케이션과 참여가 수행한 역할은 미디어 인물을 실제 친구와 상호작용할 때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또는 동일한) 인지 과정을 통해 평가하도록 만들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의 준사회적 관계에 계속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COVID-19가 준사회적 관계의 기능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다른 우려 사항으로는 다양한 미디어 매체에서 미디어 인물의 표현 연속성과, 사회적 교류 부족을 보상하는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개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팝스타는 텔레비전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채팅 게스트나 공연자로 등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타를 반복적으로 시청할 수록 해당 스타와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시각적 측면이 강화됩니다. 대부분의 연구는 미디어 사용자를 주로 혼자 있는 텔레비전 시청자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필요한 존재로 특징지었습니다. 사용자-인물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 유형은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일상적 사회적 상호작용의 확장으로 개념화함으로써 다룰 수 있습니다. 준사회적 관계에서 중요한 사회적 만남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독립적 활동으로서와 장기적 상호작용으로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인용 필요 ]
Remove ads
관계에 주목
요약
관점
배경
준사회적 상호작용(parasocial interactions)과 준사회적 관계(parasocial relationships)라는 용어는 인류학자 도널드 호튼(Donald Horton)과 사회학자 R. 리차드 월(R. Richard Wohl)에 의해 1956년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에서 이 주제의 기초를 마련했습니다.[2] 심리학에서 기원한[5] 준사회적 현상은 다양한 과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접근에서 비롯됩니다. 준사회적 관계 연구는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과 같은 대중 및 소셜 미디어의 성장과 함께 증가했으며, 특히 광고 효과나 저널리즘을 조사하는 연구자들에 의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2] 호튼과 월은 텔레비전 인물이 시청자에게 친밀감을 제공하고, 시청자가 매력적으로 느끼는 방식으로 등장과 제스처를 사용하여 시청자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했습니다. 텔레비전 인물을 정기적으로 시청하고 신뢰감을 형성함으로써, 준사회적 관계는 시청자에게 지속적이고 점점 강화되는 관계를 제공합니다.[129]
유명인의 지지와 광고
광고와 마케팅은 매력적인 미디어 인물을 활용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미디어 사용자의 참여를 유지하며, 구매 의도를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미디어 인물이 미디어 사용자에게 관심을 보이고 보람 있는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사용자가 해당 인물을 좋아할 경우 상호작용에 응답하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과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게 됩니다.[6]
이 소셜 미디어 시대에서, 미디어 사용자는 미디어 인물과 보다 친밀하고, 개방적이며, 상호적이고, 빈번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점점 더 많은 미디어 인물이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개인적인 소통에 활용하며, 자신의 사생활과 생각을 소비자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미디어 인물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주 그리고 대화형으로 자신을 드러낼수록, 사용자는 높은 수준의 친밀감, 충성도, 우정을 느끼게 됩니다. 사용자는 유명인으로부터 직접 메시지를 받거나 리트윗을 받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지만, 그 가능성 자체가 팬들에게 친밀감을 제공하고, 좋아하는 인물과의 일방적인 준사회적 관계에 진정성을 더해 줍니다.[5]
유명인의 광고 홍보가 구매 의도에 매우 효과적인 이유는 준사회적 관계가 신뢰라는 강력한 유대감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미디어 사용자가 미디어 인물에게 느끼는 수용과 신뢰감은 홍보되는 브랜드로까지 전달됩니다.[5] 사용자는 미디어 인물을 이해하고 그들의 가치와 동기를 존중한다고 느낍니다. 미디어 인물에 대해 쌓아온 시간과 지식의 축적은 충성심으로 이어지며,[129] 이는 태도, 투표 결정, 편견, 현실에 대한 생각의 변화, 기부 의사, 광고된 제품 구매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2] 소셜 미디어에서 홍보 활동을 하는 유명인과 인기 있는 인물들은 인플루언서라고 불립니다.[130]
정치
정치인들은 준사회적 관계를 통해 유권자 기반과 잠재적 신규 유권자에게 호소할 수 있습니다. 선거 캠페인에서 소셜 미디어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정치인들은 유권자와 보다 개인적인 소통을 할 기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유권자와 후보자 간의 이러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다양한 국가 선거에서 특정 정치적 지지를 예측하는 데에도 중요할 수 있습니다.[131] 유권자들은 자신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것처럼 보이는 후보자에게 점점 더 연결감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2016년 당시 후보였던 도널드 트럼프를 보면, 그의 리얼리티 TV 경력으로 이미 준사회적 유대를 형성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그를 대통령으로 지지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는 연구가 있습니다.[132] 트럼프는 자신을 더 진정성 있게 보이도록 하여 유권자들과 형성되는 준사회적 관계의 수를 늘릴 수 있었습니다.[131] 그러나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경향은 특정 정당에만 국한되지 않았습니다.[133]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선거 기간 동안 지지자들과 보다 개인적인 방식으로 연결을 시도합니다. 결과적으로, 모든 고위 정치인들은 소속 정당에 상관없이 유권자와 지지자로부터 준사회적 관계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원인과 영향
준사회적 관계는 미디어 인물이 미디어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관계를 제공하는 심리적 애착입니다.[5] 사용자는 점점 그들에게 의존하게 되고, 상호작용을 계획하며, 친한 친구처럼 기대하게 됩니다. 사용자는 미디어 인물과의 역사를 쌓아가며, 자신이 다른 사람들보다 그 인물을 더 잘 안다고 믿습니다.[129] 미디어 사용자는 실제 관계에서 누릴 수 있는 혜택을 책임이나 노력 없이 누릴 수 있으며, 경험을 스스로 조절하거나 준사회적 관계에서 자유롭게 벗어날 수 있습니다.[129]
미디어 사용자가 미디어 페르소나와 유대감을 형성하면 자존감이 높아지고, 문제 중심 대처 전략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며, 소속감도 강화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방적인 관계는 비현실적인 신체 이미지를 조장하고, 자존감을 저하시키며, 미디어 소비와 중독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2]
준사회적 관계는 은퇴 후 연령대의 미디어 사용자에게서 자주 나타나며, 이는 높은 텔레비전 시청과 사회적 접촉 또는 활동의 상실 때문입니다. 그러나 청소년들도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 쉽습니다. 이는 사춘기, 성적 정체성과 정체성의 발견,[133] 그리고 미디어 스타에 대한 우상화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더 강한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가능성이 높습니다.[2]
일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디어 사용자와 미디어 인물 간의 준사회적 관계는 사용자가 외롭거나, 불만족스럽거나,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거나, 매력적이지 않은 관계 선택지가 있을 때 증가합니다. 일부 사람들은 이러한 준사회적 관계를 실제 사회적 접촉의 대체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2] 또한 미디어 사용자의 성격은 소셜 미디어 사용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친밀감을 추구하는 정도와 관계 접근 방식에도 차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향적인 사람은 매개된 상호작용보다 대면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만족을 추구하는 것을 선호할 수 있습니다.[134]
미디어 사용자는 휴식, 즐거움 추구, 지루함 해소, 습관적 이유 등 개인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합니다.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 시대에 미디어 사용자는 주문형 시청,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통한 지속적 상호작용, 광범위한 인터넷 접근을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134]
준사회적 분열
종영된 준사회적 관계, 예를 들어 시리즈에서 텔레비전 인물이 사망하는 경우로 인해 부정적 정서 반응을 경험하는 현상을 준사회적 이별이라고 합니다.[2] 준사회적 이별의 강도는 외로움 수준이나 동반자를 찾기 위해 미디어를 소비하는 정도에 의해 예측될 수 있습니다.[135]
하이파 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의 조나단 코헨은 준사회적 관계와 이별을 사회적 관계의 애착 유형과 연결지었습니다. 준사회적 이별의 결과와 지속적 영향은 사회적 관계와 마찬가지로, 이를 경험하고 형성하는 개인의 애착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불안형 애착을 가진 사람은 회피형이나 안정형보다 준사회적 이별에 대해 더 극단적인 반응을 보입니다.
한편, 개인의 실제 대면 사회적 관계 상태는 준사회적 이별에서 느끼는 고통이나 불편함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48] 그러나 나이는 준사회적 이별에서의 고통 강도와 연관성을 가지며, 코헨의 연구에 따르면 20세 미만 청년은 준사회적 이별(PSB, Parasocial Breakup)의 강한 증상에 더 민감합니다.[136] 일부 사람들에게는 준사회적 이별이 단순히 관련 콘텐츠를 피하는 것만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137]
코헨은 또한, 준사회적 이별을 경험하는 개인이 느끼는 고통의 정도가 유대의 강도와 극단성에 달려 있다고 밝혔습니다.[48]
허구의 인물들과의 준사회적 관계
허구의 캐릭터와 맺는 준사회적 관계는 비허구적 캐릭터와의 관계보다 더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사용자가 허구의 세계에 완전히 몰입하고 있다는 느낌에서 비롯됩니다.[2] 내러티브 리얼리즘—즉, 허구의 세계와 캐릭터가 존재할 법하다는 그럴듯함—과 외부 리얼리즘—이야기 요소가 개인의 실제 경험과 얼마나 연결되는가—은 허구 캐릭터와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38] 내러티브가 시청자에게 캐릭터가 그럴듯하고 공감할 만하다고 설득할 수 있다면, 시청자는 해당 캐릭터와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여지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허구적 페르소나를 통해 유대감을 느끼고자 하는 욕구와 연결됩니다.[134]
해리 포터, 디즈니, 스타워즈와 같은 대규모 미디어 프랜차이즈의 경우, 소비자들은 더 깊이 몰입하며 강력한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허구의 준사회적 관계는 단순히 영화 시청이나 책 읽기에 머무르지 않고, 공식 및 팬픽션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로 확장되며, 나아가 국내외 테마파크 체험과 같은 실제 경험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134]
허구의 캐릭터에 깊이 몰입하고 감정적으로 의존하는 개인은, 해당 캐릭터가 이야기에서 제거되거나(죽음, 이야기에서 제외되는 등) 하는 상황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극심한 고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48] 허구적 인물의 죽음, 즉 준사회적 결별에 대한 두려움은 실제 대중 인물과의 준사회적 결별에 대한 두려움보다 훨씬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136]
또한, 허구 캐릭터와의 준사회적 관계는 그 캐릭터를 연기하는 배우와 관련된 외부 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배우에게 발생한 사건이 캐릭터와 관계된 개인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배우가 스캔들에 연루되면, 그 배우가 연기한 캐릭터와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한 사람들은 해당 캐릭터에 대한 평가를 재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배우에 대한 긍정적 인상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캐릭터에 동일하게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이 경우 허구 캐릭터는 배우와 분리되어 있으며, 배우의 역할 외적인 긍정적 특성이나 기여는 캐릭터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139]
마이 리틀 포니: 우정은 마법 팬덤
2018년에 진행된 수천 명의 브로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Brony Study Project")에서 임상심리학자 패트릭 에드워즈와 그의 연구팀은 <마이 리틀 포니: 프렌드십 이즈 매직>의 주요 캐릭터인 메인 식스(Mane Six)에 대한 선호도와 팬들(일명 브로니)과의 심리적·준사회적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연구 결과, 서로 다른 캐릭터를 선호하는 팬들은 종종 자신이 선택한 캐릭터의 공식적인 성격 특성을 반영하는 독특한 심리적 프로필을 보였으며, 캐릭터는 열망적 롤모델에서 정서적 지지의 원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준사회적 기능을 수행했습니다. 에드워즈의 연구는 캐릭터 선호와 창의성, 사회적 불안, 커뮤니티 참여, 심리적 웰빙과 같은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습니다.[140]
툴파(Tulpas)는 지속적인 상상 연습을 통해 만들어진 자율적인 정신적 동반자로, 일부 브로니는 이를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와 보다 깊고 상호작용적인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합니다. 툴파 커뮤니티는 브로니들이 <프렌드십 이즈 매직>[141] 캐릭터의 툴파에 대해 논의하면서 점차 인기를 얻었으며, 팬들은 명상과 자각몽 기법을 활용해 상상의 친구를 만들어 냈습니다.[142][143] 무엘 베시에르에 따르면, 툴파를 만드는 사람들은 이를 “실제이거나 어느 정도 실제인 존재”로 인식한다고 합니다.[142]
2022년, 에리카 C. 래리티, 매튜 R. 레이타오, 아브라함 M. 러칙은 브로니 팬덤과 메인 식스 간의 심리적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브로니 팬덤은 오랜 기간 지속된 특성, 활발한 커뮤니티 상호작용, 그리고 메인 식스의 명확하게 정의된 성격 덕분에 준사회적 관계 연구의 모범적인 사례가 됩니다. 연구진은 829명의 브로니를 대상으로, 특정 캐릭터와의 동일시가 해당 캐릭터의 정식 성격 특성과 연관이 있는지를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대부분의 메인 식스 캐릭터에서 동일시와 성격 특성 간에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습니다.[144]
이론적 연결과 측정 도구
루빈은 불확실성 감소 이론의 원리를 적용하여 패러소셜 관계 형성 과정을 분석했습니다. 이 이론은 타인에 대한 불확실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사소통을 통해 줄어들고, 그 결과 매력과 관계가 발전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패러소셜 관계에 적용되는 또 다른 이론으로는 사회침투이론이 있으며, 이는 긍정적이고 친밀한 상호작용이 관계 내에서 추가적인 보상을 만들어낸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합니다. 또한 사용과 만족 이론은 미디어 이용자가 목표 지향적이며, 자신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미디어를 활용한다고 설명합니다.[6]
1956년, T.M. 뉴콤(Newcomb)의 강화 이론은 보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매력이 형성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회적 매력과 미디어 인물이 만들어내는 상호작용적 환경이 결합되어 만족스러운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입니다.[6]
패러소셜 현상을 측정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는 Rubin, Perse, Powell이 1985년에 개발한 패러소셜 상호작용 척도(Parasocial Interaction Scale, PSI Scale)로, 미디어 인물과의 대인 관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134]
이후 미나 차이(Mina Tsay)와 브리아나 보딘(Brianna Bodine)은 루빈의 척도를 개정하여, 패러소셜 관계 참여가 미디어 사용자의 성격과 동기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을 반영했습니다. 그들은 정서적, 인지적, 행동적 관점에서 미디어 인물과의 참여를 다루는 네 가지 뚜렷한 차원을 제시했습니다. 이 차원들은 사람들이 미디어 인물을 롤모델로 인식하는 방식, 그들과 소통하고 더 알아가고자 하는 욕구, 그리고 개인적으로 얼마나 친숙하게 느껴지는지를 평가합니다. 차이와 보딘은 최근 미디어와 대중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로 인해 미디어 사용자와 미디어 인물 간 상호작용 수준이 한층 높아지고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이제 미디어 사용자는 팬 커뮤니티, 트위터, 캐릭터 블로그 등 온라인 공간을 통해 원하는 방식으로 직접 상호작용하고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134]
Remove ads
COVID-19 팬데믹 동안
요약
관점
패러소셜 관계는 다양한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지만, COVID-19 팬데믹은 이를 탐구할 독특한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전 세계적인 팬데믹으로 인해 사람들의 일상적 사회 활동이 갑작스럽게 중단되었고, 사회적 거리두기와 격리 조치가 시행되면서 대면(FtF) 상호작용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145] 이에 따라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유지하기 위해 Zoom, FaceTime과 같은 영상 플랫폼이나 다양한 미디어, 즉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에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전환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패러소셜 상호작용 및 관계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만들었습니다. 사람들은 실제 친구와의 교류 방식과 패러소셜 관계를 맺은 미디어 인물과의 상호작용 방식을 유사하게 수행하게 되었으며, 예를 들어 Instagram에서 게시물에 좋아요를 누르거나 댓글을 다는 행위는 두 관계에서 비슷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은 패러소셜 보상 가설(parasocial compensation hypothesis)을 검증하기 위한 특별한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이 가설은 패러소셜 관계가 일반적인 사회적 관계를 대체할 수 있는 하나의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과
한 연구에서는 특정 정체성 영역에서 실제 친구가 부족한 개인들이 강한 패러소셜 관계를 형성해 이러한 결핍을 보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146](Bond, 2018), 이는 패러소셜 보상 가설을 지지합니다. 또한 팬데믹 기간에 이루어진 연구들은 COVID-19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서 패러소셜 관계가 강화되었음을 보여주었고, 이는 패러소셜 관계가 실제로 보상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추가로 입증합니다.
특히 대면 사회적 상호작용을 줄였다고 보고한 사람들이 패러소셜 관계에서 가장 큰 성장을 경험했으며, 이는 패러소셜 보상 가설을 뒷받침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의 강화는 이들에 국한되지 않았습니다. 친구와 소통하기 위해 매개된 커뮤니케이션 사용을 늘린 사람들 역시 패러소셜 관계가 성장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팬데믹 초기 단계에서 패러소셜 관계는 강화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147]
성장 증가에 대한 설명
패러소셜 관계가 증가한 한 가지 잠재적 이유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패러소셜 상호작용 사이의 인지적 구분이 더 이상 뚜렷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친구와 미디어 인물과의 교류를 처리하는 방식에서 더 큰 유사성을 보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화면을 통한 것이었을 때, 사회적 교류는 패러소셜 교류와 더욱 비슷해졌습니다. 이러한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실제 친구와의 상호작용에 비해 더 큰 거리를 인지하게 되고, 그 결과 실제 친구를 좋아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미디어 인물을 인지적으로 처리하게 됩니다.[148] 이는 패러소셜 상호작용을 더 의식적으로 경험하게 하여, 더 크고 강한 관계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설명으로는, 더 많은 사회적 연결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온라인에서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패러소셜 관계를 강화했다는 점이 있습니다. 실제 친구들과 매개된 커뮤니케이션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낸 사람들은, 특히 미디어 인물이 패러소셜 상호작용 가능성을 높이는 행동을 보일 경우 패러소셜 관계에서 더 크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여기서 ‘패러소셜 상호작용 가능성’은 미디어 인물이 관객을 교류에 ‘참여’시키려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설명은 ‘기회보상 가설(parasocial compensation hypothesis)’에 반하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패러소셜 관계가 사회적 관계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적 기능을 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다만, 패러소셜 상호작용 잠재력(parasocial interaction potential)이 조절적 영향을 미쳤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설명은 한계가 있습니다. 팬데믹 시기 사람들은 대면 상호작용이 줄어들었을 때, 상호작용 잠재력 여부와 관계없이 패러소셜 관계가 증가했습니다. 따라서 기회보상 가설은 여전히 유효하며, 실제 친구와의 교류가 줄어든 상황에서 미디어 인물과의 패러소셜 상호작용이 이를 보완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팬데믹 동안 사람들은 대면 상호작용보다 패러소셜 상호작용에 더 많은 시간을 쏟았습니다. 특히 실제 사회적 관계에 들이는 시간이 적은 사람일수록 패러소셜 관계가 더욱 성장했으며, 이는 패러소셜 관계의 보상 기능을 뒷받침합니다. 이러한 관계는 세계적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사회적 연결을 유지하는 데 특히 중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실에서 친구와 교류하기 어렵거나 실제로 사람들과 함께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준사회적 관계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기회보상 가설은 이러한 관계가 지니는 가치를 강조합니다.
결론적으로 팬데믹 시기 미디어 인물과의 패러소셜 관계는 전반적으로 증가했으며,[149] 특히 COVID-19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결핍’을 보완하려는 사람들 사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Remove ads
추가 참조
참고문헌
추가 읽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