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진류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진류군(陳留郡)은 전한부터 수나라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급 행정 구역이다. 군국제 시행 시에는 제천국(濟川國)·제양국(濟陽國)·진류국(陳留國) 등이 설치됐었다. 중심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양, 진류, 소황, 준의로 옮겨갔다. 현재의 허난성 카이펑 시 일대와 상추 시·신샹 시의 일부를 관할했다.

전한

한나라에서 원래는 양나라에 속한 지역이었으며, 경제 중5년(기원전 145년) 양효왕 사후 양나라를 다섯으로 분할해 새로 제천나라를 두고 유무의 아들 제천왕 유명에게 봉하면서 진류군의 연혁이 시작된다. 서울은 제양현에 뒀다. 유명이 죄를 지어 봉국이 폐지되면서 한 조정의 관할로 들어갔고, 전한 무제원수 원년(기원전 122년)에 옛 제천나라 영역에 처음으로 진류군을 설치해 치소를 진류현으로 옮겼다. 13주를 두면서 연주에 속했다.[1][2][3]

평제 시기에 시행된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29만 6284호, 인구 150만 9050명이 있었다. 17현을 두었다.[2]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2]

Remove ads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자세한 정보 전한, 신 ...

이후 해체되었고, 속현을 신평 · 진정 · 치정 · 기수 등으로 편입시켰다.[5]

후한

요약
관점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대 진류군은 17현 177,529호 869,433명을 거느렸다.[6] 189년 소제가 즉위했을 무렵 그의 동생 유협이 진류왕으로 봉해지면서 진류국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동탁에 의해 소제가 폐위되고 유협이 황제로 옹립되면서 진류국이 폐지되었다.[7] 후한말에는 태수 장막이 통치했으나 조조가 본군에서 군대를 모으기 시작했다.[8]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서진

서진초기 진류, 평구, 부구, 어현, 기오, 고성 6현이 폐지되었다. 10현 30,000호를 거느렸다. 영가의 난이후 후조석호가 점령했다. 후조 치하에서 진류군은 건창군(建昌郡)으로 개명되어 낙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10]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유송

420년(유송 무제 영초 원년), 송나라에 의해 초군땅에서 진류군이 교치되었다. 이 진류군은 예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466년(유송 명제 태시 2년) 북위로 넘어간 이후에도 유지되었고, 정광연간에 남연주가 설치되자 남연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이 진류군은 유송대에는 4현 196호 2,413명을, 동위대에는 5현 6,230호 16,749명을 거느렸다.[11][12]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북위, 동위, 북제

동진말, 유유후진을 격파하고 중원을 수복하면서 일시적으로 동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유유가 중원에서 철수하면서 북조의 땅으로 편입되었고, 이후 북위가 북조를 통일하자 북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493년(북위 효문제 태화 17년) 북위가 수도를 낙양으로 옮기며 낙주가 사주로 개명되자 낙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528년(북위 효명제 효창 4년) 일부지역이 동군의 일부지역과 함께 양하군으로 분리되었다. 그러나 534년(북위 효무제 영희 3년) 동위가 건국되자 동위의 땅으로 편입되었고, 일부지역이 개봉군으로 분리되면서 군역이 축소되었다. 그리고 지금의 카이펑시 일대가 양주로 분리되자 양주의 속군으로 편제되었다. 동위 때 진류군은 3현 19,613호 82,742명을 거느렸다.[13] 576년(북제 고위 융화 원년) 개봉군이 통폐합되면서 군역이 넓어졌다.[14]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북주, 수

578년(북주 무제 선정 원년) 양주가 변주(汴州)로 개명되었다. 수나라가 건국된 이후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진류군은 폐지되었고 군의 속현은 변주가 통치하게 되었다. 605년(수 양제 대업 원년), 변주가 정주에 통폐합되자 군의 모든 속현이 정주의 속현으로 편제되었다.[14]

요약
관점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이연이 왕세충을 격파하면서 당나라에 편입되었고 변주에는 총관부가 설치되었다. 변주총관은 변주, 유주(洧州), 기주(杞州), 진주(陳州)의 4개주를 통치했고, 변주는 준의, 신리, 소황, 개봉, 봉구 5현을 통치했다. 624년(당 고조 무덕 7년) 변주총관부가 변주도독부로 바뀌었고 개봉, 소황, 신리 3현이 준의현에 통폐합되었다. 그리고 기주가 폐지되며 옹구, 진류 2현이 관주의 중모현, 유주의 위씨현이 본주로 편입되었다. 661년(당 고종 용삭 2년) 중모현이 정주로 편입되었다. 712년(당 예종 연화 원년) 개봉현이 재설치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변주가 진류군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가 다시 실시되면서 진류군이 폐지되고 그 자리에 변주가 세워졌다. 781년(당 대종 건중 2년) 나성(羅城)이 축성되었다.

본래 5현 57,701호 82,879명을 거느렸으나 개원 연간에는 82,190호 161향을, 천보연간에는 6현 109,876호 577,507명을, 원화연간에는 8,218호 53향을 거느렸다. 견(絹) 20필을 공납으로 바치고 솜(綿)과 견(絹)을 부세로 바쳤다.[15][16]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태수

전한

  • 설선(? ~ 기원전 24년)
  • 엄보(? ~ 기원전 14년)
  • 유불오(? ~ 기원전 3년)
  • 경풍(? ~ 기원전 2년)
  • 소유(蕭由, 원시 연간)
  • 유립(劉立, 7년 ~ ?)

후한

  • 숙황(? ~ 47년)
  • 마엄(77년 ~ ?)
  • 소순(? ~ 85년)
  • 노비(91년 ~ ?)
  • 양양(梁讓, 140년대?): 양상의 동생이다.
  • 좌민(左敏, 환제 시기): 좌관의 동생이다.[17]
  • 위의(韋毅, ? ~ 166년): 횡령죄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18]
  • 장막(? ~ 195년)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