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짜끄리 나르벳 (항공모함)
나룻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왕 폐하의 배 짜끄리 나르벳(태국어: เรือหลวงจักรีนฤเบศร 르아루앙 짜끄리 나르벳[*])은 태국의 태국 왕립 해군의 항공모함으로, 태국 해군의 기함이다. 2011년 현재 동남아시아 국가의 해군이 소유한 유일한 항공모함이다. 1992년 발주하여, 스페인 해군의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급 항공모함 설계에 기반하여 스페인의 바산 조선소(Bazán, 현 나반티아 조선소)가 건조를 맡았다. 1996년 준공하였으며, 이듬해인 1997년에 태국 해군에 취역하였다. 암프 사따힙(สัตหีบ)에 있는 항구가 모항이다.
짜끄리 나르벳은 수직 단거리 이착륙 방식의 함재기 및 헬리콥터를 수용하여, 태국 영해에서의 순찰 및 세력 투사, 재난 구조, 상륙 작전 지원 등의 목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의 여파로 운용 자금 지원이 줄어들어 실제로 사따힙의 모항에서 출항한 날은 적었다. 재난 구조 작전에 투입되기도 하며 매 달마다 하루 동안 훈련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밖의 용도로는 태국 왕가의 탑승 행사에 쓰이는 정도이기 때문에 사실상 크기만 큰 왕실 요트가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일부 국내 밀리터리 동호인들로부터 '짜끄리 나룻베'라는 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1]
Remove ads
비교대상
DDH-181 휴우가는 이탈리아 해군의 13,850톤급인 주세페 가리발디 항공모함, 스페인 해군의 17,000 톤급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항공모함, 영국 해군의 21,000 톤급 인빈시블급 항공모함과 비슷한 외형을 갖추고 있다.[2] PBS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휴우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제작된 최초의 일본 항공모함이 될 것이라고 한다.[3] 태국의 짜끄리 나르벳은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를 모델로 한 열화판이다.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