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청도 백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청도 백씨(淸道白氏)는 경상북도 청도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이다. 시조는 백계영(白桂英)이다. 청도 백씨는 청도의 5대 토성(신(申)·김(金)·백(白)·이(李)·조(曺)) 중 하나이다.[1]

간략 정보 나라, 관향 ...

역사

청도 백씨 시조는 고려 때 사람 백계영(白桂英)이다.[2] 백계영은 고려 원종조의 청도 호장(戶長)으로 아우인 급제 백이장(白利章)과 함께 박경순(朴慶純) 일당의 난을 진압하고[주 1] 영직되어 후손들이 오산(鰲山, 지금의 청도)을 관향으로 삼아 세거하였다.[3][주 2] 청도 백씨는 백씨(白氏) 오산군파(鰲山君派)이다.

조선조 초기 삼남(三南)의 백성들을 북변의 함경도와 평안도로 사민(徙民)할 때 청도 백씨 일족들이 그 대상으로 포함되었으나 당시 경상도 순찰사가 그들을 대신해 조정에 탄원했던 사실[3]을 보면 후손들이 조선 초.중엽까지도 청도 백씨가 청도에 세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조 들어 후손 백구(白球)가 경주부 서면으로 이거하였고, 그 증손인 급제 백이소(白以昭)가 임란을 맞아 창의하여 문천회맹(蚊川會盟)을 맺고 항전하였고, 정유재란 때 영천 창암(永川 蒼巖)에서 분전하다가 순절하였다.[4] 병조참의에 증직되고 광산사(光山祠)에 배향되었다.

Remove ads

본관 연혁

청도는 옛 이서국(伊西國)이다. 서기 297년 사로국에 멸망하여 이서군이 되었고, 3성(솔이산성(率爾山城)·오도산성(烏刀山城)·가산성(茄山城))을 통합하여 대성군(大城郡)으로 바뀌었다. 757년 군내 3성을 3현(오악현(烏岳縣), 형산현(荊山縣), 소산현(蘇山縣))으로 개명하였다.[5]

940년 3현을 통합, 밀성군 청도현(淸道縣)이 되었다. 1010년 영동도(嶺東道) 도주(道州), 1012년 경주부 도주로 되었다.

1018년 영동도 밀양군 청도현, 풍각현으로 나뉘었다. 1271년 경 청도군으로 승격되었다가. 1343년 다시 청도현이 되었다. 1366년 밀양부 청도군이 되었다.

Remove ads

과거급제자

고려문과

백원항(白元恒)[주 3]

고려사마

백원항(白元恒)[주 4]

무과

백현손(白玄孫) 백이소(白以昭) 백천(白天) 백광민(白光民)

생원시

백옥진(白玉珍) 백규보(白圭寶)

진사시

백주석(白周錫)

주요 인물

집성촌

청도 백씨는 백구(白球)가 경주부 서면으로 이거하여 후손들이 경북 경주시 건천읍(乾川邑) 조전리(棗田里)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고 강당(講堂), 박실(朴室), 석현(石峴) 등 지파를 형성하였다. 백이소(白以昭)의 후손들이 훼철되었던 광산사(光山祠)를 광산정사(光山精舍)로 복건하여 제향을 받들고 있다.

인구

  • 1985년 90가구, 391명이 있다.
  • 2000년 213가구, 702명이 있다.
  • 2015년 ?가구, 1,479명이 있다.

항렬표

자세한 정보 23세, 24세 ...

주해

  1. 청도감무가 죽임을 당한 상황에서도 백계영 형제가 일사불란하게 군민들을 동원할 만큼 그 족세가 상당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수원백씨가승(水原白氏家乘) 1권(백종관(白宗琯), 1932)에 따르면 정주 백씨(백씨 인주공파(仁州公派))의 시조 백역(白繹)은 여말국초(麗末國初)에 인주부사(仁州副使)를 지내고 황주에서 정주로 이거하였는데, 그 선고(先考)인 종부령(宗簿令)을 지냈다는 백인지(白仁之)가 청도에 시거(始居)하였다고 하였다.
  3. 방목에 본관이 누락되었음.
  4. 방목에 본관이 누락되었음.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