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체스 기물
체스를 할 때 사용하는 용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기물(棋物)은 체스에서 킹, 퀸, 룩, 나이트, 비숍, 폰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1] 영어를 그대로 음역하여 체스피스(chess piece), 또는 간단히 피스라고도 부른다. 체스 세트는 일반적으로 각 색상별로 16개의 기물을 제공한다. 프로모션 또는 핸디캡 게임에서 사용하기 위해 각 색상별로 추가 퀸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중에서 폰은 프로모션으로 킹을 제외한 퀸・룩・비숍・나이트 등으로 바꿀 수 있다. (고로 한 명의 플레이어는 이론상 퀸을 9개, 룩・비숍・나이트는 10개까지 가질 수도 있다.)
일반적인 체스에서는 선공은 '백', 후공은 '흑'이며 각각의 기물을 식별하기 위해서 다른 색과 종류의 기물이 쓰인다. 오늘날에는 표준적인 체스 세트인 스턴턴 체스 세트는 두 사람의 기물은 같은 모양이며 흑이 백의 기물보다 진하다. 이처럼 표준적인 형태 외에도 백과 흑이 전혀 다른 모양을 한 기물이 쓰이는 세트도 있다.
Remove ads
수량
각 플레이어는 16개의 기물로 시작한다 (하지만 기물이라는 용어의 다른 사용법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조). 각 플레이어에게 속한 기물은 색상으로 구분된다. 더 밝은 색상의 기물은 "백"이라고 불리며 더 어두운 색상의 기물은 "흑"이라고 불린다.
표준 게임에서 두 명의 플레이어 각각은 다음 16개의 기물로 시작한다:
정의
"기물"이라는 단어는 문맥에 따라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2]
- 폰을 포함하여 세트의 모든 물리적 기물을 의미할 수 있지만, 체스판은 포함하지 않는다. 이렇게 사용될 때, "기물"은 "체스맨" 또는 단순히 "맨"과 동의어이다.[3][4] 이러한 사용법은 FIDE 체스 규칙[5] 및 미국 체스 연맹의 공식 체스 규칙[6]과 같은 체스 규칙서에서 볼 수 있다.
- 플레이에서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폰을 제외하고, 퀸, 룩, 비숍, 나이트, 또는 킹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이 맥락에서 기물은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메이저 기물 (퀸과 룩), 마이너 기물 (비숍과 나이트), 그리고 킹.[7]
- "기물 승리", "기물 손실" 또는 "기물 희생"과 같은 구문 및 기타 관련 문맥에서는 마이너 기물 (비숍 또는 나이트)만을 지칭한다. 관례상, 퀸, 룩, 폰은 이러한 경우에 이름으로 명시된다 – 예를 들어, "퀸 승리", "룩 손실", 또는 "폰 희생".[8]
Remove ads
포진
기물의 초기 배치는 퀸을 기준으로 하며 퀸은 항상 자신과 동일한 색의 칸에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흰색 퀸은 흰 칸에, 검은색 퀸은 검은 칸에 각각 배치하도록 되어 있다.
기물의 움직임
요약
관점
a | b | c | d | e | f | g | h | ||
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 |||||||
7 | 7 | ||||||||
6 | 6 | ||||||||
5 | 5 | ||||||||
4 | 4 | ||||||||
3 | 3 | ||||||||
2 | 2 | ||||||||
1 | 1 | ||||||||
a | b | c | d | e | f | g | h |
초기배치. 대수기보법을 사용하고 있음
각각의 기물은 다르게 움직인다.
체스 규칙은 각 유형의 체스 기물이 할 수 있는 움직임을 규정한다. 경기 중 플레이어는 번갈아 가며 자신의 체스 기물을 움직인다.
- 룩은 점프 없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원하는 수만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킹과 함께 캐슬링에 참여한다.
- 비숍은 점프 없이 대각선으로 원하는 수만큼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숍은 게임 내내 같은 색상의 칸에 머무른다.
- 퀸은 점프 없이 수직, 수평 또는 대각선으로 원하는 수만큼 이동할 수 있다.
- 킹은 인접한 모든 칸으로 이동할 수 있다. 킹이 체크에 놓이거나 체크 상태로 남겨지는 움직임은 할 수 없다. 킹은 캐슬링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는 킹이 같은 색상의 룩이 있는 같은 행의 두 칸을 향해 이동하고 룩은 킹이 지나간 칸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다. 캐슬링은 킹과 관련 룩이 움직이지 않았고, 킹이 체크 상태가 아니며, 킹이 체크를 통과하거나 체크 상태로 들어가지 않고, 룩과 킹 사이에 기물이 없을 때만 수행할 수 있다.
- 나이트는 모든 2x3 직사각형의 한 모서리에서 반대쪽 모서리로 이동한다. (이는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다음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거나,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한 다음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 즉, "L"자 모양으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나이트는 움직일 때마다 칸의 색상이 번갈아 나타난다. 다른 기물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 폰은 한 칸 앞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초기 칸에 있을 때는 보드의 상대방 쪽으로 한 칸 또는 두 칸 이동할 수 있다. 폰의 대각선 앞에 상대 기물이 한 칸 있을 때, 폰은 그 기물을 잡을 수 있다. 폰은 앙파상이라는 특별한 유형의 상대 폰 잡기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가로로 인접한 상대 폰이 두 칸 전진했을 때 그 폰이 한 칸만 전진한 것처럼 잡는 것이다. 폰이 상대방의 백 랭크 칸에 도달하면, 플레이어는 같은 색상의 퀸, 룩, 비숍 또는 나이트 중 하나로 프로모션시킨다.[9]
폰을 제외한 기물은 움직이는 방식과 동일하게 잡는다. 잡는 기물은 폰의 앙파상 잡기를 제외하고는 상대 기물을 그 칸에서 대체한다. 잡힌 기물은 즉시 게임에서 제거된다. 한 칸에는 한 번에 하나의 기물만 있을 수 있다. 캐슬링과 나이트의 움직임을 제외하고는 어떤 기물도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없다.[10]
Remove ads
킹
킹(King)은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다. 킹이 상대방 기물의 공격 범위 안에 들어가게 되는 상황을 체크(Check)라고 한다. 이 때는 킹이나 다른 기물을 움직여 체크를 벗어나야 하며 체크를 벗어날 수 없게 된 경우 체크메이트(Checkmate)라 하여 그 즉시 패배가 된다. 또한, 킹이 스스로 체크에 걸리게 하는 수를 둘 수 없으며 만약 체크 상태가 아닌데 어떤 수를 둬도 스스로 체크에 걸리게 되는 상황이라면 스테일메이트(Stalemate)가 되어 무승부가 된다.
퀸
퀸(Queen)은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룩과 비숍을 합친 것과 같다. 원래 이 기물의 신분은 참모였으나 영국으로 건너가면서 여왕으로 변경되었다. 이 기물의 점수는 9점이다.
룩
룩(Rook)은 가로, 세로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장기의 차(車)와 같다. 이 기물의 점수는 5점이다.
비숍
비숍(Bishop)은 대각선으로 원하는 만큼 움직일 수 있다. 비숍은 하나는 검은색 칸에 있고 또 다른 하나는 흰색 칸에 있는데, 경기가 끝날 때까지 검은색은 검은색 칸에 흰색은 흰색 칸으로밖에 움직일 수 없다. 그러므로, 전략을 짤 때는 이 점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 또한 비숍이 서로 붙어있으면 더욱 많은 칸을 묶을 수 있으므로 되도록 서로 붙어있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일 때가 많다.이 기물의 점수는 3점이다.
나이트
나이트(Knight)는 한 칸 앞으로 가고 대각선으로 한 칸 움직일 수 있다(L자 형태로 바로 옆 칸이 아닌 제일 가까운 다른색의 위치). 장기의 마(馬)와 비슷하지만, 가고자 하는 방향의 사이에 있는 기물을 뛰어넘어서 갈 수 있다. 이 기물의 최대 장점은 막강한 퀸을 견줄 수 있는 행마법에 있으며, 움직일때마다 칸의 색상이 변한다. 이 기물의 점수는 3점이다.
폰
폰(Pawn)은 앞으로 한 칸 갈 수 있고(다만 처음 움직일 때 한하여 두 칸 전진이 허용됨), 뒤나 옆으로는 갈 수 없다. 상대의 기물을 잡을 경우에는 대각선 앞으로 한 칸 간다. 보드의 끝까지 가면 퀸, 룩, 비숍, 나이트 중 원하는 피스로 바꿀 수 있다(프로모션). 이 기물의 점수는 1점이다.
Remove ads
상대적 가치
기물에 할당된 가치는 게임에서 기물의 잠재적 강도를 나타내려고 한다.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 기물의 상대적 가치도 변한다. 예를 들어, 오픈 게임에서는 비숍이 상대적으로 더 가치 있다. 비숍은 길고 열린 대각선 공간을 제어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비숍을 막는 보호된 폰들의 줄이 있는 클로즈드 게임에서는 나이트가 보통 상대적으로 더 강력해진다. 오픈 파일에 룩을 배치하고 활동적인 중앙 칸에 나이트를 배치하는 데에도 유사한 아이디어가 적용된다. 표준 가치는 폰 1점, 나이트 또는 비숍 3점, 룩 5점, 퀸 9점이다.[11] 이러한 가치는 특히 제한된 수의 기물이 있을 때 종반전에 신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는 위치 또는 게임의 단계 (초반, 중반, 종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숍 쌍은 평균적으로 폰 반 개만큼의 가치가 추가된다.[12] 특정 상황에서는 가치가 상당히 다를 수 있다. 특정 스머더드 메이트와 같은 메이팅 공격에 특정 각도가 필요한 경우 나이트가 퀸보다 더 가치 있을 수 있다. 폰은 또 다른 예로 퀸 프로모션을 확보하는 데 가까워질수록 점점 더 가치 있게 된다.
Remove ads
역사
체스는 인도와 페르시아의 초기 버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양과 동양으로 퍼져나가는 변형으로 진화했다. 기물의 이름과 규칙도 바뀌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비지르(또는 피르즈)가 퀸으로, 코끼리가 유럽 체스 버전에서 비숍으로 변한 것이다. 퀸과 비숍의 움직임 패턴도 바뀌었는데, 초기 규칙에서는 코끼리가 대각선으로 두 칸만 이동할 수 있었지만 "점프"할 수 있었고(요정 체스 기물인 알필에서 볼 수 있음), 초기 버전의 퀸은 대각선으로 한 칸만 이동할 수 있었다(요정 체스 기물 퍼즈). 현대 비숍의 움직임은 14세기와 15세기에 대중화되었고, 현대 퀸은 15세기와 16세기에 대중화되었으며, 더 강력한 현대 퀸을 사용하는 버전이 이전 변형을 능가했다.
- 중세 체스 기물
- 10세기~11세기 (파티마 왕조?) 석영으로 만든 폰. 이슬람 체스 세트는 추상적인 디자인을 선호했다.
- 1250년경 영국 런던에서 만들어진 나이트. 나이트가 용과 싸우고 있다.
- 12세기 스칸디나비아 기원의 고래 상아로 만든 워더 (현대 룩), 유명한 루이스 체스말과 유사하다.
- 13세기 스칸디나비아 기원의, 수행원들과 함께 말을 탄 퀸. 퀸은 유럽 체스에서 페르시아의 비지르를 대체했다.
- 8세기~10세기 제트(jet)로 조각된 킹 (샤). 이슬람 양식으로, 점과 원 무늬로 장식된 추상적인 표현이다.
이름
기물 이름에 내포된 특징은 언어마다 다르다. 예를 들어, 많은 언어에서 영어로 "나이트(기사)"라고 알려진 기물은 종종 "말"로 번역되며, 영어 "비숍"은 현대 비숍의 움직임 패턴은 채택했지만 새로운 이름은 채택하지 않은 언어권에서는 종종 "코끼리"로 번역된다.[13] 이는 비숍의 유래인 차투랑가의 가자(코끼리/코끼리병) 때문이다.
변형

변형 체스는 때때로 새롭거나 비표준적인, 또는 심지어 오래된 기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2세기부터 현대 체스의 전신이었던 쿠리어 체스는 8×12 보드에서 플레이되었으며, 현대 체스 기물 6가지 유형 모두와 더불어 쿠리어, 만(또는 라트 또는 현자), 그리고 제스터라는 세 가지 추가 기물 유형을 사용했다. "오래된" 체스의 변형은 알필 기물을 사용한 비숍/코끼리의 옛 규칙이나 퍼즈를 사용한 퀸의 옛 규칙을 사용할 수 있다. 대각선으로 전진하고 수직으로 잡는 커스텀 폰을 사용하는 베를리나 체스와 같이 비정통적인 기물을 사용하는 많은 현대 변형이 존재한다.
같이 보기
틀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