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초특별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군론에서, 초특별군(超特別群, 영어: extraspecial group)은 크기가 소수의 거듭제곱이며, 중심이 그 소수 크기의 순환군이며, 중심에 대한 몫군이 그 소수 크기의 순환군들의 직접곱인 유한군이다.
정의
Remove ads
성질
모든 -초특별군의 크기는
의 꼴이다. 반대로, 임의의 의 꼴의 수에 대하여, 이 크기의 초특별군은 (군의 동형 아래) 정확히 2개가 있다.
Remove ads
연산
요약
관점
두 군 와 및 군의 동형 사상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와 의 에 대한 중심곱(中心곱, 영어: central product)은 다음과 같다.
이는 일반적으로 에 의존하지만, 만약 와 가 둘 다 초특별군일 경우 이는 (군의 동형 아래) 유일하다. 또한, 두 초특별군의 중심곱은 초특별군이다.
또한, 초특별군의 중심곱은 군의 동형 아래 결합 법칙과 교환 법칙을 따른다. 즉, 임의의 초특별군 에 대하여
이다. (그러나 이 동형이 표준적일 필요는 없다.)
Remove ads
분류
요약
관점
임의의 소수 에 대하여, 모든 -초특별군은 크기 의 초중심곱들의 중십곱으로 표현된다. 즉, -초특별군의 분류는 크기 의 초특별군들의 분류로 귀결된다.
짝수 p
일 때, 크기 8의 두 2-초특급군은 다음 두 개이다.
이들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즉, 임의의 양의 정수 에 대하여, 크기 의 2-초특급군은 다음 두 개이다.
- 짝수 개의 을 포함하는 것
- 홀수 개의 을 포함하는 것
홀수 p
일 때, 크기 의 두 -초특급군은 다음 두 개이다.
에서, 반직접곱에 사용되는, 의, 위의 작용은 자명하지 않은 임의의 작용이다.
이들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이에 따라, 임의의 주어진 크기에 대하여, -초특급군은 를 짝수 개 포함하는 것과 홀수 개 포함하는 것의 두 가지가 있다.
Remove ads
참고 문헌
- Blackburn, Simon R. (1999), “Groups of prime power order with derived subgroup of prime order”, 《Journal of Algebra》 219 (2): 625–657, doi:10.1006/jabr.1998.7909, ISSN 0021-8693, MR 1706841
- Gorenstein, D. (1980), 《Finite Groups》, New York: Chelsea, ISBN 978-0-8284-0301-6, MR 569209
- Newman, M. F. (1960), “On a class of nilpotent groups”, 《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Third Series 10: 365–375, doi:10.1112/plms/s3-10.1.365, ISSN 0024-6115, MR 0120278
- Shelah, Saharon; Steprāns, Juris (1987), “Extraspecial p-groups”, 《Annals of Pure and Applied Logic》 34 (1): 87–97, doi:10.1016/0168-0072(87)90041-8, ISSN 0168-0072, MR 887554
Remove ads
외부 링크
- “Extraspecial group” (영어). 《Groupprop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