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전작도록

예술가의 모든 작품을 기록하는 목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전작도록
Remove ads

전작도록(catalogue raisonné (프랑스어 발음: [katalɔg ʁɛzone])) 또는 비평 카탈로그(critical catalogue)는 한 예술가 또는 예술가 그룹의 작품에 대한 주석이 달린 목록으로서, 해당 작가의 모든 작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매체 또는 시기와 같은 다양한 매개변수에 따라 분류된 작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2]

Thumb
그레이엄 레이놀즈가 작성한 존 컨스터블의 전작도록 중 한 권[1]

전작도록은 일반적으로 예술가 본인이나 가족 구성원, 전문가 또는 학자들로 구성된 위원회(총칭하여 "제작자"라고 함)에 의해 제작된다. 이 목록은 일반적으로 작품의 제목, 제작 연도, 크기, 매체 및 작품 설명 등의 작품의 특성과 함께 작품 이미지를 포함한다. 일부 목록에는 각 작품에 대한 학술적 해설이나 때로는 작품에 대한 해설이 포함되기도 한다.[2][3] 이 정보는 다른 사람들이 작품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진위 확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4]

역사적으로 전작도록은 물리적인 책으로 제작되었지만, 이사무 노구치, 폴 세자르 헬루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 목록처럼 디지털 형태로만 존재하는 목록으로 변화하고 있다.[5][6]

예술가 또는 목록 제작자의 국적에 따라 critical catalogue, complete works, œuvre, catalogo razonado, catalogo ragionato, catalogo generale, opera completa 및 Werkverzeichnis와 같은 여러가지 용어가 사용된다.[7]

Remove ads

어원

전작도록은 프랑스어로 "이유 있는 목록"(즉, 귀속과 같은 주어진 정보에 대한 논거를 포함하는)을 의미하지만,[8] 영어권 미술계의 전문 용어이다. 미국에서도 철자를 "catalog"로 미국화하지 않는다.[9]

제작 과정

전작도록은 작가 또는 목록 "제작자"로 알려진 전문가 위원회에 의해 제작된다. 목록을 만들고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미술사학자와 전문가의 연구 및 조사를 기반으로 하며, 완료하는 데 수년이 걸릴 수 있다.[10] 2012년 Dedalus Foundation이 주도하고 예일 대학교 출판사(Yale University Press)에서 출판한 미국 화가 로버트 머더웰의 3권짜리 전작도록은 25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팀이 11년에 걸쳐 제작했다.[11][12]

전작도록이 만들어진 후에도 제작자들은 새로운 작품이 발견되거나 심사가 필요할 경우, 주기적으로 회의를 계속한다. 일반 대중, 박물관, 갤러리 모두 작품 심사를 의뢰할 수 있다.[4]

대부분의 제출물에 대해 작품은 일반적으로 작품의 출처를 증명하기 위해, 역사적인 사진, 전시 도록, 딜러 기록 및 기타 기록 보관 문서등을 제작자에게 제출한다. 이러한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과학적 증거와 법과학 기술을 사용하여 작품을 심사할 수 있다. 제작자는 등재 정책을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으며, 자신의 교육적 의견과 전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을 전작도록에 포함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2][5]

대학 미술 협회(College Art Association)과 전작도록 학자협회(Catalogue Raisonné Scholars Association)는 모두 전작도록 제작을 위한 프로토콜과 모범 사례를 만들었다.[13][14] 그러나 특정 작가에 대한 전작도록 출판사를 결정할 수 있는 권위있는 기관은 없으며, 이 때문에 때로는 동일한 작품에 대해 두 개 이상의 목록이 제작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의 작품은 최소 5개의 전작도록이 제작되었다.[15]

전작도록은 종종 예술가의 작품에 대한 "정식" 목록으로 묘사된다.[16] 그러나 일부 제작자는 목록에 특정 작품만 포함시킬 수도 있고, 유년기 작품이나 단편 작품은 전작도록에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도 있다. 로이 리히텐슈타인과 같은 예술가의 경우에는 미완성이거나, 버려졌거나, 파괴되었다는 등의 이유로 잠재적으로 진품으로 인정되기는 하지만 해당 공식 목록에 포함되지 않는 작품도 있다.[17]

Remove ads

진위 확인

뉴욕 타임스는 전작도록을 "진품과 위작의 최고 심판자"로 묘사했다.[16] 사망한 예술가의 경우, 전작도록의 제작자는 특정 작품의 진품 인정 여부에 상당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a]

전작도록에 작품이 포함되는 것은 진품임을 나타내는 표시로 간주될 수 있으며, 평판이 높은 목록에 포함되거나 제외되는 것은 작품의 시장 가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작도록 포함여부는 "막대한 부와 빈곤" 사이의 차이로 가져올 수 있고,[16] 경매장은 목록에 없는 작품은 취급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18] 이로 인해 일부 전작도록 제작자들이 소송, 뇌물 및 살해 위협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18] 이러한 이유로 일부 제작자들은 결정에 불만을 품은 판매자와 구매자의 법적 조치를 우려하여 새로 발견된 작품이 있음에도 목록을 업데이트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8] 2012년, 앤디 워홀 미술 진위 확인 위원회의 경우에는 진위 확인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상당한 법률 비용을 주요 이유로 들어 해체되었다.[5]

책임으로부터 거리를 두기 위해, 한때 모네와 같은 인상주의 화가들의 전작도록을 담당했던 빌덴슈타인 인스티튜트와 같은 일부 기관은 다음과 같은 작품 심의 정책을 명시했다: '심사 후, 위원회 위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연구 중인 작품을 포함할지 말지에 대한 권고가 이루어진다. 세 번째 가능성, 즉 작품 심사를 계속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권고는 진품 또는 감정 증명서로 간주되지 않으며, 해당 권고에 대한 근거는 제공하지 않는다.'[3]

일부 작품들은 출판된 전작도록이 없지만, 전작도록 제작자들과 동일한 진위 확인 권한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는 기관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기관들은 보통 예술가의 후손, 예술가 재단 회원 또는 기타 학술 기관으로 구성된다.

논란

작품이 예술가의 전작도록 제작자에게 심의를 위해 제출되면, 일반적으로 과정이 완료된 후 소유자에게 반환된다. 예를 들어, 빌덴슈타인 인스티튜트는 "위원회 권고에 관계없이, 위탁 영수증을 제시하면 작품을 반환한다"라는 정책을 가지고 있었다.[3]

그러나 일부 전작도록 제작자가 작품 반환을 거부하거나 작품을 파괴한 증거가 있다. 2014년, 샤갈 위원회는 제출된 작품을 위조품으로 판정하고, 소유자에게 소유자의 동의 또는 저작인격권의 법적 판례에 따른 결정에 따라 작품을 파괴하겠다고 통보했다.[19] 미술사학자 벤더 그로스브너 박사는 이러한 그림 파괴 결정을 비판했다. 미술상 겸 TV 진행자 필립 몰드는 이 결정에 대해 "나는 이제 (작품을) 파리로 보내기 전에 세 번 이상 생각할 것이다. 위원회가 제안한 것과 같은 추악한 행위는 미술사의 진전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20][21]

경쟁하는 전작도록을 만드는 두 개 이상의 기관이 존재할 경우, 때때로 비정상적인 경쟁을 초래할 수 있다. 현재 픽턴 캐슬에 전시된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강 풍경화의 진위 확인 과정에서, 작가의 경쟁하는 두 목록 제작자인 빌덴슈타인 인스티튜트와 베른하임-죈은 진위 여부를 다르게 결론 내렸다. 베른하임-죈의 기 파트리스 도베르빌은 이에 대해 "[빌덴슈타인 인스티튜트는] (르누아르 작품을) 거부해서 기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되었다. 당시 한 기자는 두 기관 간의 경쟁이 "이제 공개적으로 드러났다"고 말하며 이를 "추악하다"고 묘사했다.

2013년, 이탈리아 화가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의 목록을 담당하는 모딜리아니 인스티튜트의 회장 크리스티앙 파리소sms 고의로 위조 진위 증명서를 발행한 혐의로 체포되었다.[22]

Remove ads

예시

자세한 정보 예술가, 전작도록 제목 ...
Remove ads

같이 보기

  • 고전 작곡 목록, 음악에서의 동일한 관행

내용주

  1. 빌덴슈타인 지수 번호

각주

추가 자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