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케일리-멩거 행렬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수학에서 케일리-멩거 행렬식(-行列式, 영어: Cayley–Menger determinant)은 단체의 초부피를 나타내는 데 쓰이는 행렬식이다.

정의

음이 아닌 정수 에 대하여, 번째 케일리-멩거 행렬식 은 다음과 같은 행렬식으로 나타낸 변수 다항식이다.[1]:71

Remove ads

성질

케일리-멩거 행렬식 대칭 다항식이다. 즉, 변수의 순열에 대하여 불변이다.

표수가 2가 아닌 위에서, 케일리-멩거 행렬식 동차 다항식이다.[2]:339-340

표수가 2가 아닌 체 위에서, 케일리-멩거 행렬식 기약 다항식일 필요충분조건은 이다.[2]:339-340

꼭짓점 를 갖는 차원 단체 차원 초부피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우변의 계수의 번째 값은 다음과 같다.

-1, 2, -16, 288, -9216, 460800, ... (OEIS의 수열 A055546)
Remove ads

역사

아서 케일리카를 멩거의 이름을 땄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