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서 케일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아서 케일리(영어: Arthur Cayley IPA: [ˈɑː(ɹ)θə(ɹ) ˈkeɪli] FRS, 1821년 8월 16일 ~ 1895년 1월 26일)는 영국의 법률가이자 수학자이다. 대학 졸업 후 25세에 14년 동안 법률가로서 활동하였다.[1] 그 후 40대 이후에 드디어 본격적으로 전문수학자로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상대성 이론에서 4차원의 개념을 뚜렷하게 만들고, 기하 공간이 점과 선으로만 이루어진다고 한정하는 것을 벗어나게 했다. 또 행렬의 대수를 발전시켰고, 기하학에서도 많은 업적을 쌓았다. 1884년에 드 모르간 메달을 수상했다. 윌리엄 로언 해밀턴의 제자로서 해밀턴과 함께 케일리-해밀턴 정리를 발견하고, 해밀턴의 사원수를 발전시켜서 팔원수를 고안하기도 했다. 윌리엄 로언 해밀턴의 친구인 아일랜드의 수학자 존 토머스 그레이브스(영어: John Thomas Graves, 1806~1870)는 사원수를 확장하려는 시도 끝에 데겐의 여덟 제곱수 항등식을 재발견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팔원수를 고안하였다.[2]
그러나 아서 케일리는 1845년에 이와는 독립적으로 팔원수를 발견하여 발표하였다.[3]
아서 케일리의 팔원수는 사원수 대수에 케일리-딕슨 구성을 가하여 얻어진다.[4]
제임스 조지프 실베스터와는 친구로, 실베스터가 런던을 방문할때면, 함께 Lincoln's Inn, London(런던법학원,영국법조원 비영리협회)에서 자주 거닐며, 불변식론을 논의하곤 했다.[5]
Remove ads
케일리의 오메가 프로세스
, 변수로 를 갖는 미분 연산자를 가정하면, 오메가 연산자(operator)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2변수다항식의 2차 불변식의 경우, 는 그리고 다른 함수 의 개의 변수에 대해 Ω(오메가)연산자는
- 이고,
- 로 예약해보면,
- (중) ,즉 는 그리고 의 변수에 의해 개의 와 가
- 의 그리고 의 로 변환한다.
- 에 승을 해주면, 개의 변수들()에 의해서 가 성립한다.
- 와 를, 와 를 대입한다.
,즉 또는 Transvectant()로 불리는 가 되겠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