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파동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파동군(巴東郡)후한말에 설치된 중국의 옛 군이다. 후한말부터 촉한까진 고릉군(固陵郡)으로 불렸다.

촉한

201년(후한 헌제 건안 6년), 유장영녕군에서 파동군을 분리신설했다.[1] 유비의 입촉이후, 유비는 파동군 구윤, 어복, 한풍, 양거 4현, 그리고 의도군의 무, 북정 2현을 합하여 고릉군(固陵郡)을 두었다.[2]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Remove ads

263년(촉한 후주 염흥 원년) 촉한이 위나라에 멸망하면서 위의 땅이 되었고, 265년 서진이 건국되면서 서진의 땅이 되었다. 267년(서진 무제 태시 3년) 양주가 신설되자 양주로 편입되었고, 북정현이 건평군으로 편입되었다. 서진대 파동군은 3현 6,500호를 거느렸다.[4] 303년(서진 혜제 태안 2년) 익주로 소속이 바뀌었다. 347년(동진 목제 영화 3년) 환온성한을 멸망시킨 이후 형주로 편입되었다.[3] 동진이후로는 무릉군, 의도군, 건평군, 천문군과 함께 군내에 거주하는 남만이 활발하게 활동했다.[5]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7현 13,795호 45,237명을 거느렸다. 본군에서 형주의 치소인 강릉까지 수로로 1,300리, 수도인 건강까지 수운으로 4,680리였다.[3] 유송 효무제 대명연간 이후 남만의 반란이 잦아지고, 지역 주민들이 이를 피해 객지로 이주하면서 군이 황폐화되었다.[5] 유송은 이런 남만을 통제하기 위해 본군에 삼파교위(三巴校尉)라는 군관직이 잠시 설치되었다. 이 삼파교위는 파동군 뿐 아니라 파군, 건평군 지역까지 관할하며 그 지역의 남만을 통제했다. 이 삼파교위는 478년(유송 순제 승명 2년) 재설치되었다.[6]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남제

480년(남제 고제 건원 2년), 삼파교위의 관할지였던 파동군, 건평군, 파군이 파주(巴州)로 분리되었고, 파동군은 파주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래서 파주자사는 파동태수를 겸임하게 되었다. 그러나 483년(남제 무제 영명 원년) 파주가 폐지되고, 속군이 원래 소속으로 돌아가자 건평군과 함께 형주로 돌아왔다.[6]

자세한 정보 현명, 한자 ...

523년(양 무제 보통 4년) 신주(信州)로 분리되었고, 치소인 어복현이 이 시기 인복현(人復縣)으로 개명되었다. 552년(양 원제 승성 원년), 익주자사 무릉왕 소기가 파촉에 근거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이를 틈타 위지형이 지휘하는 서위의 군대가 파촉을 침공했다. 이로 인해 파촉의 전역이 서위에 편입되면서 파동군 또한 서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7][8]

서위, 북주, 수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