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확률 공간

- 유클리드 공간
. 그 벡터 지표를
로 나타내자 (
).
위의 위너 확률 과정 ![{\displaystyle W^{j}\colon \Omega \times [0,T]\to \mathbb {R} ^{n}}](//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6bbfc7d9f9d9a50203747ac0a6d3d66c9f70e98)
에 대한 이토 확률 과정 
- 보렐 가측 함수

- 보렐 가측 함수
![{\displaystyle h\colon \mathbb {R} ^{n}\times [0,T]\to \mathbb {R}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1aa7a6bf9a0d9c3f9772ab61e1ed38312319a80)
- 보렐 가측 함수
. 이는 퍼텐셜에 해당한다.
이제, 다음과 같은 확률 과정을 정의하자.
![{\displaystyle G\colon \Omega \times [0,T]\to \mathbb {R} }](//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8568a2ff702887fa6b9b36c41b608ad89c248ef)

특히,

이다.
이제, 그 조건부 기댓값을 정의하자.
![{\displaystyle g(x,t)=\mathbb {E} \left[G(t)|X(t)=x\righ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278c8eb5fefbff98c2333a467386bb352c27784)
이 함수가 유계 함수라고 하자. 특히,
![{\displaystyle g(x,T)=\mathbb {E} [f(X(T))|X(T)=x]=f(x)}](//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7212fb0f787f85d1cbfd9170c7dcd114c17b4f32)
이다.
그렇다면, 이는 다음 2차 선형 비동차 편미분 방정식을 만족시킨다.

아인슈타인 표기법으로 합 기호를 생략하면, 이는 다음과 같다.

특히, 만약
인 경우
는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확률 과정, 즉 확률 변수가 된다.

이 경우
![{\displaystyle g(x,t)=\mathbb {E} \left[f(X(T))|X(t)=x\righ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90fa23ec2acb284bb8e417724161e018b62c934)
이다.
리만 다양체의 경우
리만 다양체의 경우, 다음과 같은 파인먼-카츠 공식이 존재한다.[1]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차원 연결 리만 다양체
. 그 벡터 지표를
로 나타내자 (
)
- 점
(초기 조건)
- 양의 실수
(최종 시각)
그렇다면, 초기 조건이
인 연속 함수로 구성된 바나흐 공간
![{\displaystyle {\mathcal {C}}_{x_{0}}^{0}([0,T],M)=\{f\in {\mathcal {C}}_{0}^{0}([0,T],M)\colon f(0)=x_{0}\}}](//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eab03c65c5ea0cb7eaf462995c8125dc86e0c86)
을 생각하자. 그 속에 소볼레프 공간인 캐머런-마틴 공간
![{\displaystyle \operatorname {W} _{x_{0}}^{1,2}([0,T],M,g)=\left\{f\in {\mathcal {C}}_{x_{0}}^{0}([0,T],M)\colon \int _{0}^{T}g_{f(t)}({\dot {f}}(t),{\dot {f}}(t))\,\mathrm {d} t<\infty \righ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fe65e2d68e2147b71b4574213f3a893b63de97e)
을 부여하면, 이는 위너 공간을 이룬다. 즉,
위에, 열핵으로 유도되는 위너 확률 측도
가 존재한다.
또한, 임의의
(최종 조건)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displaystyle {\mathcal {C}}_{x_{0},x_{T}}^{0}([0,T],M)=\{f\in {\mathcal {C}}_{0}^{0}([0,T],M)\colon f(0)=x_{0},f(T)=x_{T}\}}](//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da6b7ad42bd3f06c2a441fb4d43587aee1a790b)
를 생각하자.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캐머런-마틴 공간
![{\displaystyle \operatorname {W} _{x_{0},x_{T}}^{1,2}([0,T],M,g)=\operatorname {W} _{x_{0}}^{1,2}([0,T],M,g)\cap \operatorname {C} ^{0}{x_{0},x_{T}}([0,T],M)}](//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a2a63dfd46912569779e1c4ebcdd336a6c473714)
을 통하여 위너 공간을 이루며, 이는
위의 확률 측도의 조건부 확률이다.
이제,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퍼텐셜 함수)
(초기 조건)
그렇다면, 실수 힐베르트 공간

위에 자기 수반 작용소인 해밀토니언 연산자

를 정의할 수 있다.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는 음이 아닌 스펙트럼을 가지므로,
전체로 유일한 프리드릭스 확장(영어: Friedrichs extension)을 갖는다.)
이제, 이에 대한 열 방정식


을 생각할 수 있다. (해석학적 이유로 인하여,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대신 실수 힐베르트 공간, 슈뢰딩거 방정식 대신 열 방정식을 사용하였다. 물리학에서 이는 시간의 윅 회전에 해당한다.) 힐베르트 공간의 이론으로 인하여, 이는 항상 유일한 해

를 갖는다. 브라-켓 표기법으로 이는


이다.
파인먼-카츠 공식에 따르면, 이 방정식의 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displaystyle \psi (T,x_{0})=\int _{{\mathcal {C}}_{x_{0}}^{0}([0,T],M)}\psi _{0}(x_{0})\exp \left(-\int _{0}^{T}V(f(t))\,\mathrm {d} t\right)\,\mathrm {d} W_{x_{0}}(f)}](//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2878a0262f47aad50f316d62d74126bdcf31bf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