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팽창주의

영토 확장을 지향하는 이념이나 정책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팽창주의
Remove ads

팽창주의(膨脹主義, 영어: expansionism)는 일반적으로 국가나 정부의 영토 확장을 지향하는 이념이나 정책을 뜻하며, 확장주의(擴張主義) 또는 신장주의(伸張主義)라고도 불린다. 보통 군사적 공격성을 띠며, 영토 분쟁과 같은 국경 분쟁은 팽창주의로 여겨지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팽창주의는 다양한 형태에 의해서 비롯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실지회복운동에서 비롯된, 민족주의적이며 국수주의적 색채를 띄는 전쟁과 전투를 수반하는 영유권에 관련된 팽창주의가 있으나, 이슬람 및 기독교와 같은 종교적인 색채의 팽창주의도 있었고, 현대에 들어 경제와 무역과 관련된 경제적 팽창주의도 있다.

Thumb
알렉산드로스 대왕마케도니아 제국 지도

사례

몽골 제국

Thumb
몽골 제국의 최장성기 시절 지도

몽골 제국은 13세기에 금나라, 남송, 화레즘 제국, 키예프 루스과 전쟁을 벌이고 이들을 정복하였다. 몽골 제국은 분열 이후에도 일 칸국, 차가타이 칸국, 오고타이 칸국, 툴루이 칸국, 킵차크 칸국 등으로 남아 유럽과 아시아 지역을 다스렸다.

러시아 제국

Thumb
러시아의 확장을 연도별로 보여주는 지도

러시아 제국은 근대적인 국가 출범 이후 동쪽으로 진출하여 중앙아시아시베리아, 그리고 캄차카 반도알레스카를 자국 영토에 편입하였다.

제국주의 열강

Thumb
1880년과 1913년를 비교하는 아프리카 지도

영국, 프랑스,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는 산업화 이후 아프리카에 진출하여 아프리카 분할을 실행하였고, 영국과 프랑스가 가장 많은 영토를 가져갔다.

21세기

팽창주의는 현재진행형이며, 일부 국가들은 이러한 팽창주의적 접근을 외교 및 국방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국가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이스라엘, 튀르키예, 미국 등이 있다.

러시아

러시아는 캅카스동유럽에서 팽창하려는 모습을 보이며, 이는 러시아‒조지아 전쟁,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인접국가인 조지아우크라이나와 군사적 충돌을 야기하였으며, 발트 3국폴란드와 같은 주변 국가에게 긴장감을 유발하고 있다.

미국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부터 그린란드를 덴마크로부터 구매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시온주의에 기초한, 과거 이스라엘 왕국의 지역을 점령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완전한 점령과 레바논시리아, 요르단의 일부 지역까지 포함한다.

일본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유권을 상실한 대한민국의 독도와 러시아의 쿠릴 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꾸준하게 주장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러시아와 갈등을 겪고 있다.

중국

중국은 남중국해에서 스프래틀리 군도에 대한 영유권 및 구단선을 주장하며 남중국해에 인접한 국가들과 갈등을 겪고 있다. 동중국해에서 동중국해 EEZ 분쟁센카쿠 열도 분쟁으로 인해 일본 및 중화민국과 갈등을 겪고 있다.

튀르키예

튀르키예는 신오스만주의에 기초한 튀르키예의 북동시리아 침공튀르키예의 북부이라크 침공이라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Remove ads

이론

19세기부터 민족주의국수주의에 기반한 범슬라브주의, 범독일주의, 범아랍주의, 범튀르크주의가 이러한 팽창주의에 대한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