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평의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평의선
Remove ads

평의선(平義線)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중구역에 있는 평양역평안북도 신의주시에 있는 신의주청년역을 연결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노선이다.

간략 정보 평의선, 기본 정보 ...
간략 정보 평의선(평양역-단둥역) ...

본래 1905년 11월 5일 경의선으로 개통된 노선이나, 한반도 분단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이 경의선의 평양 - 신의주 구간을 따로 이름한 것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물동량이 가장 많은 노선이며, 수많은 지선이 있다. 전 노선의 15.6%에 해당하는 35.1km 구간이 복선화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중조우의교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의 철도와 연결되며, 남쪽으로는 평부선군사 분계선을 거쳐 경의선과 연결된다.

현재 본선에는 평양역과 베이징 역, 평양역과 모스크바 역을 연결하는 국제열차가 각각 운행되고 있다. 가공 전차선의 전압저하, 정전 등으로 열차운행이 시각표대로 되지 않는 일이 적지 않으나, 여유시간 때문에 국제열차가 대폭으로 지연되는 일이 별로 없다고 한다.

Remove ads

노선 정보

  • 구간과 거리 : 평양역~신의주청년역 225.1km
  • 역 수: 31개(양단역 포함)
  • 궤도 간격: 1435mm(표준궤)
  • 전철화 구간: 전 구간(직류 3000V)
  • 복선 구간: 평양역—간리역, 어파역—숙천역, 남신의주역—신의주청년역(합계 35.1km)
  • 폐역 정보
- 니서역(尼西驛): 숙천역과 문덕역 사이에 존재하였음.
- 수정역(壽亭驛): 평양역 기점 195.5km 지점에 존재하였음.[1]
- 당령역(堂嶺驛): 평양역 기점 201.7km 지점에 존재하였음.[1]
- 입암역(立巖驛): 평양역 기점 213.1km 지점에 존재하였음.[1]

역사

역목록

자세한 정보 역명, 로마자 역명 ...

개량 계획

아직 별다른 개량 계획은 없다. 하지만 2013년중국의 자본을 통해 고속철도를 평부선 구간과 함께 신설하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주요 경유지는 신의주 - 정주 - 신안주 - 평양 - 사리원 - 해주 - 개성이다. 그 건설은 북한이 함경남도 허천군 상농금동광산, 황해남도 강령군 부포광산, 함경북도 온성군 동금광산, 평안북도 정주군 희토류 광산, 함경남도 이원군 활석광산, 황해남도 은율군 자철광산, 함경북도 무산철광 일부를 중국에 건설 자금으로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2]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