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플레처 스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플레처 스쿨(The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 The Fletcher School)은 미국 보스턴 근교 메드퍼드에 위치한 미국 최초의 국제법 및 외교학 전문대학원이다. 터프츠 대학교의 단과대학 중 하나이며, 문리대학(School of Arts and Sciences) 및 공과대학(School of Engineering)과 함께 본교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
![]()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5년 8월 15일) |
![]() | 이 문서의 내용은 광고처럼 작성되었습니다. (2025년 8월) |
이 문서의 주된 기여자가 주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이해당사자일 수 있습니다. (2025년 8월 15일) |
Remove ads
역사
플레처 스쿨은 "외교 업무에 능한 인재를 양성하고, 외교의 근간이 되는 국제법 원리와 국제관계 지식을 가르치는 법학·외교 전문 학교를 설립하는 데 사용하라"는 오스틴 바클레이 플레처(Austin Barclay Fletcher) 박사의 유증에 따라 1933년 설립되었다.[2]
플레처 스쿨의 설립은 하버드 대학교와 터프츠 대학교 간 긴밀한 협력으로 이루어졌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터프츠 대학교가 독립적으로 운영을 맡게 되었다.[3] 여전히 하버드 케네디스쿨, 하버드 로스쿨 등과의 학사교류가 활발하며, 이외에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다트머스 대학교 경영대학원(Tuck School of Business at Dartmouth), UC 버클리 법학대학원(Berkeley Law) 등 미국 유수 대학과 스페인, 프랑스 등 해외 대학들과도 학점 교류가 가능하다.
Remove ads
평판
개교 이래 플레처 스쿨은 레오 그로스(Leo Gross), 키스 하엣(Keith Highet),[4] 로버트 휴덱(Robert Hudec),[5] 한스 켈슨(Hans Kelsen), 루이스 손(Louis Sohn), 줄리어스 스톤(Julius Stone) 등 저명한 법학자와 법조인을 교수진으로 영입하며 국제법 분야를 선도해 왔다. 또한 선후배 동문 간의 네트워크와 유대가 공고하여 미국 정부 조직과 유엔(UN) 등 국제기구에서 영향력이 상당하다.
로스쿨이 아닌 학교로서는 플레처 스쿨과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SAIS) 두 학교만이 국제공법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미국의 필립 C. 제섭 국제법 모의재판 경연대회(Philip C. Jessup International Law Moot Court Competition)에 참여한다.
미국의 유명 국제학 잡지 포린 폴리시(Foreign Policy)는 매년 전세계 국제관계학 과정들을 평가하고 있는데, 플레처 스쿨의 MALD 과정은 존스 홉킨스 대학교 SAIS의 석사과정, 조지타운 대학교 SFS의 석사과정, 하버드 케네디스쿨의 석사과정과 함께 매년 최상위권으로 평가되고 있고 있다.
Remove ads
학사 과정
요약
관점
다학제 시스템인 플레처 스쿨의 학사과정은 국제학, 법학, 외교학, 역사학, 경제학, 경영학 관련 다양한 과목들을 자유롭게 들을 수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소정의 학위 과정의 졸업 요건으로 외국어와 캡스톤 프로젝트(Capstone Project)가 있으며,[6] 학점 이수는 다음과 같은 포괄적 요건(Breadth Requirement)과 심층적 요건(Depth Requirement)을 충족시켜야 한다.
포괄적 요건(Breadth Requirement):
- 외교, 역사 및 정책(Diplomacy, History and Policy, DHP)
- 국제법 및 국제기구(International Law and Organization, ILO)
- 경제 및 국제경영(Economics and International Business, EIB)
심층적 요건(Depth Requirement):[7]
- 비교지역학(Comparative and Regional Studies)
- 젠더와 교차성 분석학(Gender and Intersectional Analysis)
- 세계 거버넌스와 국제기구(Global Governance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 인간안보와 인도주의학(Human Security and Humanitarian Affairs)
- 국제경영학(International Business)
- 국제개발과 환경정책(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olicy)
- 국제경제관계(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 국제법 연구(International Legal Studies)
- 국제협상과 분쟁해결(International Negoti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 국제안보학(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 기술과 국제관계(Technology and International Affairs)
- 법학·외교학 석사(MALD)
- 국제경영학 석사(MIB)
- 석사(MA)
- 국제석사(GMAP)
- 국제법 법학석사(LLM)
- 미국-유럽관계 석사(MATA)
- 사이버안보·공공정책 석사(CSPP)
- 박사(PhD)
한편, 플레처 스쿨에는 학부 과정이 없지만, 터프츠 대학교의 국제관계학 학사과정(Tufts University International Relations Program)과의 교류를 통해 학부생에게 일부 과목을 수강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다.[10]
교류
요약
관점
이중·복수학위 프로그램 (Joint & Dual Programs)[11]
- MALD/JD
Harvard Law School, Harvard University
Berkeley Law,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 MALD/MBA
Tuck School of Business at Dartmouth College (미국 뉴햄프셔주 해노버)
MBA Program, HEC Paris (프랑스 파리)
Universidad Instituto de Empresa (IE University) (스페인 마드리드)
China Europe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 (CEIBS) (중국 상하이)
- MALD/MA
Department of Urban and Environmental Policy, Tuft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ts and Sciences, Tufts University
- MALD/DVM
Cummings School of Veterinary Medicine, Tufts University
- MALD/MS
Gerard J. and Dorothy R. Friedman School of Nutrition Science and Policy, Tufts University
School of Engineering, Tufts University
- MALD/MIA
Master of Arts in International Affairs and Governance, University of St. Gallen (스위스)
- MD/MA
School of Medicine, Tufts University
- LLM/MALD
Master of Laws in International Law, The Fletcher School at Tufts University
- LLM/MIL
Master in International Law, University of St. Gallen (스위스)
- LLB/LLM
Jindal Global Law School (인도 하리아나)
Instituto Tecnológico Autónomo de México (ITAM) (멕시코 멕시코시티)
- MS in Cybersecurity and Public Polic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School of Engineering, Tufts University
- MATA
Master of Arts in Transatlantic Affairs, College of Europe (벨기에 브뤼허)
- Bachelor's/MALD
School of Arts and Sciences, Tufts University
- 기타
Diplomatische Akademie Wien-Vienna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오스트리아 빈)
교환학생 프로그램 (Exchange Programs)[12]
- Tuck School of Business at Dartmouth College (미국 뉴햄프셔주 해노버)
- China Europe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 (CEIBS) (중국 상하이)
- China Foreign Affairs University (중국 베이징)
- MBA Program, HEC Paris (프랑스 파리)
- Indian School of Business (인도 하이데라바드)
- Universidad Instituto de Empresa (IE University) (스페인 마드리드)
- Geneva Graduate Institute (스위스 제네바)
-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대한민국 서울)
- Konrad-Adenauer-Stiftung (독일 베를린)
- Institut d'Études Politiques (Sciences Po) (프랑스 파리)
Remove ads
연구소 및 연구 프로그램[13]
- 국제환경·자원정책센터(Center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Resource Policy, CIERP)[14]
- 국제법·거버넌스센터(Center for International Law and Governance, CILG)[15]
- 전략적 연구센터(Center for Strategic Studies, CSS)[16]
- 젠더·교차성 분석학 프로그램(Gender and Intersectionality Analysis, GAIA)[17]
- 이주·인간안보센터(Henry J. Leir Institute for Migration and Human Security)[18]
- 글로벌경영센터(Institute for Business in the Global Context, IBGC)[19]
- 국제안보연구 프로그램(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Program, ISSP)[20]
- 해양학 프로그램(Maritime Studies Program, MSP)[21]
- 러시아·유라시아 프로그램(Russia and Eurasia Program)[22]
- 그리스·유럽학 석좌 프로그램(The Constantine G. Karamanlis Chair in Hellenic & European Studies)[23]
- 에드워드 머로 글로벌 외교연구소(The Edward R. Murrow Center for Global Diplomacy)[24]
- 파레스 동지중해 연구소(The Fares Center for Eastern Mediterranean Studies)[25]
- 히타치 기술·국제관계연구소(The Hitachi Center for Technology and International Affairs)[26]
- 세계평화재단(World Peace Foundation, WPF)[27]
Remove ads
도서관
플레처 스쿨 전용 도서관인 에드윈 긴 도서관(Edwin Ginn Library)은[28] 국제관계학 전문 도서관으로 교수와 학생들의 연구와 학습 지원을 위해 엄선된 총 12만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 및 국제연합(United Nations)을 비롯한 각종 국제기구 문서, 국제조약 문서, 국제사법재판소(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판례 등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터프츠 대학교 도서관 시스템(Tufts University Library System)과 연계하여 3만여 종의 전자저널 및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도 있다.
학생 활동 및 행사
학생 클럽
총학생회 및 각종 위원회(Student Council and Committees)[29] 외에도 관심 분야에 따라 다양한 학생 클럽이 있다.[30] 학생들의 참여에 따라 새로운 클럽을 만들 수도, 기존 클럽이 폐지될 수도 있다.
행사
- 문화의 밤(Culture Nights)
- 뉴욕 커리어 견학(NYC Career Trip)
- 워싱턴DC 커리어 견학(Washington, D.C. Career Trip)
- 교직원 서빙 일일 식당(Faculty and Staff Waits on You)
- 플레처 코미디 쇼(Fletcher Follies)
- 플레처 스키 캠프(Fletcher Ski Trip)
- 봄방학 여행(Spring Break Treks)
출신 인물
한국인(한글 가나다순)
-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 전 KB금융지주 대표이사 부회장(회장 직무대행)
- 구희권: 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수석전문위원
- 권영설: 전 중앙대학교 교수
- 권종락: 전 외교통상부 제1차관
- 김달중: 현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 김윤수: 전 한국외환은행 미주본부장, 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초빙교수
- 김은중: 전 외교통상부 유럽국장, 전 주루마니아 대사
- 김정근: 전 주휴스턴 총영사
- 김재창: 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육군대장 예편), 전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객원교수
- 김진아: 현 외교부 제2차관, 한국외국어대학교 LD학부 교수
- 김태영: 현 Egon Zehnder International 파트너
- 남상정: 전 경상북도 국제관계자문대사, 전 주네팔 대사
- 박용규: 전 주슬로바키아 대사
- 서창록: 전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장, 현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 석동연: 전 경기도 국제관계자문대사
- 신성호: 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 유태현: 전 주베트남 대사
- 이경은: 전 대통령실 행정관, 전 보건복지부 부이사관, 전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사무처장
- 이병태: 전 국방부 장관(제31대)
- 이성윤: 전 플레처 스쿨 교수
- 이성혁: 현 단암시스템즈(주) 대표이사 사장
- 이원우: 전 한경대학교 총장
- 이재관: 전 새한그룹 대표이사 부회장
- 이정훈: 현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장, 전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장
- 이정민: 현 카네기 국제평화재단 선임연구위원, 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전 외교통상부 국제안보대사
- 이창범: 전 한국외교협회 회장
- 임근형: 전 주덴마크 대사, 전 주헝가리 대사
- 조영재: 전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전 주이탈리아 대사
- 최종현: 전 G20 국제협력대사, 전 주이탈리아 대사
- 한비야: 여행가, 작가, 현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전 월드비젼 긴급구호팀장
- 한석희: 현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 허철: 전 외교통상부 평화외교기획단장, 전 외교부 대테러 국제협력대사
- 황용식: 전 주타이베이 대표부 대사, 전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외래교수
외국인(姓 영문 알파벳순)
- Peter Ackerman: 전 비폭력분쟁 국제센터(ICNC) 창립회장, 전 Rockport Capital 대표이사, 미국 외교협회(CFR) 이사
- Shafi U Ahmed: 주영국 방글라데시 대사
- Mimi Alemayehou: 전 미국 해외민간투자공사(OPIC) 부사장, 전 아프리카 개발 은행 이사
- T. Al-Nahayan 술탄: 전 UAE 아부다비 알아인 지역 전권대표
- Joyce Aluoch: 전 국제형사재판소(ICC) 재판관
- Zainah Anwar: 전 이슬람 여성회(Sisters in Islam) 대표, 말레이시아 인권위원회 위원
- Philip K. Asherman: 전 Chicago Bridge & Iron (CB&I) 대표이사·CEO
- Paul Bagatelas: The Carlyle Group 투자자 담당 총괄 이사
- C. Fred Bergsten: 미국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창립 소장
- Barbara Bodine: 전 주예멘 미국 대사, 현 조지타운대학교 외교학부 저명(특훈) 교수
- Matthew Bryza: 전 주아제르바이잔 미국 대사, 전 미국 국무부 유럽·유라시아 담당 부차관보
- Dante Caputo: 전 유엔 총회 의장, 전 아르헨티나 외교부 장관
- Musa Javed Chohan: 전 주캐나다 파키스탄 대사, 전 주프랑스 파키스탄 대사, 전 주유네스코 파키스탄 상주 대표부 대사
- 찰스 덜라라(Charles Dallara): 국제금융협회(Institute of International Finance) 대표이사
- Nathaniel Davis: 전 주스위스 미국 대사, 전 미국 국무부 차관보
- Guy de Muyser: 전 주러시아 룩셈부르크 대사, 전 주북대서양 조약기구(NATO) 룩셈부르크 대표부 대사
- John E. Endicott: 전 우송대학교 총장, 전 조지아 공과대학교 국제학대학 교수, 전 미국 국가전략연구소장(INSS)
- Ermias Sahle Selassie 왕자: 현 에티오피아 황실 평의회(Crown Council of Ethiopia) 의장, 전 Welega kingdom of Leqa Naqamte (에티오피아에 흡수된 왕국) 후계자
- Marsha J. Evans: 전 미국 적십자사 회장
- Pieter C. Feith: 전 유럽연합 코소보 특사, 전 코소보 국제민간대표
- Jeffrey D. Feltman: 전 주레바논 미국 대사, 전 유엔 정무 사무차장
- Jean François-Poncet: 전 프랑스 외교부 장관
- Katrin Fraser: 전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아시아 담당 과장[31]
- Shukri Ghanem: 전 리비아 총리, 전 리비아 석유 장관
- John E. Herbst: 전 주우크라이나 미국 대사
- Robert D. Hormats: 전 미국 국무부 경제성장·에너지·환경담당 차관, 전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사·부대표
- Wolfgang Ischinger: 전 뮌헨 안보회의 의장, 전 주미국 독일 대사
- Ismat Jahan: 현 주EU 이슬람협력기구(OIC) 상주 옵서버, 전 주UN 방글라데시 대사
- 코스타스 카라만리스(Kostas Karamanlis): 전 그리스 총리
- 로버트 킹(Robert R. King): 미국 북한인권 특사
- 류다춘(Liu Daqun): 현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 재판관/부(副)재판소장[32]
- Lui Tuck Yew: 현 주미국 싱가포르 대사, 전 싱가포르 해군 사령관
- 류샤오밍(劉曉明, Liu Xiaoming, 류효명): 전 주북한 중화인민공화국 대사
- Juan Fernando López Aguilar: 현 유럽의회(EP) 의원, 전 스페인 법무부 장관
- Scot Marciel: 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선임 부(副)차관보
- Cynthia McKinney: 미국 하원의원, 2008 녹색당 대선후보
- William T. Monroe: 주바레인 미국 대사
- 대니얼 패트릭 모이니핸(Daniel Patrick Moynihan): 전 미국 상원의원, 전 주UN 미국 대사
- Vartan Oskanian: 전 아르메니아 외무장관
- Frank Pallone: 현 미국 하원의원
- Thomas R. Pickering: 전 보잉 부사장, 전 미국 국무부 차관, 전 주러시아 미국 대사, 전 주UN 미국 대사
- Joseph W. Polisi: 전 줄리아드 스쿨 총장
- 데이비드 레이건(David Reagan): '양과 사자 선교회(Lamb & Lion Ministries)' 설립자, 전 페퍼다인 대학교 국제경영센터 이사
- 빌 리처드슨(Bill Richardson): 전 뉴멕시코주 주지사, 전 주UN 미국 대사,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
- 제러미 리프킨(Jeremy Rifkin): 경제동향 연구재단(FOET) 창립 이사장, 《제3차 산업혁명》, 《엔트로피》저자
- 후안 마누엘 산토스(Juan Manuel Santos Calderón): 전 콜롬비아 대통령
- Surakiart Sathirathai: 전 태국 부총리, 전 외무장관, 전 재무장관
- Antoinette Sayeh: 전 IMF 부총재, 전 라이베리아 재무부 장관
- Klaus Scharioth: 주미국 독일 대사
- Stephen Shank: 카펠라 대학교(Capella University) 창립자, 전 통카(Tonka Corporation) CEO
- Charles Sitter: 전 Exxon Corporation 사장
- James Soon: 전 싱가포르 해군대장
- James Stavridis: 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
- Elin Suleymanov: 현 주영국 아제르바이잔 대사, 전 주미국 아제르바이잔 대사
- 수미 테리(Sue Mi Terry): 전 미국 외교협회(CFR) 선임연구원
- Shashi Tharoor: 현 인도 의회 외교위원장, 전 유엔 사무차장, 전 유엔 사무총장 후보(반기문 총장에 이어 2위)
- G. Richard Thoman: 전 제록스 CEO
- David Welch: 전 미국 국무부 차관보
- Hassan Wirajuda: 전 인도네시아 외무장관
- Peter Woolcott: 전 호주 연방 인사위원장(APSC), 전 주뉴질랜드 호주 대사
- Walter B. Wriston: 전 시티그룹 회장·CEO
- Wu Teh Yao: 전 난양대학교 부총장 대리, 전 싱가포르 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 Philip D. Zelikow: 전 미국 국무부 고문, 전 9/11 위원회 사무국장
Remove ads
주요 교수진(姓 영문 알파벳순)
- Antonia Handler Chayes: 전 국제정치학 및 법학 교수, 전 하버드 로스쿨 및 하버드 케네디스쿨 교수
- Michael J. Glennon: 국제법학 교수, 전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법률 고문
- Leo Gross: 전 국제법학 교수, 전 국제연맹 국제지적협력기구(International Institute of Intellectual Cooperation, IIIC) 국장[33]
- Robert Hudec: 전 국제통상법 교수[34]
- Ayesha Jalal: 역사학 교수, 남아시아·인도센터 이사
- David Kennedy: 국제법·국제학 교수, 전 UN 및 EU집행위 자문단, 현 하버드 로스쿨 교수, 플레처 스쿨 교환 교수[35]
- Michael Klein: 국제경제학 교수, 전 미국 재무부 수석 경제학자[36]
- 이성윤: 전 국제정치학 교수, 전 하버드 한국학 연구소 Kim Koo Forum 의장
- Lisa Lynch: 경제학 교수, 전 브랜다이스 대학교 부총장, 전 미국 노동부 수석 경제학자[37]
- William Moomaw: 국제환경정책학 명예교수, 200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소속 과학자
- Vali Nasr: 국제정치학 교수, 전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SAIS) 원장, 현 동 대학원 교수
- John Curtis Perry: 전 역사학 교수, 전 한국 외교통상부 컨설턴트
- Roscoe Pound: 전 국제법학 교수(당시 하버드 로스쿨 학장으로서 1933년 플레처 스쿨 설립에 기여)[38]
- Paul Samuelson: 전 국제경제학 교수, 1970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 Julius Stone: 전 국제법학 교수, 전 UC Law SF (당시 University of California, Hastings College of the Law) 교수
- Joel Trachtman: 국제법학 명예교수, 전 OECD·UNCTAD·APEC 컨설턴트, 전 Shearman & Sterling 로펌 변호사[39]
역대 학장
- Halford Lancaster Hoskins (1933-1944)
- Ruhl Jacob Bartlett (1944-1945)
- Robert Burgess Stewart (1945-1964)
- Edmund Asbury Gullion (1964-1978)
- John P. Roche (1978-1979)
- Theodore Lyman Eliot, Jr. (1979-1985)
- John P. Roche (1985-1986)
- Jeswald Salacuse (1986-1994): 전 플레처 스쿨 국제법 교수
- Richard B. Mancke (1994-1995)
- John Galvin (1995-2000): 전 유럽사령부 총사령관, 전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
- Joel P. Trachtman (2000-2001): 현 플레처 스쿨 국제법 명예교수
- Stephen W. Bosworth (2001-2013): 전 주한 미국 대사, 전 미국 북한정책 특별대표
- James Stavridis (2013~2019): 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
- Rachel Kyte (2019~2023): 전 UN사무총장의 지속가능에너지 담당 특사, 전 세계은행 부총재, 현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
- Kelly Sims Gallagher (2024-현재): 플레처 스쿨 에너지·환경정책학 교수
Remove ads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