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벼룩시장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한민국의 생활정보신문에 대해서는 벼룩시장 (신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생활정보신문에 대해서는 벼룩시장 (신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벼룩시장(영어: flea market)은 중고품, 골동품, 빈티지 의류, 잡화 등 다양한 물건을 개인이 직접 판매하거나 교환하는 시장이다.[1] 주로 야외에 임시로 개설되며, 저렴한 가격에 독특하거나 희귀한 물건을 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단순한 상거래를 넘어 자원 재활용, 순환 경제에 기여하고 지역 공동체의 교류의 장이 되는 문화적 기능도 수행한다.

어원
벼룩시장이라는 용어는 프랑스 파리의 유명한 생투앙 벼룩시장(Marché aux puces de Saint-Ouen, 벼룩들의 시장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19세기 말, 파리 시 당국이 도시 정비를 위해 헌 옷이나 낡은 물건을 파는 노점상들을 도시 외곽으로 쫓아냈다. 이들이 모여 새로운 시장을 형성한 곳이 생투앙 지역이었는데, 당시 거래되던 오래된 가구나 의류 등에 벼룩(fr: puces)이 들끓을 정도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다고 해서 벼룩이 끓는 시장이라는 다소 경멸적인 별칭이 붙었다는 것이다.[2][3]
이 프랑스어 명칭인 마르셰 오 퓌스가 영어 flea market으로 직역되었고, 다시 이 영어 단어가 한국어로 벼룩시장이라고 번역되어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징
벼룩시장은 일반적인 소매점이나 백화점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들을 가진다.
Remove ads
유형 및 현대적 발전
전통적 벼룩시장
가장 고전적인 형태로, 주로 야외 공터나 공원, 주차장 등에서 정기적(주말, 월 1회 등)으로 열린다. 누구나 자신의 중고 물품을 가져와 판매할 수 있으며, 골동품 상인이나 전문 수집가들도 참여한다.
프리마켓과 플리마켓
대한민국에서는 벼룩시장이라는 용어 외에 프리마켓과 플리마켓이라는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된다.
온라인 벼룩시장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벼룩시장의 기능이 온라인 플랫폼으로 확장되었다. 대한민국의 당근, 중고나라, 번개장터와 같은 개인 간 거래(C2C) 플랫폼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중고 물품을 거래할 수 있는 디지털 벼룩시장의 역할을 수행하며 급격히 성장하였다.
전문 벼룩시장
특정 품목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벼룩시장도 있다. 예를 들어, LP판이나 오디오 기기만을 전문으로 하는 시장, 자동차 트렁크에 물건을 싣고 와서 파는 카부트 세일, 또는 가정에서 안 쓰는 물건을 마당에 내놓고 파는 차고 세일 등이 이에 해당한다.
세계의 유명한 벼룩시장
- 생투앙 벼룩시장(프랑스 파리): 벼룩시장의 어원이 된 곳으로,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벼룩시장 중 하나이다. 약 15개의 세분된 시장이 모여 거대한 복합 시장을 이루고 있으며, 고급 골동품부터 빈티지 의류까지 모든 것을 찾을 수 있다.[6]
- 포르토벨로 마켓(영국 런던): 노팅힐 지역에 위치한 유명한 시장. 특히 토요일에 열리는 골동품 시장이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다.[7]
- 로즈볼 플리마켓(미국 로스앤젤레스): 매달 둘째 주 일요일에 로즈볼 경기장에서 열리는 미국 서부 최대 규모의 벼룩시장이다. 2,500개가 넘는 상인들이 참여하며 빈티지 의류, 가구, 수집품 등 방대한 양의 물건이 거래된다.[8]
- 마우어파르크 벼룩시장(독일 베를린): 베를린 장벽이 있던 자리에 조성된 공원에서 매주 일요일 열린다. 빈티지 물품과 수공예품 판매는 물론, 야외 가라오케 공연 등으로도 유명한 복합 문화 공간이다.
- 엘 라스트로(스페인 마드리드): 매주 일요일과 공휴일 오전에 열리는 유럽 최대 규모의 노천 벼룩시장 중 하나로, 수백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Remove ads
대한민국의 주요 벼룩시장
- 황학동 벼룩시장: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 만물시장이라는 별명처럼 온갖 종류의 중고품과 골동품을 취급한다. 6.25 전쟁 직후 도시 빈민들이 고물을 팔면서 형성된 역사가 깊은 곳이다.[9] 특히 전자제품, 기계 부품, 주방용품 등이 유명하다.
- 동묘 벼룩시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묘 주변에 형성된 시장. 황학동 벼룩시장의 일부였으나 현재는 독립된 상권으로 인식된다. 특히 저렴한 구제 의류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어, 빈티지 패션을 찾는 젊은 층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10][11]
- 서울풍물시장: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설동에 위치. 본래 청계천 복원 사업으로 인해 밀려난 황학동 노점상들을 위해 2008년 동대문운동장에 임시로 개설되었다가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다.[12] 전통 공예품, 생활 잡화, 관광 상품 등이 구역별로 잘 정돈되어 있다.
- 서초 토요벼룩시장: 서울특별시 서초구에서 매주 토요일 열리는 대규모 시민 참여형 벼룩시장이다. 주민들이 직접 가져온 중고 물품을 판매하며, 자원 재활용과 나눔의 장으로 기능한다.
- 부산 국제시장 및 깡통시장: 부산광역시 중구에 위치. 6.25 전쟁 이후 형성된 역사 깊은 시장으로, 국제시장의 일부 구역과 부평깡통시장 등에서는 구제 의류, 수입 잡화, 빈티지 물품 등을 취급하여 벼룩시장의 모습을 띠고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