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피에르 뒤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피에르 뒤엠
Remove ads

피에르 모리스 마리 뒤엠(Pierre Maurice Marie Duhem, 1861년 6월 9일 ~ 1916년 9월 14일)은 열역학, 유체역학탄성 이론에 상당한 공헌을 한 프랑스의 이론 물리학자이다. 그는 과학 역사가로서도 다작을 하였는데 유럽 중세에 대한 선구적인 작업으로 특히 유명하다.[1] 과학 철학자로서 뒤엠은 실험 기준의 불확정성에 대한 "뒤엠-콰인 논제"의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실증주의에 대한 그의 반대는 그의 전통적인 가톨릭교에서 일부 비롯되었는데, 그의 이러한 관점때문에 평생동안 프랑스의 지배적 학계 흐름과 대립하였다.

간략 정보 출생, 사망 ...
Remove ads

초기 생애와 교육

피에르 뒤엠은 1861년 6월 10일 파리에서 플랑드르 출신의 피에르-조제프 뒤엠과 랑그독 출신의 마리 알렉산드린(결혼전 성은 파브르이다)의 아들로 태어났다. 부친은 섬유 산업에서 영업 담당자로 일하여 가족은 몽마르트르 바로 남쪽의 뤼 데 죄뇌르(Rue des Jeûneurs)에 있는 검소한 동네에 살았다.[1] 그의 가족은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으며 가정의 보수적인 관점은 뒤엠이 종교의 거부에서 비롯된 무정부 상태의 표현으로 여겼던 1871년 파리 코뮌을 직접 경험한 것으로 영향을 받았다.[1]

젊은 피에르는 콜레주 스타니슬라스에서 중등 교육을 마쳤는데, 이곳에서 물리 과학에 대한 그의 관심은 이론 물리학자로 열역학에 영향력 있는 교과서의 저자이며 그의 교사인 쥘 무티에로부터 격려를 받았다. 피에르는 1882년 명문인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ENS)에 동급생 중 1등으로 입학했다.[1] ENS에서 1884년 수학과 물리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1885년 물리 과학에서 아그레가시옹을 취득했다.[1]

뒤엠은 전기화학 전지의 이론 분야에서의 열역학적 퍼텐셜 활용에 관한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했는데, 이 논문에서는 마르셀랭 베르텔로에 의하여 제시된 "최대 일의 원리"를 명백히 공격했다. 심사위원들은 뒤엠의 논문을 통과시키지 않았고, 바르텔로와의 견해 차이로 인해서 이후로 뒤엠의 학문적 경력은 지장을 받았다. 과학적 견해 차이 외에도 뒤엠은 보수적인 가톨릭 신자이자 왕당파였지만,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던 바르텔로는 반교권적 공화주의자였다.[1] 뒤엠은 1888년 자화 동역학 이론에 관한 새로운 논문으로 마침내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론 물리학자로서, 나중에는 과학사학자이자 과학철학자로서 많은 업적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뒤엠은 자신이 원했던 파리에서의 교수직을 얻지 못했다. 그는 먼저 릴 대학교 (1887~1893)에서 근무했고, 렌 대학교 (1893~1894)에서 잠시 일하다가 마지막으로 보르도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며 여생동안 이곳에서 활동했다.

Remove ads

이론 물리학

과학자들 사이에서 뒤엠은 오늘날의 화학 열역학, 특히 깁스-뒤엠 방정식뒤엠-마르굴레스 방정식에 대한 연구로 가장 유명하다. 그의 접근 방식은 조사이아 윌러드 깁스에 의한 초기 연구로부터 영향을 크게 받았고 뒤엠은 이를 프랑스 과학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홍보했다. 그는 연속체 역학에서 현재 클라우지우스-뒤엠 부등식으로 불리는 식에 대한 공헌으로도 기억되고 있다.

뒤엠은 에너지론의 지지자로, 기계, 전자기학, 화학을 포함한 모든 물리적 현상이 열역학 원리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 윌리엄 랭킨의 "에너지학 과학 개요"(Outlines of the Science of Energetics)의 영향을 받아 뒤엠은 그의 저서 Traité de l'Énergétique (1911)에서 이 지적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으나, 전자기 현상을 열역학의 기본 원리로 환원시키는데는 궁극적으로 실패했다.

뒤엠은 원자 개념의 물리적 실체와 유용성에 대하여 에른스트 마흐의 회의론을 공유했다. 따라서 그는 많은 원자로 구성된 기계적 시스템의 통계적 속성에 따라 열역학 법칙을 설명한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루트비히 볼츠만, 조사이어 깁스통계 역학을 추종하지 않았다.

뒤엠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상대성 이론에 반대했다.[2] 1914년 뒤엠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의하여 "물리학은 그 논리가 길을 잃고 상식이 겁에 질려 도망치는 진정한 혼돈이 되어버렸다"고 논평했다.[3][4][5] 1915년 그의 저서《알레망드 과학》(La Science Allemande)에서 상대성 이론에 강력히 반대했다.[4] 뒤엠은 상대성 이론이 "공간, 시간, 운동에 대해 이야기했던 모든 이론, 모든 역학 및 물리학 이론을 전복한다"고 말했다.[6]

Remove ads

과학사

Thumb
저명한 중세 학자 니콜 오렘 . 뒤엠은 중세 스콜라 전통을 근대 과학의 기원으로 간주하게 되었다.

뒤엠은 과학사 연구로도 유명하며, 그 결과 10권으로 구성된 《세계 체계: 플라톤에서 코페르니쿠스까지의 우주론적 교리의 역사》(Le système du monde: histoire des doctrines cosmologiques de Platon à Copernic)가 탄생했다.[7] 전통주의 가톨릭 신자인 뒤엠은 중세 유럽계몽시대로 보는 개념을 지적으로 황무한 것으로 거부했다. 대신에 그는 중세 교회가 서양 과학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노력했다. 중세 과학사가로서 뒤엠의 연구는 정역학의 기원에 대한 연구로 시작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존 뷰리던, 니콜 오렘, 로저 베이컨과 같은 중세 수학자 및 철학자의 작품을 접하게 되었다. 뒤엠은 이들에게서 현대 과학의 진정한 창시자들을 보게 되어, 이들이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그 후 초기 근대 과학자들의 많은 발견을 이미 예견했다고 생각했다. 뒤엠은 "현대가 정당하게 자랑스러워하는 역학과 물리학"이 "중세 학파의 핵심에서 공언된 교리를 바탕으로 거의 눈에 띄지 않게 끊임없이 발전해 왔다"고 주장했다.[8]

뒤엠은 "현상의 보존" (σῴζειν τὰ φαινόμενα, sozein ta phainomena,[9] 이는 "물리적 설명의 제공"에 대비 되는 개념이다)이라는 개념을 현대 과학철학에 재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코페르니쿠스 혁명 당시의 "현상의 보존"에 대한 논쟁 외에도 고전 천문학의 주전원과 이심원에 관하여 아래와 같은 글을 쓴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고방식에서 동기를 얻었다.

 

이성은 요점을 확립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첫째, 어떤 원리에 대한 충분한 증명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 이성은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된다. 원리에 대한 충분한 증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이미 확립된 원리를 확인하고 그 결과의 일치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천문학에서 이심원과 주전원 이론은 천체 운동의 감각적 현상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확립된 것으로 간주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이 증명만으로 충분한 것은 아니다. 다른 이론으로 설명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10]

과학철학

요약
관점

물리학 이론은 설명이 아니고, 소수의 원리에서 도출된 수학적 명제들의 체계이며, 그 목적은 일련의 실험 법칙들을 가능한 한 간단하고, 완전하고,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다.[11][12]

The Aim and Structure of Physical Theory, vol 13, p. 19

과학 철학에서 뒤엠은 가설이 실험으로 직접적으로 반박될 수 없고 과학에는 결정적 실험이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가장 유명하다. 뒤엠은 자신의 논제를 "예측된 현상이 생성되지 않는다면, 의문시되는 명제뿐만 아니라 물리학자가 사용하는 이론적 틀 전체도 의심스러워진다"고 공식화했다.[13] 뒤엠의 과학 철학에 대한 견해는 1906년의 저서《물리 이론의 목적과 구조》에 설명되어 있다.[14] 그는 여기서 프린키피아만유인력 법칙케플러의 제2법칙과 제3법칙을 포함하는 '현상'에서 추론 되었다는 뉴턴의 주장에 반대했다. 이와 관련된 뉴턴의 주장은 이미 독일 논리학자 라이프니츠의 비판적 증명 분석에 의해 공격을 받았고, 그 다음에는 귀납에 대한 논리적 비판에 이어 임마누엘 칸트에 의하여 가장 유명하게 공격을 받았다. 그러나 뒤엠의 연구의 참신함은 뉴턴의 보편적 상호 중력 이론은 행성 간 상호 중력 섭동으로 인해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과 완전히 모순 된다는 주장에 있었다. 뒤엠에 따르면 어떤 우연적 명제도 모순되는 명제로부터 타당하게 논리적으로 추론될 수 없기 때문에, 뉴턴은 그의 중력 법칙을 곧바로 케플러의 법칙으로부터 논리적으로 추론하지 않았음에 틀림없다.[14][15][16][17]

영국 귀납주의 전통에 대한 반대

뒤엠은 물리학이, 다른 과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정한 방법론적 한계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뒤엠은 그의《물리 이론의 목적과 구조》(1906)에서 베이컨의 "중요한 실험" 개념을 비판했다.[14] 이 비판에 따르면 물리학에서의 실험은 단순한 관찰이 아니라 이론적 틀을 통해 관찰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아무리 실험을 잘 구성하더라도 고립된 단일 가설을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오히려 가설, 배경 가정, 이론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된 전체 집단이 검증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확증 전체론 (confirmation holism)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뒤엠에 따르면 이러한 불가피한 전체론은 결정적 실험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뒤엠은 더욱 일반적으로, 뉴턴이 물리학의 방법을 사실과 관찰로부터의 직접적인 "연역"으로 설명한 점을 비판했다.

과학과 신앙의 철학

뒤엠은 《목적과 구조》의 부록인 "신자의 물리학"에서 물리학과 종교 사이의 갈등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과학 철학이 갖는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 그는 "형이상학적 교리와 종교적 교리는 객관적 실재에 대한 판단인 반면, 물리 이론의 원리는 모든 객관적 존재를 벗어난 특정 수학적 기호에 대한 상대적인 명제이다. 이 두 종류의 판단은 공통된 용어가 없기 때문에 서로 모순되거나 일치될 수 없다"(p. 285) 그럼에도 불구하고 뒤엠은 신학자나 형이상학자가 물리 이론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갖는 것이 과학적 이론을 억측에 부당하게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뒤엠의 과학 철학은 동시대인 아벨 레이로부터 비판을 받았는데, 레이는 뒤엠의 가톨릭 신앙이 영향을 미쳤다고 여겼기 때문이다.[18] 뒤엠은 실제로 신자로 신실하고도 열렬한 가톨릭 신자였지만 물리학과 화학 분야에서 자신의 저작들은 종교와 관계없이 그 자체의 가치에 따라 평가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저작들은 "가톨릭 과학"의 사례도 아니었고, 그의 가톨릭 신앙의 영향을 받은 것도 아니었다.[19] [20]

Remove ads

명예와 죽음

뒤엠은 1900년 폴란드 크라쿠프야기엘로니안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그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명예회원(corresponding member)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913년에 명예 비상주 회원(titular non-resident member)으로 승급했다. 말년에는 파리의 명문 콜레주 드 프랑스의 과학사 학과장으로 추천받았지만 딸에게 보낸 편지에서 "저는 이론 물리학자입니다. 파리에서 이론 물리학을 가르치지 않는다면 그곳에 가지 않겠습니다."라고 설명하면서 학과장으로 검토되는 것을 거부했다. 1916년 오드(Aude) 남부 지역의 카르카손 시 인근의 작은 카브레스핀 마을에 있는 외할아버지 집에 머물던 중 급성 협심증 발작을 앓은 후 55세라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갑자기 사망했다.

Remove ads

저작

요약
관점

서적


논문

NUMDAM의 Duhem의 수학 논문


영어 번역본

Remove ads

서적

요약
관점
  • Duhem, Pierre (1903). Thermodynamics and Chemistry. A Non-mathematical Treatise for Chemists and Students of Chemistry. 1판. New York; London: J. Wiley & Sons; Chapman & Hall. OCLC 3383130. 2011년 8월 31일에 확인함.
  • Duhem, Pierre (1991b) [Originally published 1906]. The Aim and Structure of Physical Theory 2판.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Excerpts: excerpt 1, & excerpt 2 "Heavenly bodies: Theory, physics and philosophy"
  • "Physical Theory and Experiment," in Herbert Feigl & May Brodbeck (ed.), Reading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Inc., 1953, pp. 235–252.
  • Duhem, Pierre (1969). To Save the Phenomena, an Essay on the Idea of Physical Theory from Plato to Galileo.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CLC 681213472. (excerpt)
  • Duhem, Pierre (1985). Medieval Cosmology: Theories of Infinity, Place, Time, Void, and the Plurality of World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16922-4. OCLC 712044683. (excerpt: "The 12th century birth of the notion of mass which advised modern mechanics ... and void and movement in the void")
  • Duhem, Pierre (1988). The Physicist as Artist: The Landscapes of Pierre Duhem. Edinburgh: Scottish Academic Press. ISBN 0707305349ISBN 0707305349
  • Duhem, Pierre (1990). "Logical Examination of Physical Theory," Synthese, Vol. 83, No. 2, pp. 183–188.
  • Duhem, Pierre (1990). "Research on the History of Physical Theories," Synthese, Vol. 83, No. 2, pp. 189–200.
  • Duhem, Pierre (1991). German Science. La Salle, Ill.: Open Court. ISBN 0812691245ISBN 0812691245
  • Duhem, Pierre (1991c). The Origins of Statics The Sources of Physical Theory. Boston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123.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doi:10.1007/978-94-011-3730-0. ISBN 9789401137300.
  • Duhem, Pierre (1996). Essays i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dianapolis: Hackett Pub. Co. ISBN 978-0-87220-308-2. OCLC 33968944.
  • Duhem, Pierre (2011). Commentary on the Principles of Thermodynamics by Pierre Duhem. Dordrecht; New York: Springer. ISBN 978-94-007-0311-7. OCLC 733543752. 2013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Duhem, Pierre Maurice Marie (2015). The Electric Theories of J. Clerk Maxwell. Alan Aversa (trans.). Boston Studies in the Philosophy and History of Science 314. Cha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doi:10.1007/978-3-319-18515-6. ISBN 978-3-319-18515-6. 2015년 7월 8일에 확인함.
  • Duhem, Pierre Maurice Marie (2018년 6월 29일). Galileo's Precursors: Translation of Studies on Leonardo da Vinci (vol. 3). Alan Aversa (trans.). doi:10.13140/RG.2.2.23235.71201/1. 2019년 7월 3일에 확인함.
  • Duhem, Pierre Maurice Marie (2018년 9월 9일). Ampère's Force Law: A Modern Introduction. Alan Aversa (trans.). doi:10.13140/RG.2.2.31100.03206/1. 2019년 7월 3일에 확인함. (EPUB)

논문


1912년《가톨릭 백과사전》에 기고된 기사

위의 참고문헌 목록은 그의 저작중 일부이다.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의 Duhem 항목 에서 그의 전체 1차 자료2차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문헌

출처

추가 읽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