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핀슬러 다양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미분기하학에서 핀슬러 다양체(영어: Finsler manifold)는 리만 다양체의 일반화이다. 각 접공간 위에 양의 정부호 대칭 쌍선형 형식이 주어진 리만 다양체와 달리, 대신 (일반화) 노름이 주어진다.
정의
요약
관점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접다발 위의 핀슬러 함수(영어: Finsler function)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핀슬러 함수를 갖춘 매끄러운 다양체 를 핀슬러 다양체라고 한다.
만약 핀슬러 다양체 에 대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라면 이를 가역 핀슬러 다양체(영어: reversible Finsler manifold)라고 한다. 가역 핀슬러 함수는 다양체의 각 접공간 위에 노름을 정의한다.
거리와 측지선
핀슬러 다양체 위의 매끄러운 곡선 의 길이(영어: length)는 다음과 같다.
곡선의 길이는 매개변수화에 대하여 불변이다. 즉, 임의의 미분 동형 에 대하여, 이다.
임의의 두 점 사이의 거리(영어: distance) 는 두 점 사이를 잇는 곡선들의 길이들의 하한이다.
그렇다면, 는 길이 거리 공간을 이룬다. 따라서, 측지선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측지선은 다음과 같은 에너지 범함수에 대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만족시킨다.
기본 텐서
핀슬러 다양체 가 주어졌을 때, 의 접공간 방향의 헤세 행렬은 위에 다음과 같은 대칭 (0,2)-텐서 를 이루며, 이를 기본 텐서(영어: fundamental tensor)라고 한다.
이는 접공간 방향에서 무게 0으로 동차이므로, 이는 사실 사영 접다발
위에 정의된다. 반대로, 동차 함수에 대한 오일러 정리에 따라서
가 된다. 즉, 기본 텐서로부터 핀슬러 구조 전체를 재구성할 수 있다.
기본 형식이 위에서 양의 정부호라면, 를 강하게 볼록 핀슬러 다양체(영어: strongly convex Finsler manifold)라고 한다. 일부 문헌에서는 핀슬러 다양체의 정의에 강한 볼록성 조건을 추가하기도 한다.
힐베르트 형식
핀슬러 다양체 의 사영 접다발 위에 다음과 같은 힐베르트 형식(영어: Hilbert form)이라는 1차 미분 형식을 정의할 수 있다.
Remove ads
예
요약
관점
모든 리만 다양체 는 다음과 같은 핀슬러 함수로 자연스럽게 핀슬러 다양체를 이룬다.
반대로, 리만 계량을 핀슬러 함수로부터 재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핀슬러 다양체는 리만 다양체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란데르스 다양체
리만 다양체 위에 1차 미분 형식 이 주어졌으며, 또한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함수는 핀슬러 함수를 이룬다.
이러한 꼴의 핀슬러 다양체를 란데르스 다양체(영어: Randers manifold)라고 한다. 이는 노르웨이의 군나르 란데르스(노르웨이어: Gunnar Randers)가 도입하였다.[1]
복소다양체 위의 계량
복소다양체 위의 카라테오도리 계량과 고바야시 계량은 (만약 매끄럽다면) 핀슬러 계량을 이룬다.
Remove ads
역사
독일의 수학자 파울 핀슬러(독일어: Paul Finsler, 1894~1970)가 1918년 박사 학위 논문에서 연구하였다.[2] 이후 1933년에 엘리 카르탕이 "핀슬러 공간"(프랑스어: espace de Finsler)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였다.[3]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