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하기도감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하기도감염(下氣道感染,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LRTI)은 폐렴의 동의어로 자주 쓰이나, 폐농양, 급성 기관지염 등 다른 질병들에도 적용될 수 있는 용어이다. 하부호흡기감염증이라 부르기도 한다. 호흡곤란, 허약, 발열, 기침, 피로 등이 증상으로 나타난다.[3] 증상이 의심되는 사람들에게 일반적으로 흉부 X-ray를 찍어볼 수 있으나,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다.[4]인플루엔자는 상기도감염증뿐만 아니라 하기도감염증도 야기할 수 있다.
폐렴에 대한 일차적 치료법은 항생제이나, 만일 기생충이나 바이러스 감염이라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급성 기관지염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낫는다.2015년에는 약 2억 9100만 명이 감염되어[1] 274만명이 사망했는데, 이는 1990년의 사망자수인 340만 명보다 줄어든 것이다.[2][5] 2013년 전체 사망자 비율에 4.8%에 해당한다.[5]
Remove ads
기관지염
기관지염은 기관지가 붓거나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6] 증상에 따라 급성 또는 만성 질환으로 묘사되며, 추가로 원인 물질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급성 기관지염은 재발성 질병에 감염된 이력이 없는 환자에게서 나타날 경우, 급성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분류된다.[7] 매년 성인 1000명당 40명 이상이 감염되어 주요 기관지 및 기관에 일시적인 염증을 나타낸다.[8] 면역약화 환자에서 발생한 경우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어서 항생제 치료법이 잘 들지 않을 수 있다.[6][9] 이러한 바이러스성 기관지염은 감염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에 따라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할 수 있으며, 기타 항염증제나 거담제 등의 약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6][10] 흔히 항생제로 급성 기관지염을 치료하나, 부작용을 조금 줄이는 반면 자가치료가 가능한 상태에서 괜히 돈을 들여 내성만 얻는 행위라는 비판이 있다. 급성 기관지염으로 인한 기침을 완화하는데 베타-2 작용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체계적 문헌검토를 수행한 결과, 이러한 약제의 처방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6]
Remove ads
폐렴
폐렴은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며, 각 상황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10] 감염이 발생한 장소에 따라 획득한 지역사회 감염 또는 원내감염으로 분류한다. 노인이나 면역약화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11][12]

24-120
121-151
152-200
201-241
242-345
346-436
437-673
674-864
865-1,209
1,210-2,085

자료 없음
100 미만
100–700
700–1,400
1,400–2,100
2,100–2,800
2,800–3,500
3,500–4,200
4,200–4,900
4,900–5,600
5,600–6,300
6,300–7,000
7,000 초과
Remove ads
예방
백신 접종을 통해 기관지 폐렴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인플루엔자 백신, 아데노바이러스 백신, 홍역 백신, 풍진 백신, 폐렴구균 백신,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 디프테리아 백신, 탄저 백신, 수두 백신, 백일해 백신 등이 이에 해당한다.[14] 특히 혈청 레티놀 함량이 낮거나 영양실조로 고통받고 있는 소아의 경우 급성 LRTI에 대한 예방책으로 비타민A 보충제를 투여하면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다.[15]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