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형 위성 항법시스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한국형 위성 항법시스템
Remove ads

한국형 위성 항법 시스템(韓國型衛星航法시스템, 영어: Korean Positioning System, KPS)은 대한민국이 개발중인 위성항법 시스템이다.

Thumb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 개념도

역사

대한민국 정부는 한반도 인근 지역에 초정밀 PNT(위치∙항법∙시각) 정보를 제공해 교통, 통신 인프라 운영의 안정성을 높이고 신산업을 육성하겠다는 목표로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계획을 추진하였으며, 2021년 6월 9일에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열린 제19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KPS 추진안이 담긴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 계획 수정안〉이 심의∙확정되었다.[1]

2022년 KPS 사업에 본격 착수하였다. 오는 2035년까지 3조 7,234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1] 2024년 10월,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KPS 예비설계검토회의(PDR)에서 위성 개발 계획을 일부 늦추기로 하였다.

개발

우주청과 항우연은 2034년 KPS 시범서비스 착수, 2035년 본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KPS를 개발 중에 있다.[1]

우주항공청과 항우연은 2035년까지 KPS를 구축하기 위하여 항법신호 방송용 경사궤도위성 5기와 정지궤도위성 3기 등 총 8개의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KPS용 위성은 단순한 통신 위성이 아니라 항법 시스템을 탑재해야 한다.[1]

KPS를 구성할 위성 8기 중 1기가 2027년 우주로 올라갈 계획이다.[1]

효과

미국 GPS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탈피해 교통통신, 금융, 국방, 농업, 재난 대응 등 경제사회 전반에 활용될 독자적 위성항법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이 완성되면 한반도 인근의 위치 정보 정확도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2]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