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리만 곡면이라고 하고,
가 인자류
에 대응하는 해석적 선다발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다. 따라서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는

이다. 복소1차원에서, 오일러 특성류는
이므로,
는
의 오일러 지표

이다. 여기서
는
의 종수(genus)다. 또한,

이다. 또한,

이고, 세르 쌍대성에 의하여

(
는 표준 선다발의 인자)이므로, 리만-로흐 정리

를 얻는다.
오일러 지표
복소수
차원 콤팩트 켈러 다양체
의 경우, 오일러 지표는 돌보 코호몰로지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다. 여기서
는 호지 수이며,
은
의 복소수 공변접다발이다.
분할 원리(영어: splitting principle)에 따라,
을 구성하는 복소수 선다발들의 1차 천 특성류가

라고 하자. 즉, 공변접다발을 구성하는 복소수 선다발들의 1차 천 특성류는
이다. 그렇다면,

의 천 지표는 다음과 같다.

즉,

이다. 따라서,
의 오일러 지표는 히르체브루흐-리만-로흐 정리를 통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즉,
의 최고차 천 수이다. 복소다양체의 경우 최고차 천 특성류는 오일러 특성류와 같으므로, 이는 오일러 지표를 올바르게 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