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가 복소수 자리라면 (
),
는 자명한 확대이므로, 그 갈루아 군
은 자명군이며, 따라서
이다.
임의의 대수적 수체
의 자리
에 대하여, 힐베르트 기호는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킨다.[1]:195, Proposition II.7.1.1[2]:334, Proposition V.3.2





유리수체의 국소 힐베르트 기호
실수체에서는

이다.
2진수체에서,
와
가 정수이고



라면,

이다.
홀수 소수
에 대한
진수체에서,
와
가 정수이고



라면,

이다. 여기서
는 르장드르 기호이다.
힐베르트 상호 법칙
힐베르트 상호 법칙(Hilbert相互法則, 영어: Hilbert reciprocity law)에 따르면, 임의의 대수적 수체
의 두 원소
에 대하여,
인 자리
의 수는 유한하며, 또한

이다.[1]:201, §I.7.3.1[2]:414, Theorem VI.8.1 여기서
는 모든 자리에 대한 곱이다.
힐베르트 상호 법칙은 이차 상호 법칙을 일반화한다. 만약
와
가 서로 다른 양의 홀수 소수라면, 유리수체의 국소 힐베르트 기호들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