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줄임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줄임표(줄임標, 영어: ellipsis)는 종종 문장에서 할 말을 줄이고 싶을 때, 말이 없음을 나타내고 싶을 때,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하고 싶을 때, 머뭇거림을 표현하고 싶을 때 쓰는 문장 부호이다.[1] 속칭으로 점점점(點點點, 영어: dot-dot-dot)으로도 널리 불린다.

간략 정보 …, 줄임표 ...
간략 정보 문장 부호, 일반 타이포그래피 ...
Remove ads

한국어

한국어에서 줄임표를 쓸 때 가운데에 점을 여섯 개 찍는 것이 과거 맞춤법 규정이였는데, 규정과 현실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2015년 1월 1일부터 가운데 세 점, 아래 여섯 점, 아래 세 점을 찍는 것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2] 줄임표는 앞말에 붙여 써야한다. 다만,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하기 위해 썼을 때는 앞뒤를 모두 띄어쓴다.[1]

수학

요약
관점

줄임표는 수학에서도 사용하는데 ‘그 다음은’을 뜻한다. 목록으로 나타낼 때 다음과 같이 반점 사이에 줄임표를 사용한다.

연산자로 값을 연산할 때 두 연산자 사이에 말줄임표를 넣으면 그 값을 계속하게 한다.

문자 형식은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의 합을 뜻한다. 하지만 수학 기호로 형식을 정의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점은 패턴이 명확할 때 사용해야 하지만 무리수에서 수를 생략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가끔 형식 완전성을 보여줄 때도 유용하다.

다른 예는 코사인 함수의 을 설정한다.

표기법 설정에서 많은 관련된 줄임표의 사용이 있다.

크기-n 행렬 식별자와 같이 행렬에서도 사용한다.

Remove ads

유니코드

자세한 정보 명칭, 문자 ...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