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1992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9월 25일부터 10월 14일까지 열렸다.
준플레이오프
삼성과 롯데가 2년 연속으로 준플레이오프에서 대결했는데 삼성 김성근 감독은 부임 첫 해인 전년도에 지나친 스파르타식 강훈련으로 인해 대부분 부상선수가 속출하여 3위로 추락한 데다[1] 1992년에는 4위로 떨어져 준플레이오프 2패로 탈락하여 임기를 1년이나 남겨두고 불명예 퇴진을 당했다.
1차전
2차전
- 9월 26일 -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 중계: KBS 1TV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롯데 자이언츠 | 0 | 1 | 0 | 1 | 0 | 1 | 0 | 1 | 0 | 4 | 9 | 1 | |||||||||||||
삼성 라이온즈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5 | 0 | |||||||||||||
승리 투수: 박동희 패전 투수: 김상엽 홈런: 롯데 – 박계원(4회 1점), 한영준(6회 1점) |
플레이오프
롯데와 해태의 포스트시즌 첫 맞대결이었는데 5차전은 플레이오프 사상 최초로 지방 팀끼리 열린 잠실경기였으며 해태는 에이스 선동열의 공백 탓인지[2] 1승 1패 후 3차전 승리로 앞서나갔으나 4차전부터 2연패했다.
1차전
- 9월 28일 -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 중계: KBS 1TV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R | H | E | ||||||||||||
---|---|---|---|---|---|---|---|---|---|---|---|---|---|---|---|---|---|---|---|---|---|---|---|---|---|
롯데 자이언츠 | 0 | 2 | 0 | 0 | 0 | 0 | 2 | 0 | 0 | 1 | 5 | 7 | 2 | ||||||||||||
해태 타이거즈 | 0 | 1 | 0 | 0 | 2 | 0 | 0 | 0 | 1 | 0 | 4 | 9 | 1 | ||||||||||||
승리 투수: 염종석 패전 투수: 조계현 홈런: 해태 – 김성한(2회 1점) |
2차전
- 9월 29일 -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 중계: MBC TV
3차전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해태 타이거즈 | 0 | 1 | 0 | 0 | 4 | 0 | 2 | 1 | 0 | 8 | 17 | 0 | |||||||||||||
롯데 자이언츠 | 1 | 0 | 0 | 0 | 0 | 0 | 0 | 0 | 0 | 1 | 4 | 0 | |||||||||||||
승리 투수: 조계현 패전 투수: 박동희 |
4차전
5차전
- 10월 4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중계: KBS 1TV + SBS TV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
롯데 자이언츠 | 3 | 0 | 0 | 0 | 1 | 1 | 0 | 0 | 5 | 10 | 12 | 1 | |||||||||||||
해태 타이거즈 | 1 | 0 | 2 | 0 | 0 | 1 | 0 | 0 | 0 | 4 | 11 | 2 | |||||||||||||
승리 투수: 윤학길 패전 투수: 이강철 세이브: 염종석 홈런: 롯데 – 김민호 (1회 3점) |
한국시리즈
롯데는 한국시리즈에서 빙그레에 4승 1패를 거두며 우승, 단일리그 체제에서 시즌 3위로 우승한 첫 팀이 됐으며 한국시리즈 종료 후 벌어진 이사회에서 프로야구팀이 10개가 될 때까지 양대리그제를 실시하지 않기로[3] 의결했다.
각주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