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이수 (불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이수 (불교)
Remove ads

2수(二受)는 신수(身受)와 심수(心受)를 말한다.

2수(二受)는 대상을 받아들여 (樂) · (苦) · (喜) · (憂) · (捨)의 5수(五受)로 판별하는 느낌 · 감수(感受) · 지각(知覺)의 마음작용(受) 또는 수온(受蘊)을 그것이 상응하는 (識)의 유형에 따라 신수(身受)와 심수(心受)의 2가지로 나눈 것이다.[1][2]

신수

신수(身受)는 문자 그대로는 '몸의 느낌' 또는 '육체의 느낌'인데, 안식 · 이식 · 비식 · 설식 · 신식5식(五識)과 상응하는 (受)의 마음작용을 말한다.[2][3][4]

달리 말하면, 신수 ·  ·  ·  · 5근(五根)을 통해 느끼는 육체의 또는 감각적인 느낌 · 지각 · 정서를 말하는 것으로, 5수(五受) 가운데 (樂) · (苦) · (捨)가 신수에 속한다.[5][6][7] 한편, 이들 중 (捨)의 느낌 · 지각 또는 정서심수에도 속한다. 즉 (捨)는 신수 · 심수2수 모두에 통한다.[2][3][4]

심수

심수(心受)는 문자 그대로는 '마음의 느낌'인데, 제6의식(第六意識)과 상응하는 (受)의 마음작용을 말한다.[2][3][4]

달리 말하면, 심수의근(意根)을 통해 느끼는 마음의 또는 정신적인 느낌 · 지각 · 정서를 말하는 것으로,[8] 5수(五受) 가운데 (喜) · (憂)가 심수에 속한다. 한편, 이들 중 (捨)의 느낌 · 지각 · 정서신수에도 속한다. 즉 (捨)는 신수 · 심수2수 모두에 통한다.[2][3][4]

한편, 심수(心受)의 동음이어의인 심수(心數)는 심소(心所), 즉 심소법 또는 마음작용의 다른 말로서, 심소(心所)의 구역(舊譯)이다.[9][10]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