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11년 AFC 아시안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11년 AFC 아시안컵(아랍어: كأس الأمم الآسيوية لكرة القدم 2011)은 2011년 1월 7일부터 1월 29일까지 카타르에서 개최된 15번째 AFC 아시안컵 대회다.
1988년 AFC 아시안컵 이후 카타르에서 2번째로 개최된 AFC 아시안컵이었고, 2022년 FIFA 월드컵이 개최되는 국가여서 카타르의 경기장 수용 능력, 경기 진행 능력에 이목이 집중되기도 하였다. 이후 카타르는 코로나19 및 봉쇄조치의 여파로 개최를 포기한 중국을 대신하여 2023년 AFC 아시안컵을 한 번 더 유치하게 된다.
결승전에서는 일본이 오스트레일리아를 연장 접전 끝에 리 다다나리의 결승골로 누르고 통산 4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동시에 일본은 201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진출권을 획득하였다.
대한민국은 준결승전에서 일본에 패해 3,4위전으로 밀려났고, 3,4위전에서 우즈베키스탄을 꺾고 3위를 차지했다. 구자철이 득점왕을 기록했으며, 박지성과 손흥민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함께한 대회다. 박지성은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
Remove ads
마스코트
개최국 선정
2011년 AFC 아시안컵 개최 희망하는 국가는 카타르, 이란, 인도 등이 유치를 경쟁해서 10명의 집행위원들이 투표를 해 카타르 6점 이란 3점 인도 1점 순위로 결국 카타르가 2011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예선
요약
관점
2007년 AFC 아시안컵의 우승국, 준우승국, 3위는 개최국인 카타르와 함께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레바논과 몰디브의 1라운드를 거쳐 20개의 국가가 5개의 조로 나뉘어 상위 2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한편, 이번 대회부터는 AFC 챌린지컵 우승 국가도 본선에 진출하게 되어 2008년과 2010년 우승국도 본선에 진출하였다.
예선은 2008년 4월 9일부터 2010년 3월 3일까지 진행되었다.
- 본선 진출 국가
본선 진출 국가
본선 진출 실패 국가
- 1 강조된 글씨는 우승한 대회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이번 2011년 AFC 아시안컵은 카타르의 수도인 도하에서 4개 경기장, 그리고 제2도시인 알라이얀에서 1개 경기장으로 총 5개 경기장이 개최가 된다.[1]
선수 명단
시드 배정
2011년 AFC 아시안컵 본선 조 추첨은 2010년 4월 23일에 실시되었다. 이 대회의 개최국인 카타르와 지난 대회에서 각각 우승, 준우승, 3위의 성적을 거둔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은 최상위 시드에 배정되었다.
조별 리그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 (AST/UTC+3)을 따릅니다.
A조
B조
C조
D조
Remove ads
결선 토너먼트
요약
관점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AST/UTC+3)을 따릅니다.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1월 21일 - 도하 | ||||||||||
![]() | 2 | |||||||||
1월 25일 - 도하 | ||||||||||
![]() | 1 | |||||||||
![]() | 0 | |||||||||
1월 22일 - 도하 | ||||||||||
![]() | 6 | |||||||||
![]() | 1 | |||||||||
1월 29일 - 도하 | ||||||||||
![]() | 0 | |||||||||
![]() | 0 | |||||||||
1월 21일 - 도하 | ||||||||||
![]() | 1 | |||||||||
![]() | 3 | |||||||||
1월 25일 - 도하 | ||||||||||
![]() | 2 | |||||||||
![]() | 2 (3) | |||||||||
1월 22일 - 도하 | ||||||||||
![]() | 2 (0) | 3위 결정전 | ||||||||
![]() | 0 | |||||||||
1월 28일 - 도하 | ||||||||||
![]() | 1 | |||||||||
![]() | 2 | |||||||||
![]() | 3 | |||||||||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
Remove ads
우승국
수상
올스타 팀
최종 순위

-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 4위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 다음 대회인 2015년 아시안컵의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가 2위를 하게 되었으나 자동 진출권이 승계되지 않으면서,[2] 우즈베키스탄의 다음 대회 자동 진출은 무산되었다. 따라서 우즈베키스탄은 2015년 아시안컵 예선을 모두 거쳐, 진출권을 획득해야 한다.
Remove ads
득점 선수
5골 4골
3골 2골 |
1골 |
자책골
|
- 해트트릭
팀 득점 기록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