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여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제23회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여자 경기는 2018년 2월 10일부터 22일까지 대한민국 강릉에서 열렸다.[1] 이 대회에는 총 8 국가가 출전권을 받았는데, 그 중 5개 국가는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의 세계순위에 따라 상위 5개국이 자동으로 출전하며, 대한민국은 개최국으로서 자동 출전한다. 나머지 2개 국가는 별도의 시합을 통해 출전권을 따냈다.[2]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와의 특별 합의에 따라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출신 12명의 선수가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추가되어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게 되었다.[3] 이에 따라 2018년 동계 올림픽 남북 단일 선수단의 아이스하키 여자 국가대표팀은 22명의 선수 명단 대신 35명의 선수 명단을 가지게 됐다. 또한 각 경기마다 세라 머리 감독이 선별한 3명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가 빙판 위에 출전했다.[4]
Remove ads
개최 도시 및 경기장
개최 도시는 빙상경기가 열리는 강릉시이며,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지역 예선
본선 진출국
조별 리그
A조
출처: IIHF
B조
결선 토너먼트
A조의 1,2위 팀은 준결승에 직행한다. 3A와 2B팀, 4A와 1B팀이 8강전을 치러, 1A는 3A와 2B팀간의 승자, 2A는 4A와 1B팀간의 승자와 맞붙는다. 각 준결승전의 승자는 결승에서 맞붙는다.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2월 19일 | ||||||||||
![]() | 5 | |||||||||
2월 17일 | ||||||||||
![]() | 0 | |||||||||
![]() | 6 | |||||||||
2월 22일 | ||||||||||
![]() | 2 | |||||||||
![]() | 2 | |||||||||
![]() | 3 | |||||||||
2월 19일 | ||||||||||
![]() | 5 | |||||||||
2월 17일 | ||||||||||
![]() | 0 | 동메달 결정전 | ||||||||
![]() | 7 | |||||||||
2월 21일 | ||||||||||
![]() | 2 | |||||||||
![]() | 3 | |||||||||
![]() | 2 | |||||||||
- 5위 이하 순위 결정전
5–8위 순위 결정전 | 5위 결정전 | |||||
2월 18일 | ||||||
![]() | 2 | |||||
2월 20일 | ||||||
![]() | 0 | |||||
![]() | 1 | |||||
2월 18일 | ||||||
![]() | 0 | |||||
![]() | 1 | |||||
![]() | 2 | |||||
7위 결정전 | ||||||
2월 20일 | ||||||
![]() | 6 | |||||
![]() | 1 |
Remove ads
최종 순위
기록
득점 기록
GP = 경기 수; G = 골; A = 어시스트; Pts = 포인트; +/− = 플러스/마이너스; PIM = 총 퇴장 시간; POS = 포지션
출처: IIHF.com 보관됨 2021-07-26 - 웨이백 머신
최소 실점 골텐더
TOI = 경기 출장 시간 (분:초); SA = 슛 개수; GA = 허용 골 개수; GAA = 경기 당 실점률; Sv% = 방어율; SO = 슛아웃
출처: IIHF.com 보관됨 2022-01-28 - 웨이백 머신
Remove ads
선수 명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수상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