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19년 FIFA U-20 월드컵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19년 FIFA U-20 월드컵은 2019년 5월 23일부터 6월 15일까지 폴란드에서 개최된 22번째 FIFA U-20 월드컵이다.
Remove ads
개최를 희망했던 국가
국제 축구 연맹(FIFA)은 2018년 3월 16일에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FIFA 평의회에서 폴란드를 해당 대회의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본선 진출 팀
Remove ads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시드 배정
본선 조 추첨식은 2019년 2월 24일에 그디니아에서 열렸다. 개최국인 폴란드는 자동으로 A1에 배정되며 같은 대륙의 국가들끼리는 서로 다른 조에 편성된다. 포트 배정은 최근 5개 대회에서 획득한 승점을 차등을 두어서 합산하고(가장 최근 대회 100% 반영, 이전 대회 순으로 20%씩 차감), 각 대륙간 연령별 대회 우승 팀은 5점을 추가로 부여받는다.
선수 명단
조별 리그
요약
관점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2)을 따른다.
순위의 결정
조별 리그 순위의 결정은 승점에 기준하여 이루어지며,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의 승점을 획득한다. 승점이 같은 팀이 있으면 아래의 순서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 골득실차
- 다득점
- 같은 승점인 팀과의 상대 승점
- 같은 승점인 팀과의 상대 골득실차
- 같은 승점인 팀과의 상대 다득점
- 페어플레이 점수
- 경고 시 -1점, 경고 2회 누적으로 퇴장 시 -3점, 즉시 퇴장 시 -4점, 경고 후 즉시 퇴장 시 -5점
- 추첨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와일드카드)
16강 대진 결정 방식
16강 대진은 FIFA의 토너먼트 규정집 18절에 게재된 대진표에 따른다.
- 16강전 대진 조합표
Remove ads
결선 토너먼트
16강전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6월 2일 - 우치 | ||||||||||||||
![]() | 1 (5) | |||||||||||||
6월 7일 - 우치 | ||||||||||||||
![]() | 1 (4) | |||||||||||||
![]() | 0 | |||||||||||||
6월 3일 - 티히 | ||||||||||||||
![]() | 1 | |||||||||||||
![]() | 4 | |||||||||||||
6월 11일 - 그디니아 | ||||||||||||||
![]() | 1 | |||||||||||||
![]() | 1 | |||||||||||||
6월 2일 - 그디니아 | ||||||||||||||
![]() | 0 | |||||||||||||
![]() | 1 | |||||||||||||
6월 7일 - 티히 | ||||||||||||||
![]() | 0 | |||||||||||||
![]() | 4 | |||||||||||||
6월 4일 - 비엘스코비아와 | ||||||||||||||
![]() | 2 | |||||||||||||
![]() | 2 (4) | |||||||||||||
6월 15일 - 우치 | ||||||||||||||
![]() | 2 (5) | |||||||||||||
![]() | 3 | |||||||||||||
6월 4일 - 비드고슈치 | ||||||||||||||
![]() | 1 | |||||||||||||
![]() | 2 | |||||||||||||
6월 8일 - 그디니아 | ||||||||||||||
![]() | 3 | |||||||||||||
![]() | 1 | |||||||||||||
6월 3일 - 루블린 | ||||||||||||||
![]() | 2 | |||||||||||||
![]() | 1 | |||||||||||||
6월 11일 - 루블린 | ||||||||||||||
![]() | 3 | |||||||||||||
![]() | 0 | |||||||||||||
6월 4일 - 루블린 | ||||||||||||||
![]() | 1 | 3위 결정전 | ||||||||||||
![]() | 0 | |||||||||||||
6월 8일 - 비엘스코비아와 | 6월 14일 - 그디니아 | |||||||||||||
![]() | 1 | |||||||||||||
![]() | 3 (3) | ![]() | 0 | |||||||||||
6월 3일 - 우치 | ||||||||||||||
![]() | 3 (2) | ![]() | 1 | |||||||||||
![]() | 2 | |||||||||||||
![]() | 1 | |||||||||||||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
Remove ads
우승
수상
- 다닐로 시칸과 아마두 사냐는 4골을 기록했지만 출전 시간이 적은 선수를 우선시하는 원칙에 따라 다닐로 시칸이 실버 부트를, 아마두 사냐가 브론즈 부트를 수상했다.
득점 선수
9 골
4 골
안드레아 피나몬티
아마두 사냐
다닐로 시칸
세바스티안 소토
3 골
2 골
1 골
훌리안 알바레스
크리스티안 페레이라
네우엔 페레스
파우스토 베라
이반 앙굴로
데이베르 카이세도
안드레스 레예스
루이스 산도발
알렉산더 알바라도
호세 시푸엔테스
혼 에스피노사
세르히오 킨테로
리차르드 미나
나빌 알리위
무사 디아비
유수프 포파나
당악셀 자가두
루카 라니에리
다가와 교스케
야마다 고타
최준
김현우
이지솔
칼리드 알간남
하산 알탐박티
압둘라이 디아비
우스만 디아키테
이브라히마 코네
부바카르 트라오레
로베르토 데 라 로사
매슈 콘로이
엘리야 저스트
사프리트 싱
자니 스텐스니스
톰 델레바시루
맥스웰 에피옴
석세스 마칸주올라
헨리 오피아
알리우 살라우딘
무하메드 티자니
크리스티안 보르크그레빙크
옌스 헤우에
에만 마르코비치
레오 외스테고르
악셀 매켄지
에르네스토 워커
야쿠프 베드나르치크
아드리안 베네디차크
마르첼 질라
하파엘 레앙
트링캉
라일 포스터
제임스 모냐네
키넌 필립스
아마두 시스
카뱅 디아녜
디옹 로피
저스틴 레닉스
브랜던 서베니아
니콜라스 아세베도
로날드 아라우호
프란시스코 히네야
니콜라스 스키아파카세
기오르기 치타이슈빌리
자책골
Remove ads
최종 순위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